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29 20:53:53

비과학

과학의 범위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좁은 의미 [[자연과학|
자연과학
]] 물리학 · 화학 · 생물학 · 천문학 · 지구과학(지질학 · 해양학 · 대기과학)
넓은 의미 [[형식과학|
형식과학
]] 논리학 · 수학 · 시스템 과학 · 전산학 · 통계학
[[응용과학|
응용과학
]] 간호학 · 거대과학 · 건축학 · 공학 · 농학 · 임학 · 수산학 · 수의학 · 약학 · 의학 · 치의학 · 동양의학(한의학, 중의학)1
[[사회과학|
사회과학
]] 심리학 · 사회학 · 정치학(행정학 · 정책학) · 경제학 · 교육학 · 군사학 · 미디어학 · 법학 · 경영학 · 사회복지학 · 인류학 · 지리학 · 지역학
비과학 [[인문학|
인문학2
]] 언어: 언어학3 / 예술: 문학 · 미술사학 · 음악사학 / 역사: 사학4 · 과학사학 · 고고학4 / 사상: 철학 · 종교학4 · 신학5
변경지대의 과학
비학문 병적 과학 · 쓰레기 과학 · 유사과학(대체의학) · 반과학
1 대부분의 국가에서는 유사과학의 일종인 대체의학으로 분류하나, 한국, 중국, 북한, 대만 4개국에는 독립된 한의학부가 존재하여 의학사에 준하는 학위를 부여한다.
}}}}}}}}}

1. 과학이 아닌 모든 것
1.1. 과학과 비과학은 명확히 구분될 수 있는가?
2. 도서

1. 과학이 아닌 모든 것

비과학(, Non-science)은 말 그대로, 과학이 아닌 모든 학문 연구분야 및 논의의 주제들을 말한다. 1855년에 처음으로 제안된 용어라고 알려졌다.

흔히 생각하는 유사과학과 동의어인 것은 아니다. 적어도 비과학의 한 종류가 유사과학이라고, 즉 유사과학이 비과학의 부분집합이라고 말할 수는 있겠지만, 모든 비과학이 유사과학인 것은 아니다.[1] 더불어 모든 비과학이 반과학(anti-science)인 것도 아니다.

비과학은 그 정의상 일반적으로 과학적 방법이 적용되지 않으며, 적용할 수도 없다.[2] 그러나 비과학의 이러한 성격이 이들 분야들의 가치를 떨어뜨리는 것은 결코 아니다. 비과학이라는 개념은 21세기 들어 과학주의가 서구 대중들 사이에 본격적으로 힘을 얻으면서 그 의미가 정확히 정리되고 규명될 필요성이 대두되었는데, 이는 과학주의가 "비과학 분야들이 과학적 방법을 적용하지 않는 한 그 가치는 없다", "인문학의 시대는 끝났다", "비과학 분야에서도 과학적 방법이 적용되어야만 한다" 등의 도발적인 슬로건을 내걸고 나섰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들의 이러한 슬로건에 대해서는 현직 과학자들까지도 우려를 표할 만큼 극단적이고 과학만능주의에 입각해 있다고 평가할 수 있다.[3]

보통 인문학을 비과학으로 취급하지만 꼭 과학과 담을 쌓은 것만은 아니다. 언어학이나 역사학의 일부 분과는 과학적 방법도 일부 활용하고 있으며 신학 역시 자유주의라고 불리는 한 조류는 과학적 연구를 적극적으로 수용하며, 자유주의 신학이 아니더라도 성서학이나 성서고고학, 교회역사학, 생태신학 같은 분야에서는 과학적 방법론을 사용하기도 한다. 윤리학의 경우도 샘 해리스(S. Harris)의 신경윤리학 같은 활동을 통해 과학이 윤리적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는 도전을 받고 있다. 음악과 같은 예술 분야 역시 엄밀하게 그 원리와 현상을 분석하다 보면 필연적으로 과학의 도움이 절실해지게 된다. 즉 모든 하위 분과에서 오롯이 질적연구 하나만 고집하는 분야는 의외로 찾기 힘들며, 흔히 비과학이라고 거론되는 것들도 "과학과 제각기 얼마나 멀리 떨어져 있느냐"의 차이일 뿐이지 "과학과 아예 담을 쌓고 있는" 분야로 이해되어서는 곤란할 수 있다.

어찌보면 이는 환원주의와 관련된 문제일 수도 있다. 만일 환원을 거쳤을 때 그 논의 활동의 성격 자체가 상실된다면 이는 비과학이라고 부를 수도 있을 것이다. 상상력과 교훈을 전달하는 세계 각처의 민담 및 신화들, 정신의학과에서 내담자와 임상심리사 사이에 존재하는 미묘한 라포, 훌륭한 선배 예술가의 작품에 대한 오마주, 관현악에서 오보에 솔로를 어떻게 처리할 것인지에 대한 분분한 해석들 등은 과학의 영역으로까지 환원시킬 수가 없다. 또한 많은 문학평론, 예술평론, 영화평론 등도 가설검증(…)의 대상이 아니다. 물론 그들이 기존에 정립된 과학적 사실을 인용하면서 논지를 전개할 수는 있겠으나, 이것이 필수요건인 것은 아니다.

1.1. 과학과 비과학은 명확히 구분될 수 있는가?

'작정하고 명확하게 선을 긋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다. 과학자들은 이미 가족유사성 이론과 방사성 범주 이론에 의해 딱 잘라 구획하는 것에 한계를 느꼈다.

과학성의 기준을 나누는 현대적인 기준에 대해 학계에서 합의하고 있는 바는 대략 이하와 같다.

위의 다섯 가지 요소들을 고려해서 '더 과학적인 것'과 '덜 과학적인 것'을 상대적으로 비교하는 것까지만 가능하다는 것이 학계의 합의점이다. 결국, 과학과 비과학을 딱 잘라 구분하는 것은 이제껏 실패해 왔다. 논리 실증주의자들의 반증 논리도 그랬고, 칼 포퍼 등 각종 과학철학자들도 마찬가지.

그러나 명확하게 선을 긋는 문제가 아닌 큰 틀에서 과학과 비과학으로 구분하는 것은 여전히 남아있다. 학계의 연구자들은 연구분야를 심층적으로 파고들어야 하다 보니 한계성을 보는 것이지만 일반 대중의 입장에서는 굳이 복잡하게 따져야 할 이유가 없기 때문이다.

2. 도서

저자 브라이언 J. 포드
(Brian J. Ford)
분류 준공식적 보고서
(quasi-official report)
페이지 206
ISBN 72340449-6
출판 런던, Wolfe
발행 1971년 9월

파일:external/www.brianjford.com/p-nonsci.jpg

브라이언 포드는 영국의 생물학자이자 작가였는데, 일부러 제목을 그럴싸하고 어려워 보이게 짓는 관행을 비꼬고 풍자하기 위해서 일부러 이런 퍼포먼스(?)를 벌였다. 어찌보면 앨런 소칼의 지적 사기 사건을 연상케 하기도 하는데, 세계적인 제도권 과학자가 "어떻게든 과학적으로 보이고 싶어하는" 사이비들의 사기행각을 비판하기 위해 고의적으로 거하게 벌인 일이기 때문이다.

그래도 《네이처》 같은 유수의 잡지들이나 타임즈 같은 신문에서 리뷰를 작성하기도 했으며, 심지어 스페인어로 번역되기도 했다.

제목의 전문은 다음과 같다. 그러나 고의적으로 어려워 보이게 만든 제목인 만큼, 모르는 단어들이 난무한다고 해서 놀랄 것은 없겠다.
Nonscience and the Pseudotransmogrificationalific Egocentrified Reorientational Proclivities Inherently Intracorporated In Expertistical Cerebrointellectualised Redeploymentation with Special Reference to Quasi-Notional Fashionistic Normativity, The Indoctrinationalistic Methodological Modalities and Scalar Socio-Economic Promulgationary Improvementalisationalism Predelineated Positotaxically Toward Individualistified Mass-Acceptance Gratificationalistic Securipermanentalisationary Professionism, or How To Rule The World
비과학과, 전문 (뇌)고찰된 (인사)이동 속의 모조변형적이고 자아중심적이며 재교육적인 선천적인 기업 내의 성향 & 유사추상적 유행성 규범성에 대한 별참, 또는 개인화된 대거 수용에 만족적이며 보안영구화적인 전문성을 목표로 positotaxical하게 미리 기술된 주입식 국수주의 방법론적 양상과 스칼라사회경제적인 공표적 향상, 또는 세계를 다스리는 법

입시명문 사립 정글고등학교불사조는 읽는 책마다 이런 식으로 제목이 되어있다. 예를 들면 "브레즈네프 독트린으로부터 페레스트로이카까지 소비에트의 몰락과 대두되는 민족주의를 통해 본 청계천 민물고기의 생태와 프라하의 봄관광코스 개발을 서두르는 천민자본주의에 대항하는 새로운 세력"이라거나 '"2006암스테르담 학회 발표논문 차에프스키 박사 발표: 극동아시아 3개국의 역학질서 개편과 환태평양지약 신헤게모니 구성을 위한 한국의 슈고이즘과 데탕트 구성에 관한 알고리즘을 응용한 수학적 접근에 관한 미국의 역할 및 일본의 탈아입구 사상에 대한 중국의 신문화 혁명에 대하여" 등등(...). 제목이 쓸데없이 길어서 발행 금지 처분을 받은 책이다.

[1] 일단 여기서는 유사과학이 아닌 비과학만을 주제로 삼기로 한다. 유사과학에 대해서는 해당 항목을 참고할 것.[2] 즉 관찰 - 가설 - 검증 - 이론화의 구조를 따르지 않거나 따르는 것이 대체로 불가능하다.[3] 물론 과학의 힘을 통한 많은 놀라운 것들을 발견한 건 사실이나 비과학의 힘을 통해서도 이러한 것들을 발견한 만큼 어느 한 쪽으로 치우쳐져서도 안되고 서로 공존해야 한다.[4] 예를 들어 틱타알릭 화석을 발견한 과학자들은 그냥 그걸 발견한 게 아니라 어류와 양서류의 사이가 대진화로 이어지기 위해서는 틱타알릭과 같은 형태변화가 일어날 것으로 예측했다. 그리고 그런 종은 데본기후기인 3억7500만 년 전에 존재했을 것이라고도 예측했다. 그리고 실제 그 시기에 해당되는 지층을 조사해서 예측했던 종을 발견했다. 증거로부터 가설을 세우고 그걸 새로운 증거로 입증한 훌륭한 과학적 예측력을 고생물학에서 보여준 셈이다.[5] 뉴턴의 역학 법칙이나 아인슈타인의 특수 상대성 원리가 대표적인 예. 정말 깔끔하게 한 문장의 공식으로 끝난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