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8-08 00:15:52

권층운

<colbgcolor=#fff><colcolor=#000>구름의 종류
일반형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bgcolor=#6bc3ff><colcolor=#000> 상층운 파일:권운 기호.png 권운(새털구름) · 파일:권적운 기호.png 권적운(조개구름) · 파일:권층운 기호.png 권층운(베일구름)
중층운 파일:고층운 기호.png 고층운(회색차일구름) · 파일:고적운 기호.png 고적운(양떼구름)
하층운 파일:층운 기호.png 층운(안개구름) · 파일:층적운 기호.png 층적운(두루마리구름) · 파일:난층운 기호.png 난층운(비층구름)
수직형 파일:적운 기호.png 적운(뭉게구름) · 파일:적란운 기호.png 적란운(소나기구름)}}}}}}}}}
특수형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bgcolor=#6bc3ff><colcolor=#000> 상위형 웅대적운 · 열탑 · 열대저기압 · 슈퍼셀 · 안개
수반형 모루구름 · 성층권 침투 대류운 · 유방운 · 아치구름 · 구름벽 · 미류운(꼬리구름) · 깔때기구름
일반형 야광운 · 진주운 · 편운 · 삿갓구름 · 렌즈구름 · 파상운 · 모닝글로리 · 거친물결구름
기타 비행운 · 스모그 · 버섯구름 · Fallstreak Hole}}}}}}}}}
<colbgcolor=#6bc3ff,#252525>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1 권층운}}}[br][[卷|{{{#000 卷}}}]][[層|{{{#000 層}}}]][[雲|{{{#000 雲}}}]] | {{{#000 Cirrostratus}}}'''
파일:권층운.jpg
순우리말 명칭 베일구름, 햇무리구름
약어 Cs
기호 파일:권층운 기호.png
분류 상층운
고도 6,000m ~ 13,000m
강수여부 없음[1]

1. 개요2. 생성과 특징3. 바리에이션

[clearfix]

1. 개요

기상학에서 구름을 분류하는 "10종 운형" 중 하나.

높은 하늘에서 흰색 내지는 옅은 회색의 빛으로 얇게 덮이는 베일 같은 구름. 주로 빙정, 즉 얼음 알갱이로 구성되어 있어서 어찌 보면 약간 복슬복슬한 털 같은 느낌도 있다. 쉽게 말하면, 높은 하늘에 끼는 안개(층운)라고 보면 된다. 그 이름에서 권(卷)은 보통 또는 종이를 뜻하는데 어째서 이런 단어가 붙었는지는 옛 중국에서 종이가 발명되기 이전에는 대나무 조각에 글을 썼는데 그 죽편들을 엮어서 책을 만들었고 그 책을 둘둘 말아서 보관했다. 영어에서 stratus는 넓게 퍼진 층을 뜻하며, 이는 권층운의 모습과도 상통한다. 한편 cirro- 접두사는 라틴어에서 유래했는데, 영어로 직역하면 곱슬곱슬한 것(curl)이라고 한다. 마치 털과도 같은 구름의 질감에서 붙은 이름이다.

순우리말 이름으로는 햇무리구름이라고 한다. 태양이 이 구름에 가려지게 되면 햇무리가 나타나기 때문이다.

2. 생성과 특징

대류권인 이상, 고도가 높으니만큼 온도도 낮기 때문에 거의 대부분의 수증기는 빙정으로 구성되어 있다. 권층운의 존재는 즉 높은 고도에서 대량의 수증기가 존재하거나 유입되고 있음을 뜻하지만, 그와 동시에 대류가 비교적 온건하다는 뜻도 된다. 낮은 고도에서도 수증기나 대류현상이 변수로 작용할 때에는 층적운이나 적운, 고층운과도 함께 나타난다.

특히 이 중에서 고층운이 문제가 되는데, 만일 옅은 털실 같은 권운이 하나 둘 모이기 시작하다가 이윽고 권층운이 되어 하늘을 뿌옇게 뒤덮고, 점차로 색이 어두워진다면, 즉 구름이 두꺼워지면서 고층운으로 변화한다면, 이것은 십중팔구 온대저기압의 온난전선이 다가오고 있음을 의미한다. 오래지 않아 고층운은 다시 난층운이 되어 비를 뿌리게 될 것이며, 따라서 권층운의 존재는 종종 강수를 예고하게 된다. 결국 날씨에 관련된 속담 중 "햇무리가 지면 비가 온다" 라는 속담은 어찌 보면 과학적인 현대과학으로 검증된 정확한 속담인 것이다.

권층운이 태양을 가리게 되면 햇무리가 나타난다. 여기서 햇무리는 한자어로는 일관(日冠)이라고도 하는데, 태양을 중심으로 한 동심원 모양의 빛나는 띠처럼 나타나는 광학현상을 의미한다. 언뜻 보면 그냥 빛이지만 자세히 보면 안쪽은 빨간색을 띠고 바깥쪽은 노란색을 띤다. 구체적인 생성과정까지 일일이 서술하긴 어렵지만, 대략적으로 설명하면 일광이 권층운 속 빙정을 통과할 때 나타나는 회절 현상이다. 지상에서의 시각은 대개 22°. 물론 비단 태양뿐 아니라 이라든가 아니면 다른 광원이 있어도 무리가 나타나는 건 똑같다.

간혹 적란운이 수명을 다하고 대류가 안정될 때 그 꼭대기가 부서지면서 형성되기도 하며, 아예 구름 본체로부터 혼자 떨어져 나와서 따로 멀리 흘러가는 모습으로 나타나기도 한다. 간혹 미세먼지 같은 것으로 인해 살짝 흐려 보이는 하늘과 혼동할 수도 있는데, 권층운은 단순히 뿌연 하늘과는 전혀 다르므로 주의. 하얀 털 같은 얇은 층이 하늘 높이 덮고 있는 모습을 하고 있는 것이 권층운이다.

그 자체로는 비를 뿌릴 가능성은 낮지만 비구름의 앞머리에 있는 경우도 있어서 날씨가 흐려져 비가 내릴 수도 있다.

2020년 1월 5일 전국 대부분 지역에 권층운이 나타났는데 이 때는 구름만 있었지만 다음날 전국에 비, 눈이 내렸다.

3. 바리에이션

가장 대표적으로 나타나는 두 가지 바리에이션이 있다. 첫째는 안개 같은 모습으로 하늘 전체를 덮어가는 권층운. 이것은 따로 "Cirrostratus Nebulosus" 라고 한다. 만만찮게 자주 보이는 다른 하나는 마치 솜털이 가득한 듯 질감이 살아있는 권층운으로, 이것은 "Cirrostratus Fibratus" 라고 한다. 보통 전자보다는 후자의 경우에 높은 하늘의 바람이 강하다는 추정을 해 볼 수 있다.

[1] 단, 종종 온난전선 강습의 전조가 된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