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3-10-12 06:56:22

궤간

궤간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궤간의 넓이
좁음 ← 1435mm → 넓음
협궤 표준궤 광궤
이외
듀얼게이지 궤간가변 개궤 }}}}}}}}}

1. 개요2. 연결이 불가능하다!
2.1. 극복하기 위한 방안
3. 관련 문서

1. 개요

궤간(軌間)이란 철 차륜을 사용하는 휠-레일 시스템에서 레일 사이의 거리를 말한다. 북한에서는 예외적으로 '철길너비'라 칭한다. 철도건설규칙에서는 "궤간"이란 양쪽 레일 안쪽 간의 거리 중 가장 짧은 거리를 말하며, 레일의 윗면으로부터 14mm 아래 지점을 기준으로 한다." (제2조 7항) 라고 정의 하고 있다. 한국의 철도 궤간은 전 세계에서 가장 많이 쓰여 표준궤로 불리는 1,435mm. 이보다 큰 궤간은 광궤, 적으면 협궤라 부른다. 보통 식민지배를 받았던 국가는 협궤, 궤간이 넓으면 넓을수록 생기는 이점을 취하기 위한다면 광궤로 짓는다. 각각의 장단점에 대해서는 문서 참고.

우리가 흔히 보는 철도 차량은 보통 로 된 바퀴(보통 차륜이라 부른다)나 고무 타이어로 감싼 바퀴 두 개와 하나의 축으로 구성된 "윤축"이라는 것을 통해 차체를 지지하며 견인, 제동력을 레일을 통해 노반으로 전달한다. 이 윤축은 하나의 차축에 두 개의 바퀴가 강제 압입하는 형태로 제작되며 차량 측의 차륜간 폭은 고정되어 있다. 그러니까 궤간이 다르면 차량도 달라져야 한다. 때문에 직통운전과 각 노선과의 연결을 중시하는 철도교통의 특성 상 동일 궤간으로 건설되는 경향이 높은 편이다. 또한 궤간이 크면 차량도 커지고 궤간이 작으면 차량도 작아진다. 이 때문에 궤도 중심을 기준으로 차량의 크기를 규정하는 "차량한계", 마찬가지로 궤도 중심을 기준으로 건설물의 침범 한계를 규정한 "건축 한계"도 달라져야 하기에 궤간 통일은 원활한 철도 운영을 위해 꼭 필요하다 하겠다. 하지만 언제나 예외는 있어서 한국에서는 구 수인선, 수려선협궤로 건설되었다. 이후 수인선표준궤로 교체하는 게 아니라 그냥 갈아엎고 노선을 새로 만들었으며, 수려선1972년에 폐선되었다.[1]

2. 연결이 불가능하다!

철도의 레일 두 가닥은 한 번 설치하면 움직이지 않는다. 여기서 문제가 되는 게 한 국가 안에서도 협궤, 표준궤, 광궤가 섞여있는 판에 국가간으로 간다면 한국표준궤인데 옆 국가는 광궤 (예를 들어 러시아의 1520 mm 광궤), 일본은 1067 mm 협궤와 같은 식이 되는 경우가 생긴다. 이 때문에 한국 철도 차량이 러시아로 들어가지 못하고[2], 마찬가지로 일본에 들어가지 못하는 경우가 생긴다.

물론 요즘에야 표준궤가 대세이긴 하지만 이게 대세라고 이미 지어진 철도 노선을 전부 표준궤로 바꾼다는 것은 불가능한 노릇이라[3] 이를 극복하기 위해 여러 가지 방안이 고안되었다.

2.1. 극복하기 위한 방안

3. 관련 문서



[1] 다만 경강선과 동일한 역명을 지닌 구간들은 이설, 표준궤 개궤, 복선화 등을 거친 효과를 지니고 있긴 하다.[2] 북한은 표준궤를 사용하는 반면, 시설의 90% 이상이 노후화된 상태다[3] 러시아 시베리아 대륙횡단 철도만 해도 10,000km에 육박한다. 한국 철도 총 연장의 2배 가량.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