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8-24 04:42:34

김낙수

山王 / SANNOH
파일:sannoh.png
산왕공고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tablebgcolor=#ffffff,#191919><tablecolor=#373a3c,#ddd><colbgcolor=#050a30><colcolor=#fff> 감독 도진우
3학년 4 이명헌C · 5 정성구VC · 6 최동오 · 7 신현철 · 8 김낙수
2학년 9 정우성
1학년 15 신현필 }}}}}}}}}

<colbgcolor=#050a30><colcolor=#ffffff> 김낙수
一之倉 聡|이치노쿠라 사토시
파일:김낙수.jpg
이름 이치노쿠라 사토시 ([ruby(一, ruby=いち)][ruby(之, ruby=の)][ruby(倉, ruby=くら)] [ruby(聡, ruby=さとし)])
학교 산왕공업고등학교 3학년
국적
[[일본|]][[틀:국기|]][[틀:국기|]]
신체 171cm
포지션 슈팅 가드[1]
등번호 8번
특기 수비, 끈기
운동화 아식스 Fabre Point Gel L White/Black (TBF-712)
성우
[[일본|]][[틀:국기|]][[틀:국기|]]
이와키 야스시 (신 극장판)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남도형 (신 극장판)

[[중국|]][[틀:국기|]][[틀:국기|]]
궈하오란 (신 극장판)

[[미국|]][[틀:국기|]][[틀:국기|]]
마크 스윈트 (신 극장판)

1. 개요2. 작중 행적3. 수비력4. 기타

[clearfix]

1. 개요

슬램덩크의 등장인물. 산왕공고의 멤버이다.

2. 작중 행적

수비의 스페셜리스트로, 원래는 백업 멤버지만 정대만의 3점슛을 저지하라는 특명을 받고 스타팅 멤버로 투입된다. 특명이 무색하게 초반엔 3연속으로 3점슛을 허용하지만, 그 후 질릴 정도의 밀착 수비로 정대만을 틀어막는다. 체력과 끈기가 대단한 수준으로, 혹독한 산왕의 합숙에서 한번도 도망친 적이 없고,[2] 교내 마라톤 대회에서는 육상부에게도 지지 않았으며, 시험 중 배가 아팠으나 기절할 때까지 참은 적도 있다고 한다. 참고로 원인은 급성맹장염으로 하마터면 시험보다 죽을 뻔 한 것.

어쨌든 수비가 효과가 있었는지 정대만은 후반엔 완전히 녹초가 돼버린다. 그러나 정대만이 다시 미친듯이 3점을 터트리는데도 후반엔 출전 없이 벤치에만 앉아있었다. 왜 후반에 뛰지 않았는지는 불명.[3] 본인도 탈진했기 때문일 수도 있으나, 작중 최강인 그의 체력을 볼때 고작 전반 뛰고 탈진했을 가능성은 낮아보인다. 도진우 감독이 "낙수야, 네 밀착 수비가 효과가 있었나 보다." 라며 벤치의 김낙수를 칭찬하는데, 정대만에 비하면 딱히 지쳐보이지는 않는다. 밀착마크가 굉장히 체력소모가 심한 건 사실이지만 풀코트프레스 역시 이에 못지않게 체력소모가 심한데, 산왕선수들은 이걸 거의 후반 내내 했다. 산왕의 다른 레귤러 멤버들도 그 정도인데 이중에서 단연 최강의 체력을 가진 김낙수가 아무리 밀착마크를 한들 전반 20분 뛰고 녹초가 됐다는건 설득력이 떨어진다. 게다가 상대는 슬램덩크 메이저급 선수들중 가장 체력이 약한 정대만이었다. 결론은 감독의 다 삽질 때문이다. 아니면 이번에는 복막염이 왔다거나.

북산과 산왕공고와의 시합을 애니화한 더 퍼스트 슬램덩크에서는 후반전을 중점적으로 그려지고 있어서, 두드러지게 나오지 않았다. 후반전 벤치에 있는 것으로 나오고, 정대만의 체력이 떨어진 것으로 보이는 상황에서 언급된다.

3. 수비력

초반에 3연속 3점슛을 정대만에게 헌납해서 수비 스페셜리스트로서는 체면을 좀 구겼다. 3번이나 당하고 나서야 몸싸움을 생각할정도니... 거기에 철벽 몸싸움을 시작하기는 했는데 돌파당해 채치수에게로 향한 어시스트까지 허용한다 게다가 이명헌을 간신히 제치고 돌파하는 송태섭의 공을 뺏었으나, 몇 초 지나지 않아 가볍게 다시 송태섭에게 볼을 뺏기며 강백호에게 앨리웁 덩크를 허용하기도 한다.

그런데 첫번째는 채치수에게 불의의 스크린을 허용해서 그렇다고 쳐도 2,3번째는 정대만 입장에서 터프샷을 쏘도록 유도한 것이다. 원래 슛은 상체만으로 쏘는게 아니라 상하체의 균형이 흔들리지 않고 올라가는 것이 중요하다. 더군다나 3점 슛은 거리가 먼 만큼 체력 소모와 난이도가 뛰어 오른다. 특히 세번째 쐈을때는 볼을 잡자마자 예상 밖으로 제대로 된 준비모션도 없이 너무 바로 던지는 바람에 김낙수가 당황하기까지 했는데, 이런 슛은 당연히 들어가기가 매우 어렵다. 산왕 멤버들은 당연하다는 듯 리바운드를 준비했고, 박하진도 정대만이 마크에 압박감을 받아 조급해졌나보다 하고 생각했다. 그런데도 정대만의 감이 절정에 달해 그냥 다 들어가버린 것.

원래 농구는 공격수가 절대적으로 유리한 게임이고, 외곽수비수는 아무리 많아봐야 한개 이하의 블록슛을 기록하는게 대부분이다.[4] 그런 만큼 수비가 할 수 있는 건 상대가 최대한 어려운 슛을 쏘게 하는 것밖에 없는데, 어려운 슛을 쏴도 다 넣어버리면 답이 없다. 사실 김낙수가 정대만에게 한 것처럼 골밑도 아닌 외곽요원이 경기 내내 몸싸움을 하는 건 거의 미친 짓이다. 가드들은 애초에 활동반경이 빅맨들에 비해 훨씬 넓어서 체력소모가 심하기 때문이다.

NBA의 경우 시애틀 슈퍼소닉스가 96년 파이널에서 마이클 조던을 정상적으로 집중 마크하다가 팀이 3연패를 당하자 게리 페이튼을 필두로 해서 격렬한 몸싸움을 하는 밀착마크를 한 적이 있는데 그만큼 특수한 상황에서야 하는 극단적인 처방이라는 말. 실제로 김낙수도 그냥 평범하게 수비를 하다가 3연속 실점하고 밀착마크를 하는데, 이후 정대만은 김낙수가 막는동안 득점을 추가하지 못했다. 실제로 이날 정대만은 슛감이 굉장히 좋은 날이었는데, 필 받은 정대만이 얼마나 무시무시한지 생각한다면 그가 체력이 팔팔할 전반에 저 정도로 막은 것만 해도 못 했다고 보기 힘들다.

그리고 슈터를 방해하려면 타이트한 밀착마크로 체력을 빼고 공을 차단하는 한편으로 역시 높이가 중요한데, 김낙수는 171cm로, 능남전에서 정대만에게 별 거 아니라 무시당하고 실제로 점수를 헌납해버린 안영수(174cm)보다도 작다. 공이 가는 걸 차단할 순 있어도[5] 막상 슛할 기회를 허용했을 경우 184cm인 정대만을 커버하려면 애를 엄청나게 먹을 수밖에 없다. 190cm인 장권혁조차도 폭발한 정대만의 슛을 자세만 흐트러뜨렸다고 설마 했는데 다 들어갔던 판에.... 사실 정상적이었다면 주전으로 뛸 최동오는 사이즈 면에서 정대만에게 뒤지지 않는 만큼 해남전의 홍익현과 마찬가지로, 북산 선수구성의 약점을 노려서 김낙수 같은 원 툴 플레이어로 20분을 잘 쥐어짰다면 최동오가 디펜스가 약점이라고 해도 사이즈면에서는 크게 뒤질게 없어서 리드를 지켜내는게 정상이었다.[6] 하지만 예상 이상으로 최동오가 오프볼 디펜스가 약해 스크린에 쉽게 막히고 거기서 조금씩 3점을 맞기 시작한게 대역전패의 복선을 회수하기 시작한 것.

그와는 별개로 수비와 끈기 외의 능력은 산왕 멤버 치고는 그냥저냥 평범해서[7]인지 송태섭에게 공을 손쉽게 다시 뺏기거나 하는 다른 선수들에겐 묘사되지 않을 법한 장면이 좀 나왔다. 정우성이 서태웅한테 얘기하다가 어이없게 자기에게 오는 패스를 못 받고 엉덩이에 맞는 장면이 있는데, 이 때 패스를 준 것도 김낙수이다. 물론 정우성이 제일 잘못한 거지만 패스를 줄 대상이 뒤를 살피는지도 보지 않고 신호도 없이 공을 던졌으니... 물론 이 경우는 묘사가 없지만 불렀는데 정우성이 못 들은 것일 수도 있다.

또한, 포지션에 걸맞지 않게 슈팅하는 장면이 나오지 않는다. 정대만을 막는데 집중하는 것이라면 모르겠는데 공격 능력이 없어서라면 심히 굴욕이다. 다만 득점력이 뛰어난 정우성, 신현철, 이명헌 트리오가 있는데 굳이 그가 슛을 던질 필요가 없고, 전반 신현필 투입 이후로는 신현필을 중심으로 공격이 전개되었으니 이래저래 김낙수에게는 슈팅 기회가 없었다.

4. 기타


[1] 출처: 완전판 슬램덩크 20권 45쪽.[2] 이명헌, 신현철, 정성구, 정우성 등 다른 선수들은 모두 도망친 전력이 있다. 정우성: 이미 다 지나간 일이라고요...[3] 어쩌면 이는 도진우 감독의 삽질이라고도 볼 수 있다. 해당 항목 참조.[4] 역대 최고의 가드 블러커인 마이클 조던과 드웨인 웨이드의 경우에도 커리어 평균이 한 개가 안되는데, 이 양반들은 골밑에서 빅맨들을 헬프 수비로 쫓아들어와 블럭한게 꽤 비중이 높다.[5] 사실 차단도 횡패스라면 모를까 정대만의 키를 믿고 적당히 높게 던져주는 패스를 무리해서 막는 건 어렵고 체력 소모도 크다.[6] 전반 점수 쟁탈전에 밀리지 않을 것을 전제로 산왕은 북산의 주요 득점원 중 하나인 정대만의 체력을 김낙수가 빼버리면, 후반은 정대만이 지친 틈을 타 최동오(or 정우성)가 전반에 얻어맞은 점수를 갚아주는 구상을 해온 것이라 볼 수 있다.[7] 이건 당연한게 정대만의 공격력 때문에 이 경기 한정으로 주전으로 올린거지 원래 김낙수는 후보선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