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width=320><tablebordercolor=#fff,#1c1d1f><tablebgcolor=#fff,#1c1d1f> | 노사발전재단 역대 사무총장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초대 안영수 | 2대 김용달 | 3대 문형남 | 4대 엄현택 | |
5대 이정식 | 6대 정형우 | 7대 김대환 | }}}}}}}}} |
<colbgcolor=#003984><colcolor=#fff> 제7대 노사발전재단 사무총장 김대환 金大煥 | Kim Dae-hwan | |
출생 | 1964년 8월 ([age(1964-08-01)]세) |
재임기간 | 제7대 노사발전재단 사무총장 |
2023년 3월 17일 ~ 현직 | |
학력 | 대전동산고등학교 (2회 / 졸업) 서울대학교 법과대학 (법학[1] / 학사)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행정학 / 석사[2]) 인디애나 대학교 법학대학원 (법학 / 석사 · 박사) |
병역 | 육군 소위 복무만료 (석사장교) (1991년 2월 9일) |
약력 | 제37회 행정고시 합격 고용노동부 규제개혁법무담당관 서울지방고용노동청 서울고용센터 소장 고용노동부 행정관리담당관 대통령비서실 고용노동비서관실 행정관 (박근혜 정부) 대통령비서실 고용노동비서관실 선임행정관 (박근혜 정부) 전북지방노동위원회 위원장 경제사회발전노사정위원회 운영국장 고용노동부 국제협력관 고용노동부 근로기준정책관 중앙노동위원회 상임위원 노사발전재단 사무총장 (제7대 / 윤석열 정부) |
[clearfix]
1. 개요
대한민국의 공무원 출신 공공기관인이다.2. 생애
1964년 8월 태어나 대전동산고등학교(2회)와 서울대학교 법과대학 공법학과를 졸업한 뒤 1990년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에서 행정학 석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이후 석사장교에 지원하여 1991년 2월 9일 육군 보병 소위 임관과 동시에 복무만료되어 병역을 이행하였다.1993년 12월 제37회 행정고시에 합격하여 공직에 입문하였다.[3] 이후 미국 인디애나 대학교 법학대학원에서 법학 석사 및 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2009년 7월부터 2011년 2월까지 고용노동부 규제개혁법무담당관, 2011년 2월부터 2012년 2월까지 서울지방고용노동청 서울고용센터 소장, 2012년 2월부터 2013년 4월까지 고용노동부 행정관리담당관을 지냈다. 박근혜 정부 시절이던 2013년 4월부터 2015년 3월까지 청와대 대통령비서실 고용노동비서관실 행정관 및 선임행정관으로 근무하였다.
2015년 3월부터 2017년 2월까지 전북지방노동위원회 위원장, 2017년 2월부터 2017년 9월까지 경제사회발전노사정위원회 운영국장, 2017년 9월부터 2019년 9월까지 고용노동부 국제협력관, 2019년 9월부터 2021년 3월까지 고용노동부 근로기준정책관, 2021년 3월부터 2022년 9월까지 중앙노동위원회 상임위원 겸 사무처장을 지냈다.
2023년 3월 17일 제7대 노사발전재단 사무총장으로 취임하였다.[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