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31px" | 부산 중 | 영도 갑 | 영도 을 | ||
김응주 | 이상용 | 김동욱 | 이영언 | 이만우 | |
부산 동 갑 | 부산 부산진 을 | 부산 동래 | |||
박순천 | 공석 | 이종남 | 박찬현 | 김인호 | |
마산 | 진주 | 충무 | 진해 | 삼천포 | |
허윤수 | 김용진 | 최천 | 주금용 | 이재현 | |
진양 | 의령 | 함안 | 창녕 | 밀양 갑 | |
구태회 | 이영희 | 조경규 | 신영주 | 박부화 | |
울산 갑 | 울산 을 | 동래 | |||
김정환 | 지영진 | 안덕기 | 김성탁 | 조일재 | |
김해 갑 | 김해 을 | 창원 갑 | 창원 을 | 통영 | |
강종무 | 이종수 | 김형돈 | 이용범 | 서정귀 | |
거제 | 남해 | 하동 | |||
공석 | 최석림 | 정헌주 | 김정기 | 손영수 | |
산청 | 함양 | 거창 | 합천 갑 | 합천 을 | |
김재위 | 박상길 | 서한두 | 유봉순 | 최창섭 | |
* 양산 지영진 자격 상실 (1959.7.22.) * 부산 동 을 오위영 사퇴 (1960.6.30.) * 거제 진석중 사망 (1960.7.13.) | |||||
◀ 제3대 제5대 ▶ | }}} }}}}}} |
{{{#!wiki style="margin: -7px -10px -10px;" {{{#!wiki style="margin: -6px 0px -1px; display: inline-table;" | <tablebordercolor=#808080><tablebgcolor=#808080> | }}} {{{#!wiki style="margin: -5px -2px; display: inline-table;" | <tablebordercolor=#808080><tablebgcolor=#808080>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31px;" | 이성주 | 김의준 | 이재형 | 정준 | 윤재근 |
유영준 | 최용근 | 장석윤 | 정규상 | 황호현 | |
유기수 | 서임수 | 박현숙 | 박덕영 | 김진만 | |
전만중 | 권복인 | 정운갑 | 김주묵 | 김원태 | |
정상희 | 정낙훈 | 박병배 | 류지원 | 박충식 | |
윤병구 | 류순식 | 인태식 | 이민우 | 김종철 | |
김원전 | 김원중 | 이옥동 | 정준모 | 박세경 | |
안균섭 | 홍순희 | 김형섭 | 박흥규 | 이정휴 | |
이갑식 | 황숙현 | 이형모 | 구흥남 | 손석두 | |
김향수 | 김삭 | 변진갑 | 손재형 | 하태환 | |
안용대 | 문종두 | 김성곤 | 박영교 | 윤용구 | |
박종길 | 김장섭 | 이협우 | 이종준 | 반재현 | |
장택상 | 김동석 | 김정근 | 이동녕 | 정재원 | |
이정희 | 최병권 | 이상룡 | 이영언 | 김인호 | |
주금용 | 이재현 | 구태회 | 신영주 | 지영진 | |
안덕기 | 김성탁 | 강종무 | 이종수 | 김형돈 | |
김정기 | 박상길 | 최창섭 | 김두진 | 현오봉 | }}} }}}}}} |
金正基
1912년[1] 8월 16일 ~ 1981년[2] 6월 5일[3]
1. 개요
대한민국의 전 정치인이다. 본관은 경주(慶州)[4], 자는 영채(永彩), 호는 녹은(鹿隱).2. 생애
1912년 8월 16일 경상남도 남해군 고현면 대사리 방월마을에서 아버지 김제범(金濟範, 1878.12.8. ~ 1952.2.3.)[5]과 어머니 담양 전씨(1880 ~ 1942.2.13.)[6] 사이에서 3남 3녀 중 차남으로 태어났다.[7] 설천공립보통학교를 졸업하고 고등보통학교를 졸업했다.[8]8.15 광복 이후 행정직원 자격시험에 합격하여 재무부[9]에서 근무하였으며, 부산시 후생과장, 부산시 위생과장 등으로 재임하였다. 이후 부산수산대학교 후원회 이사, 남해군 수리조합 조합장, 주식회사 대공산업 사장 등을 지냈다.
1956년 지방선거에서 무소속 후보로 초대 경상남도의회 남해군 제2선거구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1958년 제4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자유당 후보로 경상남도 남해군 선거구에 출마하여 자유당 차진칠 후보와 전직 체신부 장관인 자유당 조주영 후보를 누르고 당선되었다.
1960년 제5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무소속 후보로 경상남도 남해군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같은 자유당계인 무소속 최치환 후보에 밀려 5위로 낙선하였다. 선거 출마 당시 그가 반민주행위자라며 그의 출마를 규탄하는 시위가 있기도 하였다.[10]. 1961년 3.15 부정선거와 관련한 반민주행위자공민권제한법에 의하여 공민권이 제한되었다.
1981년 6월 5일 서울특별시 은평구 불광동 291-52번지[11] 자택에서 숙환으로 사망했다.[12]
3. 선거 이력
당 내부 선거가 아닌 대한민국 선출직 공직자 선거 결과만 기록한다.연도 | 선거종류 | 선거구 | 소속정당 | 득표수(득표율) | 당선여부 | 비고 |
1956 | 1956년 지방선거 | 경남 남해 2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 | 당선 (1위) | 초선 |
1958 | 제4대 국회의원 선거 | 경남 남해 | [[자유당(1951년)|]] | 17,518 (37.50%) | 초선 | |
1960 | 제5대 국회의원 선거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8,051 (16.17%) | 낙선 (5위) |
[1] 역대국회의원총람에는 1911년생으로 기재되어 있다.[2] 대한민국헌정회 회원프로필에는 1982년에 사망한 것으로 오기되어 있다.[3] 음력 5월 4일[4] 수은공파(樹隱公派)-계파(季派)-송헌공(松軒公) 문중 22세 정(正) 항렬.[5] 자는 군일(君鎰).[6] 전재완(田在完)의 딸이다.[7] #[8] 역대국회의원총람[9] 현 기획재정부[10] 1960년 7월 23일 경향신문 기사[11] 현재는 북한산 힐스테이트 7차 아파트단지의 일부로 편입되어 있다.[12] 1981년 6월 6일 동아일보 부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