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10-16 16:12:13

나루토/애니메이션/여담


<nopad> {{{#!wiki<tablebgcolor=transparent><tablebordercolor=transparent> 파일:나루토 리마스터버전 한국어로고.png나루토
애니메이션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keep-all; font-size:.94em; letter-spacing:-.2px"
<colbgcolor=#ffa561,#ffe400><colcolor=#fff,#000> 나루토 주제가 (오프닝 · 엔딩 · 한국) · 회차 목록
나루토 질풍전 주제가 (오프닝 · 엔딩 · 한국) · 회차 목록
기타 극장판 · 여담 · 후속작
}}}}}}}}} ||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나루토/애니메이션
1. 개요2. 캐스팅3. 제작4. 기타
4.1. 애니메이션 수록시

1. 개요

나루토 애니메이션 1화(2002)부터 699화(2016)까지 담당한 감독 다테 하야토가 트위터에서 발언한 제작 뒷이야기 트윗을 정리한 문서. 상당한 양을 트윗하였으므로 관심이 있는 유저는 직접 감독의 트위터에 가서 확인해보자. '裏話'를 넣어 검색하면 확인하기 쉽다.

2. 캐스팅

이 문서에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 문서가 설명하는 작품이나 인물 등에 대한 줄거리, 결말, 반전 요소 등을 직·간접적으로 포함하고 있습니다.

3. 제작

4. 기타

4.1. 애니메이션 수록시


[1] 이 중 이시다 이키라(가아라 역)와 세키 토시히코(이루카 역)는 다테 감독의 전작인 환상마전 최유기에서 저팔계(이시다)와 현장 삼장(세키)를 맡은 적이 있어 연기 특성 등에 관해서 다 꿰고 있었는 터라 쉽게 결정한 것으로 보인다. 여담으로 최유기의 주역 4인방 중 나머지 2명의 연기를 맡은 성우들도 나루토에 출연했는데, 손오공 역의 호시 소이치로야샤마루(나루토), 사오정 역의 히라타 히로아키시라누이 겐마로 캐스팅 되었다.[2] 한국의 최유기 주역 4인방 성우들도 사오정 역의 김환진을 제외하고 나루토에 출연했다. 손오공 역의 김영선은 사스케, 현장 삼장 역의 홍시호는 우치하 마다라 & 개그 버전 토비, 저팔계 역의 김승준은 질풍전 10기 & 더 라스트 & 보루토에서 카카시를 맡았다.[3] 이 캐릭터 자체가 여성스러움이 느껴지는 디자인을 하고 있어서 충분히 오해할 만한 부분이다.[4] 반다이측에서 나루토 관련 라이센스를 받아 관련 프라모델이나 굿즈를 많이 생산 중이니 쉽게 컨택이 되었을 것이다.[5] 아마도 성우들이 연습 때 활용한 영상과 본 녹음 때 활용한 영상이 미묘하게 달라 둘을 비교 시 대사와 입 모양 싱크로 등이 맞지 않는 문제가 발생한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