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03 16:43:51

베트남 공화국 육군

남베트남 육군에서 넘어옴
파일:베트남 공화국군기.svg
베트남 공화국 군력
Quân Lực Việt Nam Cộng Hòa
파일:베트남 공화국 육군기.svg 파일:베트남 공화국 해군기.svg 파일:베트남 공화국 공군기.svg
베트남 공화국 육군 베트남 공화국 해군 베트남 공화국 공력
베트남 공화국 육군
[ruby(Lục quân Việt Nam Cộng hòa, ruby=陸 軍 越 南 共 和)]
Army of the Republic of Vietnam (ARVN)
파일:베트남 공화국 육군기.svg
깃발
<colbgcolor=#DA251D> 창설일 1955년 12월 30일
소속 베트남 공화국군
본부 베트남 공화국 사이공 도성
참전 베트남 전쟁
캄보디아 내전
라오스 내전

1. 개요2. 역사3. 편제
3.1. 육군3.2. 민병대
3.2.1. 지방군3.2.2. 의용군3.2.3. 민간비정규방위단
4. 잘 싸운 부대들5. 장비
5.1. 보병장비5.2. 기갑차량

[clearfix]

1. 개요

베트남 공화국의 육군이다. 병력수는 약 410,000명이었다.[1] 1949년 창설된 베트남국 육군이 전신이다.

베트남 공화국 육군 특별역량(LLDB, Lực lượng đặc biệt Việt Nam Cộng hòa)라는 특수부대도 설치되었는데, 베트남 공화국 육군 내에서도 정예 부대였고, 2,800여명 정도 있었다. 미군 특수부대와 함께 북베트남 영토를 가끔씩 때리기도 했다.

베트남 공화국군 중에서는 정예군종이긴 했으나, 어디까지나 개막장 베트남 공화국 육군 기준으로 나았다는 거지 미군이 전폭적으로 훈련을 지원하기 시작한 1965년 전에는 이들도 아주 신통치는 않았다, 베트남 일반 보병사단만 졸전을 펼쳤던 1963년 압박 전투와는 달리, 1964년 빈 지아 전투에서는 이들 레인저와 또 다른 정예부대들이었던 해병대, 공수사단까지 투입됐지만 결국 일부 대대의 분투에도 불구하고 전체적으로 보면 졸전을 면치 못했다. 그것도 현지 민간인들이 공화국군에게 전면적으로 협력하는 유리한 상황에서도 말이다.[2] 1965년 동 쏘아이 전투에서는 적군 수백을 사살하는 성과를 올리긴 했으나 정작 이쪽도 같은 자리수의 사상자가 나온 건 마찬가지인데다 결과적으로 전술적 목표를 달성해 승리한 건 베트콩이었다.

그나마 1968년 구정 공세 당시 남베트남군 레인저와 해병대가 후에시에 난입한 베트콩을 압도적인 교환비로 물리쳤지만 이건 미국이 본격적으로 베트남 전쟁에 개입한 후이고 구정공세때의 전과도 역시 미군의 전폭적인 지원이 아니었으면 불가능했을 것이다. 애초에 미국이 베트남 전쟁에 전면적으로 개입한 것도 압박 전투등 기타 전투에서 보여준 남베트남군의 형편 없는 전투력에 실망했기 때문이다. 남베트남군 자체의 역량으로 베트콩과 북베트남군을 상대할 수 있었다면 뭐하러 미국이 막대한 전비와 50만이나 되는 병력에다 한국군등 동맹군 병력까지 참전시켰겠는가 그나마 1970년대 미군이 철수하면서 고급 장비들을 놓고 가 전투력이 강화되었다.

2. 역사

상술되어 있듯이 전신은 베트남국의 군대 베트남 국군이었다. 베트남 국군의 작전통제권프랑스가 갖고 있어서 사실상 프랑스군 내의 베트남인 부대로 봐도 무방했으나, 1954년 베트남국에 작전통제권을 주면서 본격적으로 창설이 된다. 베트남국 시절에는 명목상 6개의 기동단[3] 편제를 가지고 있었으나 베트남국 존속 기간 내내 2개 대대 이상의 작전은 수행하지 않았다.

1954년 제네바 협정에 의거하여 남에는 베트남국[4]이, 북에는 호치민을 주축으로 하는 공산 정부가 수립이 되면서, 프랑스 식민지 시절 프랑스군에서 복무하던 베트남인들을 주축으로 152개 보병대대, 2개 공수대대, 2개 황실친위대, 2개 산악보병대대, 2개 기갑대대, 6개 방공포대대 그리고 5개 기술지원대대 등, 총 173개 대대로 편제되어 창설되었다. 1955년 베트남국이 베트남 공화국으로 바뀌면서 자연히 군대 이름도 베트남 공화국군이 되었다.

1955년 베트남 공화국 육군은 8,100명을 정원으로 하는 4개 보병사단과 5,800명을 정원으로 하는 6개 경보병사단으로 재편성된다.

1959년 베트남 공화국 육군은 각종 군사 교육을 당담할 교육기관을 설립한다. 다랏에는 사관학교(Trường Võ bị Quốc gia Đà Lạt)를, 냐짱에는 부사관학교와 특수부대를 육성할 특수전학교 등을 세웠고, 사이공에는 지휘참모군의대학과 군사정보언어학교, 그리고 각 병과별 병과학교[5]들을 세웠다. 투톡에는 병기학교를, 쾅 트롱에는 수송병과학교를, 그리고 붕따우에는 기술학교를 세웠고, 다낭에는 헌병학교 등을 설립하여 베트남 공화국군 장병들의 교육을 당담시켰다.

3. 편제

3.1. 육군

베트남 공화국 육군은 베트남전역을 4개 전술책임구역으로 나누어 4개[6] 군단으로 하여금 관할 구역 내 작전 임무를 책임지게 하는 전술 형태를 채택했다.

베트남 공화국 육군은 7개 사단으로 시작해 4개 전술책임구역을 관장하는 4개 군단 예하 11개 사단으로 증편된 뒤 북쪽 고원지대에서 남쪽 해안지대에 이르는 남베트남 전역에 배치되어 임무를 수행하게 된다.[7]
1959년 무렵 1개 보병사단은 3개 보병연대, 105mm 포대, 4.2인치 박격포대대와 수색대대로 구성된 일만 사백 오십명으로 구성되었다.이 편제는 23사단이 2개 보병연대로 편성되는 1964년 말까지 변함이 없었다.1965년 여름부터 1개 보병연대는 4개 대대로 구성되었다.

10 사단은 1965년 5월 16일 쑤언록에서 기존 43,48보병연대와 신설된 52보병연대를 근간으로 3군단 예하로 창설이 되며,1967년 1월 말 사단 명창이 10사단에서 18사단으로 변경된다.

1965년 11월에는 새로운 독립연대가 창설되었고, 여기에 추가해서 모든 보병 사단은 박격포 대대와 105mm 곡사포 2개 대대를 보유하게 된다.

23사단은 1967년에서 1968년 사이 세 번째 연대인 53보병연대를 인가받아 재편성되며,1968년 초에는 모든 사단들이 3개 대대 규모의 105mm 포대와 1개 대대의 155mm 포대를 보유하게 된다.
1968년 기준으로 베트남 공화국 육군 전력은 10개 보병사단을 포함하여 3개 독립연대, 공수사단, 레인저 사령부(20개 대대), 그리고 11개 기갑대대,105mm 24개 대대와 155mm 6개 포대를 보유하고 있었다.[26]

1971년경 보병연대 편제는 기존 4개 대대에서 3개 대대로 축소되지만, 각 대대는 3개 중대에서 4개 중대로 재편성된다. 베트남 공화국 육군의 대대,중대별 병력 편성과 장비 보유 현황은 다음과 같다.보병대대는 대대본부, 화력지원중대[27] 그리고 3개 보병중대로 구성이 되었다.1개 보병중대는 총 110명에서 200명 사이로 구성되며, 중대본부, 2문의 기관총과 60mm 박격포로 무장한 중화기소대, 3개 보병소대로 편성되었다.

1971년 10월 1일 3사단이 1군단 예하로 창설되며, 사단본부는 쾅트리 근교 아이투에 설치가 되지만 1972년 쾅트리가 월맹군에게 점령당하면서 3사단은 다낭으로 이전하여 재편성을 하게 된다.

1972년 이후로 모든 독립연대는 사단으로 흡수된다.[28] 이와 더불어 1972년 월맹군과 베트콩의 부활절 공세 이후 베트남 공화국 육군은 2개 대대 규모의 방공포 대대와 175mm 포병대대를 각각 창설하고,1973년 6월에는 주월미군의 철수로 발생한 화력 공백을 메꾸기 위해 4~5개 175mm 포병대대와 4개 방공포대대를 창설하여 운영하개 되지만,1975년 4월 30일 베트남 공화국이 월맹에게 패망하며 베트남 공화국 육군도 그 운명을 다한다.

베트남 공화국 육군 기갑전력은 4개 기갑연대로 편성됐다. 1군단 지역에는 4기갑연대,2군단 지역에 3기갑연대,3군단 지역에 1기갑연대,4군단 지역에 2기갑연대가 배치되어 임무를 수행하기 시작했다.

1963년 12월에는 제5,제6 기갑연대가 창설되었다.베트남 공화국 육군은 1개 보병사단당 1개 기갑연대를 배치하는 것을 목표로 전력 증강을 꾀했다.1965년 기준으로 6개 기갑연대에 29개 대대를 보유하고 있었다.[29]

1966년 3월에는 10기갑연대가 창설되는 것을 시작으로 1968년부터 1972년까지 총 12개의 기갑연대가 창설되었다.이로써 베트남 공화국 육군은 1,2,3,4,5,6,7,8,10,11,12,14,15,16,17,18,19,20기갑연대 등 총 18개의 기갑연대를 보유했다.

기갑 전력의 증강으로 베트남 공화국 육군은 최초 의도대로 11개 보병사단에 11개 기갑연대를 배치할 수 있었고, 별도로 7개 독립기갑연대를 운영할 수 있었다. 1970년에는 각 군단에 편성되어 있던 기갑연대 대신 1군단 지역에 1기갑여단,2군단 지역에 2기갑여단,3군단 지역에 3기갑여단,4군단 지역에 4기갑여단 등 총 4개의 기갑여단을 창설하여 운영하기 시작했다.

1972년 이후에는 20기갑연대와 21기갑연대가 창설되었고, 1974년 M48 패튼 전차와 M41 워커 불독,M113 APC로 구성된 혼성기갑대대가 사이공 근교 투톡에 위치된 기갑학교에서 창설되어 패망 직전까지 활약한다.

3.2. 민병대

베트남 전쟁 내내 벌어진 대 베트콩 전역에서 실질적인 주력군의 역할을 담당했던 군대.

베트남 공화국의 국민들을 베트콩북베트남군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1955년 응오딘지엠 총통의 명령으로 창설되었으나, 총통의 명령은 계기가 되었을 뿐 실제로는 국민들이 자발적으로 입대하면서 조직되었고 남베트남 정부는 50년대 내내 지원을 거의 하지 않았다. 1960년부터 1964년까지 그나마 베트남 공화국 정부의 지원을 받았으나 실제 일처리가 형편없었기에 효과는 거의 없었고 병력 규모나 장비도 엄청 열악했다. 처음엔 매우 열악하고 그저 주민들이 조직한 지방군 및 의용군이였지만, 1965년 이래 미국이 이들을 육성하기로 마음먹고 부족한 인적자원이나마[30] 투자를 해 주기 시작하자 순식간에 숫자와 전투력이 급속도로 상승하기 시작했으며, 전과도 나름 상당했다. 남베트남군의 작전 능력 부족 문제로 인해 나중에는 최전방에서 싸우기도 했다.

이들에게 제대로 된 훈련을 시켜주고 함께 싸운 미군은 이들을 "러프 퍼프"(Ruff puff)라는 별명으로 불렀다.

3.2.1. 지방군

이들은 중대 단위로 조직됐으며, 창설 이래 각 성 단위로 경계 임무를 수행하고 주민들을 베트콩으로부터 방어하는 역할을 했다. 각 성장 휘하의 중대 단위 병력 이외에도 중앙 직속으로 8개의 기동대대가 있었다. 중대 단위였던 탓인지 이들은 자체적으로 포병 병과를 보유하지는 못했던 것으로 보인다. 대신 소대 단위로 편성된 캐딜락 게이지 코만도 V-100 장갑차를 보유하고 있었다. 1965년 기준으로 969개 중대로 구성되었다. 선박 중대도 보유하고 있었다.

3.2.2. 의용군

이들은 소대 단위로 조직됐으며, 6.25 전쟁 때의 국민방위군과 엇비슷하게 자기 고향 마을에서 농사일 같은 다른 직업에 종사하다가 베트콩이 쳐들어오면 맞서 싸우는 식으로 복무했다. 월급이 매우 형편없었다는 증언이 있으나, 한편으로는 가족들과 이웃들, 고향을 자기 손으로 지킬 수 있다는 장점 덕분에 나름 매력적인 복무 형태기도 했다. 그 특성 덕분에 실질적으로 베트콩한테 매우 큰 문제가 되었던 조직. 정부군이나 지방군과는 다르게 제복조차 지급받지 못해 사복 차림으로 활동해야 했다. 장비 역시 2차대전 당시 사용된 경화기들이 다수일 정도로 열악했다. 1965년에는 3,882개 소대에 육박했다.

3.2.3. 민간비정규방위단

싯지[31] 프로그램은 크게 2가지 목표를 가지고 1961년부터 시작됐다. 첫째는 몽타냐드족과 같은 소수민족들이 스스로의 힘으로 공산당에 대항해 싸울 수 있는 능력을 키워주기 위해, 둘째는 공세적인 공산군에 대항해 수세적으로 베트남 공화국 전 지역에 배치된 베트남 공화국군의 전투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서였다. 싯지 프로그램의 준비 단계로서 7인의 미군 특수부대 요원들과 Luc Luong Duc Biet(LLDB)라고 불리는 베트남 공화국군 특수부대 요원들이 번 에나오 마을에 들어가 주변에 방어 시설을 세우고 주민들을 훈련시켰다.

번 에나오 마을에서 실행된 싯지 프로그램은 대성공이었다. 급속히 확산되기 시작한 싯지 프로그램은 1962년 8월 200개 마을에서 12,000명의 싯지 요원들이 활동할 정도로 번창했다. 63년 말에는 특수부대에게 훈련받은 요원들이 6만명을 넘어서고 있었다. 싯지 프로그램에 참여한 마을에서는 베트콩들이 활동할 수 없었다.

싯지 요원들은 미군 특수부대의 지휘 아래 중대 단위 또는 대대 단위로 편성되었다. 이들은 미군 특수부대와의 합동작전을 통해 명성을 쌓아갔는데, 웬만한 베트남 공화국군 특수부대 요원들보다 훨씬 용감하고 훌륭한 군인이라는 평가를 받을 정도로 미군에게 큰 신뢰를 사고 있었다.

미군은 싯지 조직을 미군 특수부대의 전략적 파트너로 활용하기 위해 1965년 모바일 스트라이크 포스,속칭 마이크 포스를 창설했다. 마이크 포스는 베트남 공화국군 1군단에서 4군단에 이르기까지 각 군단 지역에 하나씩 편성되었으며 나트랑에는 광역신속기동군(Country Wide Mobile Force)이 별도로 편성되었다.

마이크 포스는 기본적으로 공수 교육을 이수한 184명을 1개 중대 단위로 편성했으며[32], 나트랑에 위치한 마이크포스는 1967년에 6개 중대로 구성되어 있었다. 1968년 3월에 나트랑 마이크포스는 2개 대대를 예하에 두는 제55마이크포스 사령부로 확대 개편되었고 또한 각 군단 지역에 하나씩 편성되어 있던 마이크포스도 16•20•36•40 마이크포스 사령부로 확대 개편된다.

마이크포스 1개 대대는 3개 중대(1개 중대 184명)로 구성되었고 각 마이크포스 사령부는 예하에 135명으로 편성된 정찰중대도 별도로 보유하고 있었다. 55마이크포스는 5마이크포스로 명칭이 변경된다.

16 마이크포스 사령부는 1개 대대로 20•36•40 마이크포스 사령부는 각 3개 대대로 그리고 55 사령부는 2개 대대로 구성되었다가, 1968년에 들어서 16사령부가 2개 대대로 20사령부가 5개 대대, 그리고 55사령부가 4개 대대로 증편되었고 36•40사령부는 계속해서 3개 대대로 변함이 없다가 동년 가을에는 16•20•36•40•55 사령부가 각각 2•3•4•5 마이크포스 사령부로 그 명칭이 변경된다.

마이크 포스는 미군과 함께 월맹군에게 용맹을 떨쳤지만 1970년 능력을 인정해주고 전략적 파트너로 당당히 대접을 해주던 미군이 철수하자 미군 지휘에 있던 싯지 부대와 마이크포스 부대들은 베트남 공화국 정부의 통제 하에 들어가 지방군의 일부인 국경레인저 대대로 전환되거나,심지어 부대 자체가 폐쇄되는 운명을 맞게 된다.

국경레인저대대는 1970년 이전 미군 특수부대의 지휘하에 있던 비정규 방위조직인 싯지 요원[33]들이 미군 특수부대가 철수함에 따라 지휘권이 베트남 공화국군에 넘어가면서 특정 지역에 주둔하고 평정 임무를 수행하는 지방군 성격의 37개 대대 1만 4천명 규모로 전환되면서 만들어졌다.

싯지나 국경레인저대대는 베트남인들이 경멸의 눈초리로 대하던 산악 원주민 몽타냐족이 주된 구성원으로,남북 안 가리고 베트남인들에게 많은 차별과 억압을 받아와서 베트남 공화국 중앙정부와 사이가 좋지 않았다. 공동의 적인 공산주의자들을 앞에 두고도 서로를 믿지 못하는 사태로 자주 발전할 정도로 서로를 믿지 못했다. 산악 원주민들은 베트남 공화국군 군인들과의 분쟁으로 반란을 일으키기 직전까지 간 적도 있었다.

싯지 요원들은 축적된 전투경험과 미군에게 넘겨받은 고급 전투 기술 등으로 무장되어 있었다. 그러나 산악민들을 경멸하던 베트남 공화국군은 몽타냐드족 특수부대를 마을이나 촌락을 지키는 지방군으로 활용했을 뿐이었다. 베트남 공화국 말기 월맹군이 파도처럼 몰려오기 직전 당황해서 어영부영하고 있던 베트남 공화국군을 수습하고 전선을 단축시킬 목적으로 1군단 지역과 2군단 지역에서 베트남 공화국군을 철수시키라는 명령이 떨어졌을때, 당시 2군단장이던 팜반푸(Phạm Văn Phú)) 장군은 참모들을 모아놓고, 철수 명령은 베트남 공화국 정규군에 한한 것이니 산악원주민들로 구성된 지방군은 남아서 싸우든지 말든지 마음대로 하라고 방치한 것은 이를 단적으로 보여준다.

미군 특수부대로부터 전략적 파트너로 인정받아 마이크포스와 싯지로 그 용맹을 떨친 몽타냐족은 지휘권이 베트남 공화국군으로 넘어가면서 자신들의 가치를 제대로 평가받지 못하게 되었는데,이는 본인들은 물론이고 베트남 공화국으로서도 불행한 일이었다.

4. 잘 싸운 부대들

5. 장비

5.1. 보병장비

베트남전기의 베트남 공화국군(월남군) 보병장비
파일:베트남 공화국 국기.svg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px -11px;"
<colcolor=#373a3c> 베트남 전쟁
베트남 공화국군보병장비
개인화기 <colcolor=#373a3c> 소총 <colcolor=#373a3c> 볼트액션 소총 <colbgcolor=#fefefe,#393b42>MAS-36, 38식 소총, 스프링필드 M1903
반자동소총 M1 개런드, M1 카빈 M1A1 카빈, M14
자동소총 M2 카빈, M16, XM16E1, M16A1, CAR-15, XM177
기관단총 M45, UZI, S&W M76, M3A1, M-50, MAS-38, MAT-49, MP40, M1928A1, M1A1
권총 M1911, 콜트 디텍티브 스페셜, M1917, S&W M10
산탄총 이사카 M37, 레밍턴 M31, 윈체스터 M21, 스티븐스 M77E
지원화기 기관총 M60, M1918, FM 24/29, M1917, M1919, M37, M73, M2
유탄발사기 M7, M8, M79, M203
대전차화기 M9, M20, M18 무반동포, M20 무반동포, M67 무반동포, XM26, M72 LAW
화염방사기 M9A1-7, XM202
박격포 M2, 브랑 M27/31, M1, M29
폭발물 수류탄 OF-37, DF-37, M26, Mk.2
지뢰 M14, M15, M16, M18/M18A1 클레이모어
냉병기 총검 M1905, M1, M6, M7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베트남 국기.svg 베트남군의 운용장비 | 파일:gun_icon__.png 냉전기 보병장비 }}}}}}}}}


5.2. 기갑차량

베트남전기의 미군 및 다국적군 기갑차량
파일:미국 국기.svg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제1차 인도차이나 전쟁, 제2차 인도차이나 전쟁, 캄보디아 내전, 라오스 내전
미군다국적군 기갑차량
파일:베트남 공화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파일:호주 국기.svg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파일:태국 국기.svg 파일:캄보디아 국기.svg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00px-Flag_of_the_Khmer_Republic.svg.png 파일:라오스 왕국 국기.svg
기타전차 <colbgcolor=#fefefe,#191919>M31 TRVFR, 89식 중전차 치로 을형FR, M4A1FR, 전투공병전차, M67A1 지포 화염방사전차, T-34-85C
전차 경전차 95식 경전차 하고FR, AMX 13ROV/KH, M41(A1/A3)ROV, M5 스튜어트FR/ROV, M24 채피FR/ROV/KH/LAO
공수전차 M551 셰리든
주력전차 M48(A2C/A3), 센추리온 Mk.5/1AUS, 59식 전차C/ROV
장갑차 차륜장갑차 닷지 WC62FR, GMC CCKWFR, Coventry Mk.IFR, V-100, M8 LACFR/ROV/LAO, 험버 정찰장갑차FR, 파나르 178BFR/ROV, 링스ROV, 알비스 살라딘(FV601)AUS, M3 스카웃 카FR
궤도장갑차 94식 경장갑차 TKFR, 르노 UE 슈니예트FR, Sd.Kfz. 251FR, LVT-4FR, LVT-4/40FR, M113ROK/ROV/KH, M59, LVTP-5ROV, LVTH-6, M113 76mm FSVAUS, M114 장갑차, M2 하프트랙FR/ROV, M3 하프트랙FR/ROV/LAO, 유니버설 캐리어FR, M29C 위즐FR
차량 소형 M151, M715, 랜드로버 시리즈 IIAUS
트럭 ZIS-150C, 건 트럭, M37, M602, M211, M274
자주포 자주곡사포 LVT(A)-4FR, M8 스콧FR, M53/M55, M107, M109, M108, M110
자주박격포 M125, M106
대전차 자주포 M50 온토스, M56 스콜피온, M36B2FR
대공 차량 자주 대공포 GMC CCKW 353 AAFR, M16 MGMC 미트쵸퍼, M167 VADS, M42 더스터, Phòng không T-34C/ROV
※ 윗첨자ROV: 남베트남(Republic Of Vietnam)군 소속 차량
※ 윗첨자AUS: 오스트레일리아(AUStralia)군 소속 차량
※ 윗첨자FR: 프랑스(FRance)군 소속 차량
※ 윗첨자KH: 캄보디아 왕국 및 크메르 공화국(KHmer)군 소속 차량
※ 윗첨자LAO: 라오스(LAOS) 왕국군 소속 차량
※ 윗첨자ROK: 대한민국(Republic Of Korea) 국군 소속 차량
※ 윗첨자C: 노획 차량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파일:미국 국기.svg 미군의 운용장비 |파일:호주 국기.svg 호주군의 운용장비 |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뉴질랜드군의 운용장비 | 파일:베트남 공화국 국기.svg 남베트남군의 운용장비 |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프랑스군의 운용장비 | 파일:태국 국기.svg 태국군의 운용장비 | 파일:캄보디아 국기.svg 캄보디아군의 운용장비 | 파일:라오스 국기.svg 라오스군의 운용장비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국군의 운용장비 | 파일:tank_icon__.png 냉전기 기갑차량 }}}
}}}}}}



[1] 베트남 공화국군 병력이 115만 명이라고 알려졌지만 실제론 정규군이 58만 명 정도였고, 다른 57만 명은 밑에서 서술할 민병대와 지방군이었다.[2] http://www.k16vbqgvn.org/tranbinhgia.htm[3] 여단급 제대,3대 차량화보병 대대와 지원 포병,통신,공병 제대로 구성된다.[4] 이후 베트남 공화국이 되었다.[5] 보병, 방공포, 기갑, 통신, 행정[6] 1, 2, 3, 4군단[7] 각 군단 예하에는 포병대, 유격대가 배속되어 있어 군단 작전을 지원했다.[8] 다낭 소재[9] 고도인 후에 시에 주둔[10] 제2연대는 1971년 이후 제3사단 편입.[11] 다낭 지역 주둔,1965년 5월 꽝응아이로,1972년 쭈라이로 이전[12] 1971년 10월 1일 1군단 예하로 창설되어 꽝찌에 주둔하다가 1972년 꽝찌가 월맹군에게 함락되면서 다낭으로 이전, 재편성[13] 쁠레이꾸 소재[14] 1965년 5월까지 콘툼에 주둔 후 바기로 이전함.[15] 반메투옷 주둔[16] 비엔호아 소재[17] 1964년 7월까지 푸로이에 주둔했다가 1970년 2월 라이케로 이전함[18] 1965년 5월 16일 쑤언록에서 제3군단 예하에 제10사단으로 창설. 67년 1월 말에 제18사단으로 명칭을 변경함.[19] 1964년 12월부터 투아호아에 주둔했다가 1970년 미 육군 제25사단 주둔지인 구치로 이전함.[20] 껀터 소재[21] 미토에 최초 주둔하였으나, 1969년 11월 미 육군 제9사단 주둔지인 동떰으로 이전함.[22] 1972년 4월까지 사덱에 주둔하였다가 빈 롱으로 이전[23] 박리에우 주둔[24] 사이공 소재[25] 비엔호아 소재[26] 포병 전력은 1970년 말 105mm 대대 43개, 155mm 대대 15개(1969년 12개)로 증강된다.[27] 4~8문의 106mm 무반동총, 4문의 4.2인치 혹은 81mm 박격포 보유, 연대 전체로는 2~3문의 토우 미사일 지프 보유[28] 베트남 공화국 육군은 1972년 11개 사단과 35개 독립연대를 운영중이었다.[29] 5개 탱크대대,3개 기갑대대, M113 APC 21개 대대[30] 너무 인적자원이 부족한 나머지 위관급 장교 3명과 부사관 3명으로 구성된 고문단이 각 중대에 순환배치되어 훈련시켜주는 식이었다.[31] CIDG: Civilian Irregular Defense Group[32] 마이크 포스 요원들은 미군과 함께 특수작전에 자주 투입되었기 때문에 공중침투 기술 습득은 필수였다.[33] 마이크 포스[34] 46년 후 아프가니스탄에서 일어난 일을 보면, 마지막 순간 18사단이 며칠을 벌어준 것이 얼마나 큰 것이었는지를 다시금 알 수 있다. 그 때문에 그나마 질서를 갖추어 철수할 수 있었고 더 많은 사람들이 빠져나가 후일을 도모할 수 있었다.[35] 모태는 프랑스 극동원정군이 편성한 베트남인 낙하산병 대대들이었다.[36] 베트남 공화국 성립 이후에는 미국식 레인저 부대로 재편되지만, 베트남국 시절에는 명칭과 편제가 코만도였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382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382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