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f 문서명2 != null
, [[하동군/정치]]#!if 문서명3 != null
, [[]]#!if 문서명4 != null
, [[]]#!if 문서명5 != null
, [[]]#!if 문서명6 != null
,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31px" | 창원 갑 | 창원 을 | 마산 갑 | 마산 을 | 진해 |
| 권경석 | 권영길 | 이주영 | 안홍준 | 김학송 | |
| 진주 갑 | 진주 을 | 통영·고성 | 사천 | 김해 갑 | |
| 최구식 | 김재경 | 이군현 | 강기갑 | 김정권 | |
| 김해 을 | 밀양·창녕 | 거제 | 양산 | ||
| 김태호 | 조해진 | 윤영 | 박희태 | 조진래 | |
| 남해·하동 | |||||
| 여상규 | 신성범 | ||||
| * 김해 을 최철국 의원직 상실 (2010.12.9.) * 양산 허범도 의원직 상실 (2009.6.23.) | |||||
| ◀ 제17대 제19대 ▶ | }}} }}}}}} | ||||
| {{{#!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 | <tablebordercolor=#580009><tablebgcolor=#580009> | 남해군·하동군 남해군, 하동군 일원 南海郡·河東郡 Namhae–Hadong | }}} | |||
| <colbgcolor=#580009><colcolor=#fff> 선거인 수 | 88,545명 (2008) | |||||
| 상위 행정구역 | 경상남도 | |||||
| 관할 구역 | ||||||
| 신설년도 | 1973년 | |||||
| 이전 선거구 | 남해군, 하동군 | |||||
| 폐지년도 | 2012년 | |||||
| 이후 선거구 | 사천시·남해군·하동군 | |||||
1. 개요
대한민국의 경상남도 남해군, 하동군 일원을 관할했던 선거구. 해남군·진도군, 진안군·무주군·장수군, 문경시·예천군처럼 9대 총선 때 중선거구로 만들어졌다가 인구 감소로 소선거구가 된 경우다.2. 역대 국회의원 목록과 역대 선거 결과
| <rowcolor=#fff> 대수 | 당선인 | 당적 | 임기 |
| 제9대 | 신동관 | [[민주공화당| 민주공화당 ]] | 1973년 3월 12일 ~ 1979년 3월 11일 |
| 문부식 | [[신민당(1967년)| 신민당 ]] | ||
| 제10대 | 신동관 | [[민주공화당| 민주공화당 ]] | 1979년 3월 12일 ~ 1980년 10월 27일 |
| 최치환 | | ||
| 제11대 | 박익주 | | 1981년 4월 11일 ~ 1985년 4월 10일 |
| 이수종 | | ||
| 제12대 | 박익주 | | 1985년 4월 12일 ~ 1988년 5월 29일 |
| 최치환 | | 1985년 4월 12일 ~ 1987년 5월 27일[1] | |
| 제13대 | 박희태 | | 1988년 5월 30일~1992년 5월 29일 |
| 제14대 | [[민주자유당| 민주자유당 ]] | 1992년 5월 30일~1996년 5월 29일 | |
| 제15대 | | 1996년 5월 30일~2000년 5월 29일 | |
| 제16대 | [[한나라당| 한나라당 ]] | 2000년 5월 30일~2004년 5월 29일 | |
| 제17대 | [[한나라당| 한나라당 ]] | 2004년 5월 30일~2008년 5월 29일 | |
| 제18대 | 여상규 | 2008년 5월 30일~2012년 5월 29일 |
2.1. 제9대 국회의원 선거
| 경상남도 제8선거구 하동군 일원, 남해군 일원 |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 1 | 신동관(申東寬) | 34,747 | 1위 |
| [[민주공화당| 민주공화당 ]] | 35.26% | 당선 | |
| 2 | 엄기표(嚴基杓) | 24,861 | 3위 |
| [[민주공화당| 민주공화당 ]] | 25.23% | 낙선 | |
| 3 | 문부식(文富植) | 25,588 | 2위 |
| [[신민당(1967년)| 신민당 ]] | 25.97% | 당선 | |
| 4 | 박희수(朴曦銖) | 13,323 | 4위 |
| | 13.52% | 낙선 | |
| 계 | 선거인 수 | 123,401 | 투표율 81.87% |
| 투표 수 | 101,034 | ||
| 무효표 수 | 2,515 | ||
2.2. 제10대 국회의원 선거
| 경상남도 제8선거구 하동군 일원, 남해군 일원 |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 1 | 신동관(申東寬) | 31,118 | 1위 |
| [[민주공화당| 민주공화당 ]] | 32.37% | 당선 | |
| 2 | 문부식(文富植) | 19,851 | 3위 |
| [[신민당(1967년)| 신민당 ]] | 20.65% | 낙선 | |
| 3 | 강상수(姜相秀) | 4,025 | 5위 |
| | 4.18% | 낙선 | |
| 4 | 이수종(李洙鍾) | 12,681 | 4위 |
| | 13.19% | 낙선 | |
| 5 | 최종태(崔鍾泰) | 2,473 | 6위 |
| | 2.57% | 낙선 | |
| 6 | 최치환(崔致煥) | 25,977 | 2위 |
| | 27.02% | 당선 | |
| 계 | 선거인 수 | 114,067 | 투표율 85.33% |
| 투표 수 | 97,334 | ||
| 무효표 수 | 1,209 | ||
2.3. 제11대 국회의원 선거
| 경상남도 제9선거구 하동군 일원, 남해군 일원 |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 1 | 최종림(崔鍾林) | 5,287 | 4위 |
| | 5.52% | 낙선 | |
| | | 등록무효 | |
| [[민주한국당| 민주한국당 ]] | |||
| 3 | 고정남(高定男) | 19,309 | 3위 |
| | 20.16% | 낙선 | |
| 4 | 박익주(朴翊柱) | 36,087 | 1위 |
| | 37.67% | 당선 | |
| 5 | 김금석(金今錫) | 2,598 | 5위 |
| | 2.71% | 낙선 | |
| 6 | 이수종(李洙鍾) | 32,494 | 2위 |
| | 33.92% | 당선 | |
| 계 | 선거인 수 | 107,865 | 투표율 91.37% |
| 투표 수 | 98,554 | ||
| 무효표 수 | 2,779 | ||
2.4. 제12대 국회의원 선거
| 하동군·남해군 하동군 일원, 남해군 일원 |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 1 | 문부식(文富植) | 17,673 | 3위 |
| [[신한민주당| 신한민주당 ]] | 17.86% | 낙선 | |
| 2 | 최치환(崔致煥) | 18,076 | 2위 |
| | 18.26% | 당선 | |
| 3 | 김기호(金基浩) | 8,557 | 5위 |
| | 8.65% | 낙선 | |
| 4 | 이수종(李洙鍾) | 11,766 | 4위 |
| [[민주한국당| 민주한국당 ]] | 11.89% | 낙선 | |
| 5 | 박익주(朴翊柱) | 42,896 | 1위 |
| | 43.34% | 당선 | |
| 계 | 선거인 수 | 112,986 | 투표율 88.96% |
| 투표 수 | 100,516 | ||
| 무효표 수 | 1,548 | ||
2.5. 제13대 국회의원 선거
| 남해군·하동군 남해군 일원[남해], 하동군 일원[하동] |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 1 | 박희태(朴禧太) | 46,381 | 1위 |
| | 52.93% | 당선 | |
| 2 | 문부식(文富植) | 36,990 | 2위 |
| [[통일민주당| 통일민주당 ]] | 42.21% | 낙선 | |
| 3 | 한춘기(韓春基) | 1,418 | 4위 |
| | 1.61% | 낙선 | |
| 4 | 김두관(金斗官) | 2,830 | 3위 |
| | 3.22% | 낙선 | |
| 계 | 선거인 수 | 106,056 | 투표율 83.61% |
| 투표 수 | 88,673 | ||
| 무효표 수 | 1,054 | ||
| 선거 벽보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 | | }}}}}}}}} |
서부 경남이고 남해군의 결집력이 더세었기에 민정당 박희태 후보가 당선되었다.[4]
2.6. 제14대 국회의원 선거
| 남해군·하동군 남해군 일원[남해], 하동군 일원[하동] |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 1 | 박희태(朴禧太) | 49,378 | 1위 |
| [[민주자유당| 민주자유당 ]] | 60.22% | 당선 | |
| 2 | 이수종(李洙鍾) | 9,261 | 3위 |
| [[민주당(1991년)| 민주당 ]] | 11.29% | 낙선 | |
| 3 | 김욱태(金煜泰) | 20,466 | 2위 |
| | 24.96% | 낙선 | |
| 4 | 김종채(金鐘埰) | 600 | 6위 |
| [[신정치개혁당| 신정치개혁당 ]] | 0.73% | 낙선 | |
| 5 | 박종선(朴鐘善) | 725 | 5위 |
| | 0.88% | 낙선 | |
| 6 | 홍재균(洪載均) | 1,553 | 4위 |
| | 1.89% | 낙선 | |
| 계 | 선거인 수 | 100,504 | 투표율 85.50% |
| 투표 수 | 83,279 | ||
| 무효표 수 | 1,296 | ||
2.7. 제15대 국회의원 선거
| 남해군·하동군 남해군 일원[남해], 하동군 일원[하동] |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 1 | 박희태(朴禧太) | 49,874 | 1위 |
| | 75.83% | 당선 | |
| 2 | 홍재표(洪載杓) | 4,419 | 4위 |
| [[새정치국민회의| 새정치국민회의 ]] | 6.71% | 낙선 | |
| 3 | 최종림(崔鍾林) | 5,489 | 3위 |
| | 8.34% | 낙선 | |
| 4 | 김기호(金基浩) | 5,984 | 2위 |
| [[자유민주연합| 자유민주연합 ]] | 9.09% | 낙선 | |
| 계 | 선거인 수 | 98,670 | 투표율 77.60% |
| 투표 수 | 72,847 | ||
| 무효표 수 | 7,081 | ||
2.8. 제16대 국회의원 선거
| 남해군·하동군 남해군 일원[남해], 하동군 일원[하동] |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 1 | 박희태(朴禧太) | 38,615 | 1위 |
| [[한나라당| 한나라당 ]] | 59.63% | 당선 | |
| 2 | 정순관(鄭淳官) | 7,763 | 3위 |
| [[새천년민주당| 새천년민주당 ]] | 11.98% | 낙선 | |
| 3 | 최종림(崔鍾林) | 1,622 | 5위 |
| [[자유민주연합| 자유민주연합 ]] | 2.50% | 낙선 | |
| 4 | 남명우(南明佑) | 2,927 | 4위 |
| | 4.52% | 낙선 | |
| 5 | 정현태(鄭炫台) | 13,822 | 2위 |
| | 21.34% | 낙선 | |
| 계 | 선거인 수 | 93,629 | 투표율 71.33% |
| 투표 수 | 66,784 | ||
| 무효표 수 | 2,035 | ||
||<-8><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191919><tablebordercolor=#0000a8><bgcolor=#0000a8> 16대 총선 경남 남해군 개표 결과 ||
| <colbgcolor=#eee,#353535> 정당 | 한나라당 | 새천년민주당 | 무소속 | 격차 (1위/2위) | 투표율 (선거인/표수) |
| 후보 | 박희태 | 정순관 | 정현태 | ||
| 득표수 (득표율) | 22,540 (67.35%) | 989 (2.96%) | 9,552 (28.54%) | + 12,988 (△38.81) | 34,415 (72.26%) |
| 남해읍 | 64.27% | 2.48% | 32.05% | △32.22 | 69.60 |
| 이동면 | 75.77% | 2.12% | 20.91% | △54.86 | 75.34 |
| 상주면 | 70.46% | 6.86% | 21.34% | △49.12 | 71.82 |
| 삼동면 | 70.74% | 3.39% | 24.62% | △46.12 | 70.45 |
| 미조면 | 64.45% | 4.93% | 28.78% | △35.67 | 65.34 |
| 남면 | 68.01% | 2.10% | 29.11% | △38.90 | 74.71 |
| 서면 | 61.62% | 1.48% | 36.08% | △25.54 | 75.78 |
| 고현면 | 61.78% | 4.40% | 32.61% | △29.17 | 74.35 |
| 설천면 | 61.71% | 3.81% | 33.37% | △28.34 | 74.89 |
| 창선면 | 72.06% | 2.04% | 24.90% | △47.16 | 67.85 |
| 후보 | 박희태 | 정순관 | 정현태 | 격차 | |
| 부재자투표 | 75.19% | 2.66% | 20.63% | △54.56 | |
||<-8><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191919><tablebordercolor=#0000a8><bgcolor=#0000a8> 16대 총선 경남 하동군 개표 결과 ||
| <colbgcolor=#eee,#353535> 정당 | 한나라당 | 새천년민주당 | 무소속 | 격차 (1위/2위) | 투표율 (선거인/표수) |
| 후보 | 박희태 | 정순관 | 정현태 | ||
| 득표수 (득표율) | 16,075 (51.39%) | 6,774 (21.65%) | 4,270 (13.65%) | + 9,301 (△29.74) | 32,369 (70.36%) |
| 하동읍 | 53.07% | 23.05% | 12.95% | △29.57 | 65.03 |
| 화개면 | 57.36% | 27.07% | 9.04% | △30.29 | 66.31 |
| 악양면 | 53.02% | 19.55% | 14.06% | △33.47 | 70.38 |
| 적량면 | 46.09% | 32.79% | 9.02% | △13.30 | 74.76 |
| 횡천면 | 42.75% | 20.04% | 7.68% | △15.43[11] | 77.65 |
| 고전면 | 48.20% | 28.41% | 12.78% | △19.79 | 69.87 |
| 금남면 | 44.34% | 20.26% | 19.26% | △24.08 | 67.69 |
| 금성면 | 36.04% | 34.56% | 15.90% | △1.48 | 64.33 |
| 진교면 | 50.12% | 15.81% | 17.89% | △32.23 | 71.87 |
| 양보면 | 51.02% | 28.42% | 10.02% | △22.60 | 72.99 |
| 북천면 | 55.56% | 11.86% | 15.36% | △40.20 | 73.28 |
| 청암면 | 59.42% | 20.37% | 13.50% | △39.05 | 77.10 |
| 옥종면 | 61.86% | 10.52% | 13.55% | △48.31 | 74.19 |
| 후보 | 박희태 | 정순관 | 정현태 | 격차 | |
| 부재자투표 | 65.76% | 10.93% | 11.66% | △54.10 | |
2.9. 제17대 국회의원 선거
| 남해군·하동군 남해군 일원[남해], 하동군 일원[하동] |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 1 | 박희태(朴禧太) | 34,106 | 1위 |
| [[한나라당| 한나라당 ]] | 53.50% | 당선 | |
| 2 | 남명우(南明祐) | 1,728 | 3위 |
| [[새천년민주당| 새천년민주당 ]] | 2.71% | 낙선 | |
| 3 | 김두관(金斗官) | 26,747 | 2위 |
| [[열린우리당| 열린우리당 ]] | 41.96% | 낙선 | |
| 4 | 홍재표(洪載杓) | 1,157 | 4위 |
| | 1.81% | 낙선 | |
| 계 | 선거인 수 | 88,375 | 투표율 74.11% |
| 투표 수 | 65,498 | ||
| 무효표 수 | 1,760 | ||
2.10. 제18대 국회의원 선거
| 남해군·하동군 남해군 일원[남해], 하동군 일원[하동] |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 2 | 여상규(余尙奎) | 34,874 | 1위 |
| [[한나라당| 한나라당 ]] | 56.73% | 당선 | |
| 6 | 김윤곤(金允坤) | 1,628 | 3위 |
| [[평화통일가정당| 평화통일가정당 ]] | 2.64% | 낙선 | |
| 7 | 김두관(金斗官) | 24,966 | 2위 |
| | 40.61% | 낙선 | |
| 계 | 선거인 수 | 88,545 | 투표율 70.92% |
| 투표 수 | 62,797 | ||
| 무효표 수 | 1,329 | ||
||<-10><bgcolor=#0095da><tablebordercolor=#0095da><tablebgcolor=#fff,#191919> 18대 총선 경남 남해군·하동군 개표 결과 ||
지난 국회까지 이 곳이 지역구였던 박희태는 공천에서 탈락했고[18], 대신 법조인 출신의 여상규가 새로히 공천을 받았다. 참고로 복합선거구에서 자주 나타나는 소지역주의가 이번 선거에서 드러났는데, 무소속 김두관 후보의 고향이자 재선 남해군수를 지낸 남해군과 한나라당 여상규 후보의 고향인 하동군의 표심이 완전히 엇갈렸다.[19]| 정당 | 한나라당 | 무소속 | 격차 (1위/2위) | 투표율 (선거인/표수) | |||||
| 후보 | 여상규 | 김두관 | |||||||
| 득표수 (득표율) | 34,873 (56.73%) | 24,966 (40.61%) | + 9,907 (△16.12) | 62,797 (69.45%) | |||||
| 18대 총선 경남 남해군 개표 결과 | |||||||||
| 정당 | 한나라당 | 무소속 | 격차 (1위/2위) | 투표율 (선거인/표수) | |||||
| 후보 | 여상규 | 김두관 | |||||||
| 득표수 (득표율) | 9,047 (30.12%) | 20,339 (67.73%) | - 11,292 (▼37.61) | 30,029 (69.85%) | |||||
| 남해읍 | 29.12% | 69.55% | ▼40.43 | ||||||
| 이동면 | 36.67% | 60.88% | ▼24.21 | ||||||
| 상주면 | 26.31% | 71.41% | ▼45.10 | ||||||
| 삼동면 | 30.01% | 67.76% | ▼37.75 | ||||||
| 미조면 | 32.17% | 65.96% | ▼33.79 | ||||||
| 남면 | 34.02% | 62.84% | ▼28.82 | ||||||
| 서면 | 24.36% | 73.44% | ▼49.08 | ||||||
| 고현면[16] | 18.15% | 80.41% | ▼62.26 | ||||||
| 설천면 | 32.00% | 65.52% | ▼33.52 | ||||||
| 창선면 | 40.07% | 56.43% | ▼16.36 | ||||||
| 후보 | 여상규 | 김두관 | 격차 | ||||||
| 부재자투표 | 24.28% | 74.31% | ▼50.03 | ||||||
| 18대 총선 경남 하동군 개표 결과 | |||||||||
| 정당 | 한나라당 | 무소속 | 격차 (1위/2위) | 투표율 (선거인/표수) | |||||
| 후보 | 여상규 | 김두관 | |||||||
| 득표수 (득표율) | 25,827 (82.15%) | 4,627 (14.72%) | + 21,200 (△67.43) | 31,439 (70.63%) | |||||
| 하동읍 | 86.33% | 11.43% | △74.90 | ||||||
| 화개면 | 77.58% | 19.53% | △58.05 | ||||||
| 악양면[17] | 89.50% | 7.94% | △81.55 | ||||||
| 적량면 | 85.00% | 11.17% | △73.83 | ||||||
| 횡천면 | 84.31% | 11.90% | △72.42 | ||||||
| 고전면 | 81.56% | 14.73% | △66.83 | ||||||
| 금남면 | 80.99% | 15.81% | △65.18 | ||||||
| 금성면 | 83.23% | 13.54% | △69.69 | ||||||
| 진교면 | 76.60% | 20.49% | △56.11 | ||||||
| 양보면 | 84.89% | 10.98% | △73.91 | ||||||
| 북천면 | 80.10% | 15.19% | △64.91 | ||||||
| 청암면 | 80.79% | 16.16% | △64.63 | ||||||
| 옥종면 | 82.17% | 14.00% | △68.17 | ||||||
| 후보 | 여상규 | 김두관 | 격차 | ||||||
| 부재자투표 | 75.32% | 21.63% | △53.69 | ||||||
[1] 임기 중 작고.[남해] 남해읍, 이동면, 상주면, 삼동면, 미조면, 남면, 서면, 고현면, 설천면, 창선면[하동] 하동읍, 화개면, 악양면, 적량면, 횡천면, 고전면, 금남면, 금성면, 진교면, 양보면, 북천면, 청암면, 옥종면[4] 참고로 4개월 전 제13대 대통령 선거에서도 서남부 해안권(삼천포, 사천, 하동, 남해) 전체에서 김영삼이 나머지 지역을 다 이겼음에도 남해에서만 두자릿수 넘는 득표율 차이로 패하면서 이 지역은 노태우가 1위를 차지했다.[남해] 남해읍, 이동면, 상주면, 삼동면, 미조면, 남면, 서면, 고현면, 설천면, 창선면[하동] 하동읍, 화개면, 악양면, 적량면, 횡천면, 고전면, 금남면, 금성면, 진교면, 양보면, 북천면, 청암면, 옥종면[남해] 남해읍, 이동면, 상주면, 삼동면, 미조면, 남면, 서면, 고현면, 설천면, 창선면[하동] 하동읍, 화개면, 악양면, 적량면, 횡천면, 고전면, 금남면, 금성면, 진교면, 양보면, 북천면, 청암면, 옥종면[남해] 남해읍, 이동면, 상주면, 삼동면, 미조면, 남면, 서면, 고현면, 설천면, 창선면[하동] 하동읍, 화개면, 악양면, 적량면, 횡천면, 고전면, 금남면, 금성면, 진교면, 양보면, 북천면, 청암면, 옥종면[11] 지역구 2위는 민주국민당 남명우 후보(409표, 27.32%)였다.[남해] 남해읍, 이동면, 상주면, 삼동면, 미조면, 남면, 서면, 고현면, 설천면, 창선면[하동] 하동읍, 화개면, 악양면, 적량면, 횡천면, 고전면, 금남면, 금성면, 진교면, 양보면, 북천면, 청암면, 옥종면[남해] 남해읍, 이동면, 상주면, 삼동면, 미조면, 남면, 서면, 고현면, 설천면, 창선면[하동] 하동읍, 화개면, 악양면, 적량면, 횡천면, 고전면, 금남면, 금성면, 진교면, 양보면, 북천면, 청암면, 옥종면[16] 김두관 후보의 고향[17] 여상규 후보의 고향[18] 박희태는 이듬해 재보궐선거에서 양산시의 원래 국회의원이었던 허범도의 직위 상실로 그 자리에 출마해 당선되면서 국회에 복귀했고, 나아가 후반기 국회의장 자리에 올랐다.[19] 오히려 4년 전 17대 총선에서는 두 지역에서 박희태-김두관 두 후보의 득표율이 비슷하게 나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