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8-07 02:10:16

네오 프로덕션

기업개요
파일:네오 프로덕션 로고(가로).png
정식명칭 주식회사 네오
영문명칭 Neo Production
업종명 공연 기획업
소재지 서울특별시 종로구 동숭길 55 (대학빌딩) 6층
대표자 이헌재
공식 채널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공식 트위터(네오 마케팅)
파일:네이버 스마트 스토어 아이콘.png 공식 온라인 판매처

1. 개요2. 대표 작품3. 여담4. 4회 이상 출연 배우

1. 개요

대한민국의 공연 제작사.

2. 대표 작품


'''[[네오 프로덕션|
파일:네오 프로덕션 로고(가로).png
]] 계열 제작'''
[ 펼치기 · 접기 ]
||<tablewidth=100%><tablebgcolor=#ccc><bgcolor=#5c4a3c><color=#eee>
[ 네오 프로덕션 ]
||<tablewidth=100%><tablebgcolor=#000><height=130px><width=25%><bgcolor=#87A5A7> 파일:네오 사찬.png ||<width=25%><bgcolor=#DAD9DC> 파일:네오 비스티.png ||<width=25%><bgcolor=#000000> 파일:네오 김종욱.png ||<width=25%><bgcolor=#282536> 파일:네오 어햎.png ||
2013 2014 2016 2016
파일:네오 슬루스.png 파일:네오 배니싱.png 파일:네오 트스.png 파일:네오 사칠.png
2017 2017 2018 2023
파일:네오_글루미선데이.png 파일:네오_마하고니.png 파일:그레이하우스뮤지컬로고.png 로고이미지
2024 2025 2025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더웨이브 ]
{{{#!wiki style="margin: -4px -1px -11px"
파일:네오 미스트.png 파일:네오 마지막사건.png 파일:덥웨 일리아드.png 파일:덥웨 라스트맨.png
2020 2021 2021 2021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뉴프로덕션 ]
{{{#!wiki style="margin: -4px -1px -11px"
파일:네오 경종.png 파일:네오 샤이닝1.png 파일:네오 와일드.png 파일:네오 웨스턴.png
2019 2020 2021 2022
파일:일라이.png 파일:네오 타어둠.png 파일:2025 모리스 로고.png 파일:올인버 로고.png
2023 2023 2025 2025
파일:네오_타조_로고.png 로고이미지 로고이미지 로고이미지
2025 - - -
}}}}}}}}} ||
※ 해당 제작사의 첫 제작 기준 (트라이아웃 제외)
※ 뉴프로덕션은 별도의 회사로 분리되었으나 편의상 함께 기재
<rowcolor=#fff> 연도 네오[1] 제작
2013 글루미데이 / 사의찬미[2]
2014 비스티보이즈 / 비스티[3]
도로시 밴드
2016 배니싱
어쩌면 해피엔딩[4]
2017 슬루스
2018 트레인스포팅
2019 경종수정실록
2020 미스트[5]
샤이닝
2021 마지막 사건
와일드 그레이
일리아드
더 라스트맨[6]
2022 웨스턴 스토리
2023 일라이
타오르는 어둠 속에서
사칠
2024 글루미 선데이
2025 모리스
마하고니
올랜도 in 버지니아
타조소년들
그레이하우스

3. 여담

4. 4회 이상 출연 배우

||<table 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5c4a3c><tablebgcolor=#fff,#1c1d1f><rowbgcolor=#5c4a3c><rowcolor=#fff><width=70px> 배우 || 네오 제작 || 범네오[12] 제작 ||<width=90px>
출연작 개수
||
※ 네오 계열 제작사가 아닌 타 제작사 제작은 포함하지 않는다.
정민 사의 찬미, 비스티, 도로시 밴드, 배니싱, 트레인스포팅, 글루미 선데이 경종수정실록, 미스트, 마지막 사건, 와일드 그레이, 더 라스트맨, 웨스턴 스토리 12개
홍승안 트레인스포팅, 비스티, 사의 찬미, 더 라스트맨, 글루미 선데이 경종수정실록, 마지막 사건, 와일드 그레이, 일라이, 타오르는 어둠 속에서, 모리스, 타조소년들 12개
김종구 비스티, 사의 찬미, 슬루스, 배니싱, 트레인스포팅, 글루미 선데이 경종수정실록, 미스트, 마지막 사건, 일리아드, 웨스턴 스토리 11개
김찬종 배니싱, 비스티, 사칠, 미스트, 사의 찬미, 마하고니 마지막 사건 7개
주민진 비스티, 배니싱, 사의 찬미, 그레이하우스 경종수정실록, 더 라스트맨, 와일드 그레이 7개
홍기범 비스티, 사칠, 글루미 선데이, 그레이하우스 일라이, 경종수정실록, 와일드 그레이 7개
에녹 사의 찬미, 배니싱 경종수정실록, 샤이닝, 와일드 그레이, 웨스턴 스토리 6개
유승현 배니싱, 미스트, 사의 찬미, 글루미 선데이, 그레이하우스 경종수정실록 6개
박정원 비스티 경종수정실록, 타오르는 어둠 속에서, 모리스,타조소년들 5개
배나라 사의 찬미, 배니싱 와일드 그레이, 웨스턴 스토리, 일라이 5개
정동화 비스티, 슬루스, 사의 찬미 경종수정실록, 더 라스트맨 5개
김지온 비스티, 배니싱, 더 라스트맨, 그레이하우스 경종수정실록 5개
김려원 사의 찬미 미스트, 더 라스트맨, 올랜도 in 버지니아 4개
박규원 배니싱, 비스티 웨스턴 스토리, 경종수정실록 4개
선한국 비스티, 미스트, 배니싱, 그레이하우스 - 4개
이정화 사의 찬미, 미스트, 글루미 선데이 웨스턴 스토리 4개
이진혁 글루미 선데이, 마하고니 타오르는 어둠 속에서, 경종수정실록 4개
정문성 어쩌면 해피엔딩, 슬루스, 사의 찬미, 글루미 선데이 - 4개
최재웅 사의 찬미, 글루미 선데이, 마하고니 일리아드 4개

[1] 범네오 포함[2] 2015년 삼연부터 '사의찬미'로 극명 변경[3] 2016년 트라이아웃부터 '비스티'로 극명 변경[4] 현재 CJ ENM에서 판권을 소유하고 있고, 초연에 대명과 공동 제작한 것이기 때문에 대표 작품이라고 하기에는 조금 무리가 있는 편. 배니싱이나 비스티는 곧바로 네오작이라고 떠올리는 편이나 어햎은 네오작이라고 떠올리는 덕들이 별로 없기도 하다.[5] 초연은 더웨이브 제작이었으나 재연부터 네오 제작으로 변경[6] 초연은 더웨이브 제작이었으나 재연부터 네오 제작으로 변경[7] 뉴프로덕션은 따로 독립하여 다른 회사가 되었다.[8] 특히나 비스티가 그런 편이다.[9] 많은 연뮤덕들이 늦은 발매 때문에 VS 놀이를 하곤 했다. 예를 들어 'OO극 캐스팅 발표 VS 사찬 OST 판매 소식'으로 어떤 게 더 빠를지 글을 올리면 사찬이 더 느릴 거라는 의견이 대다수였고, 대부분 현실이 되었다..[10] 대부분의 극들은 2~3달 전부터 티켓팅을 시작한다.[11] 대극장의 경우 재관람 할인 자체가 없는 경우도 많고, 소극장극들도 15~25%가 대부분이다.[12] 뉴프로덕션, 더웨이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