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3-04-26 00:06:00

노영읍위

1. 개요2. 상세3. 기타

1. 개요

고사성어
노나라 어린아이 지킬

노나라의 여인 영,,이 위나라로 인해 눈물을 흘리다」라는 뜻으로 한시외전,韓詩外傳,에서 유래한다.

본래는 시경 용풍,鄘風, 재치,載馳,편의 예시로 인용되었으나, 후대에 「세상에서 벌어지는 모든 사건은 나에게 영향을 끼친다」는 의미로 바뀌었다.

2. 상세

노나라 성문지기의 딸인 영이 동료들과 길쌈을 하다가 밤중에 울음을 터트리니 동료가 물었다.

"어찌 우는가?"

영이 말했다.

"내가 들으니 위나라 세자가 어질지 못하다 하니, 그 때문에 우는 것이오."

그 동료가 말했다.

"위나라 세자가 어질지 못한 것은 제후의 걱정인데, 어찌 그대가 우는가?"

영이 말했다.

"내가 들은 것은 그대가 말하는 것과 다르오. 예전에 송나라 환사마,桓司馬,가 그 임금한테 죄를 짓고 노나라로 도망쳐 왔는데, 그 말이 달아나 우리 채마밭에서 뒹굴면서 아욱을 먹어치웠소. 그 해 채마밭을 가꾸던 사람들은 소득의 절반을 잃었다고 들었소. 월나라의 왕 구천이 군사를 일으켜 오나라를 공격할 때, 제후들은 그 위세를 두려워했고 노나라는 여인을 바쳤소. 그들 중에 우리 언니도 있었다오. 오라버니가 언니를 보러 가다 길에서 두려움에 떨며 죽었소. 월나라 군사가 위협한 것은 오나라였지만, 오라비를 잃은 이는 나요. 이를 두고 보면 화,,와 복,,은 서로 따라다니는 것이오. 지금 위나라 세자가 매우 어질지 못하여 전쟁을 좋아한다는데, 나는 남동생이 셋이나 되니 어찌 걱정이 없을 수 있겠소?"

시경에서 말하였다. 「대부,大夫,가 산을 넘고 물을 건너 알려오니, 내 마음 우울하구나.」 이 구절이 이와 같은 경우가 아니겠는가?

魯監門之女嬰相從績中夜而泣涕其偶曰何謂而泣也嬰曰吾聞衛世子不肖所以泣也其偶曰衛世子不肖諸侯之憂也子曷為泣也嬰曰吾聞之異乎子之言也昔者宋之桓司馬得罪於宋君出於魯其馬佚而𩥇吾園而食吾園之葵是嵗吾聞園人亡利之半越王勾踐起兵而攻吳諸侯畏其威魯往獻女吾姊與焉兄往視之道畏而死越兵威者吳也兄死者我也由是觀之禍與福相及也今衛世子甚不肖好兵吾男弟三人能無憂乎詩曰大夫跋渉我心則憂是非類與乎
한시외전 권2#

시경 재치편은 위대공의 오누이이며 허나라 목공,穆公,과 혼인한 허목부인,許穆夫人,이 동기,同氣,를 위로하기 위해 찾아간 사연을 그리고 있다.[1] 위의공이 적인,狄人,과의 싸움에서 패하자 이를 수습하기 위해 위대공이 즉위했다.[2] 이 소식을 들은 허목부인이 수레를 몰아 위나라로 가려했지만, 허나라의 대부는 그녀가 돌아올 마음이 없음을 알고 뒤를 쫓아 길을 막았다. 뜻을 이루지 못한 목공의 부인은 시를 지어 자신의 마음을 표했다.[3] 한영,韓嬰,은 허목부인과 노나라 여인 영의 마음이 동일한 것으로 파악했다.

후대에는 영과 그녀의 가족이 노나라에 거주했지만 송나라의 변란으로 경제적 피해가 발생했고, 오·월 전쟁으로 인명 피해를 입은 점을 주목하여, 세상의 사건들은 결국 나와 관련되지 않은 것이 없으므로 스스로 살피고 대비해야 한다는 의미로 변용되었다.[4]

3. 기타



[1] 모시정의, 장유자 「宣公卒 惠公幼 其庶兄頑 烝於惠公之母 生子五人 齊子戴公文公宋桓夫人許穆夫人」[2] 춘추좌전, 노민공 2년 「及狄人戰于熒澤 衛師敗績 遂滅衛... 立戴公 以廬于曹」[3] 시경집전, 국풍 용; 재치[4] 한국일보 2022.02.14[5] 논어주소, 술이 「包曰 桓魋 宋司馬」[6] 논어주소, 안연 「鄭曰 牛兄桓魋行惡 死亡無日 我爲無兄弟... 桓氏卽向魋也 又謂之桓司馬, 卽此桓魋也」[7] 춘추좌전, 노정공 10년 「公子地有白馬四 公嬖向魋 魋欲之注 公取而朱其尾鬣以與之」[8] 춘추좌전, 노애공 14년 「宋桓魋之寵害於公 公使夫人驟請享焉 而將討之... 向魋遂入于曹以叛」[9] 춘추좌전, 노애공 14년 「向魋奔衛 向巢來奔」[10] 춘추좌전, 노애공 14년 「公曰 所難子者 上有天 下有先君 對曰 魋之不共 宋之禍也 敢不唯命是聽... 宋公使止之曰 寡人與子有言矣 不可以絶向氏之祀 辭曰 臣之罪大 盡滅桓氏可也 若以先臣之故 而使有後 君之惠也 若臣則不可以入矣」[11] 춘추좌전, 노애공 21년 「二十一年夏五月 越人始來」[12] 춘추좌전, 노애공 23년 「秋八月 叔靑如越 始使越也」[13] 춘추좌전, 노애공 27년 「公欲以越伐魯而去三桓 秋八月甲戌 公如公孫有陘氏注 因孫于邾 乃遂如越注 國人施公孫有山氏」