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4-15 16:29:43

월나라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오대십국시대 남한의 전신 월나라에 대한 내용은 남한(오대십국시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중국의 역사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font-size:0.92em; letter-spacing: -0.4px"
황하 문명
하(夏)
상(商)
주(周) 서주(西周)
동주(東周) 춘추전국시대 춘추시대
전국시대
진(秦)
장초(張楚)
후초(後楚)
서초(西楚) | 십팔제후왕
한(漢) 전한(前漢)
신(新)
현한(玄漢)
후한(後漢)
삼국시대
위(魏) | 촉(蜀) | 오(吳)
진(晉) 서진(西晉)
동진(東晉)
환초(桓楚)
오호십육국시대
남북조시대 송(宋) 북위(北魏)
제(齊)
양(梁)
후한(侯漢)
후량(後梁)
진(陳)
수(隋)
당(唐)
무주(武周) | 호연(胡燕)
오대
십국
요(遼)
송(宋) 북송(北宋) 서하(西夏)
남송(南宋) 서요(西遼) 금(金)
원(元)
북원(北元)
명(明)
순(順) | 서(西) | 남명(南明) | 후금(後金)
오주(吳周) | 동녕(東寧)
청(淸)
태평천국(太平天國)
중화민국
(中華民國)

군벌
청나라 소조정 | 임시정부(臨時政府)
북양정부(北洋政府)
중화제국(中華帝國) | 호법정부(護法政府)
우한 국민정부(武漢國民政府)
국민정부(國民政府)
소비에트 지구
중화소비에트공화국
만주국
(滿州國)
중화민국(中華民國)
대만(臺灣)
중화인민공화국
(中华人民共和国)
}}}}}}}}}


춘추시대 제후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ece5b6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181818,#e5e5e5
진(秦) 진(晉) 연(燕)
주(周) 정(鄭) 위(衛) 조(曹) 노(魯) 제(齊)
채(蔡) 진(陳) 송(宋)
초(楚) 오(吳)
월(越)
관련 틀: 춘추오패
삼황오제 · · · · 전국시대 · 진(秦) ·
삼국시대 · 사마진 · 오호십육국 · 남북조 · 남조 · ·
오대 · 십국 · · 서하 · · · · ·
중화민국 국가원수 · 중화민국 총통 · 중화인민공화국
}}}}}}}}}}}}}}}

전국시대 군주
{{{#!wiki style="margin: 0 -10px -5px"
{{{#ece5b6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181818,#e5e5e5
진(秦) 조(趙) 연(燕)
위(魏) 제(齊)
동주(周)
동주(東周) | 서주(西周)
위(衛)
한(韓)
초(楚)
관련 틀: 초한쟁패기
삼황오제 · · · · 춘추시대 · 진(秦) ·
삼국시대 · 사마진 · 오호십육국 · 남북조 · ·
오대 · 십국 · · 서하 · · · · ·
중화민국 국가원수 · 중화민국 총통 · 중화인민공화국
}}}}}}}}}}}}}}}


[1]
존속기간 기원전 6세기 이전 ~ 기원전 306년
이칭 어월(於越)
위치 저장성, 장쑤성
수도 회계낭야[2]
국성 사(姒) 또는 미(羋)
국가원수 자작
주요 군주 구천
언어 고대 월어, 상고 중국어(?)
종족 월족
멸망 후 초나라
현재 국가 중국

1. 개요2. 역사3. 역대 군주4. 민족5. 기타6.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중국 춘추시대의 나라. 춘추시대의 장강 하류에 존재하던 나라로 (吳)나라보다도 남쪽에 위치하고 있었으며[3] 왕조로부터 자작의 작위를 받았다. 물론 말이 작위를 하사한 것이지 실질적으로 비하하는 것에 가까운데, 이 시기의 자작은 제후가 아니라, 제후의 신하에게 주는 작위였다.[4] 수도는 회계.

왕성(王姓)은 사(姒)[5]였는데 33대 왕인 부담(夫譚) 이후는 확실히 미(羋姓)[6]이다. 하나라 제6대 소강왕의 서자 무여(無餘)가 봉해진 나라였다.

1대 왕인 무여, 무여의 10여 대 후손인 무임(無壬), 무임의 아들인 무심(無瞫) 이후 33대 왕인 부담까지 기록이 없고, 왕성이 바뀐 것으로 보아 무심과 부담 사이에서 왕실 혈통이 바뀐 것으로 보인다.

2. 역사

2.1. 춘추시대

사기》 〈월구천세가〉에 의하면 하나라 제6대 왕이었던 소강의 서자 무여(無餘)가 회계에 있던 하나라 시조 의 왕릉 제사를 맡기 위하여 봉해졌다고 한다. 물론 근거는 없으며 기록의 결손으로 그들이 춘추시대에 어떠했는지 알 수 없으나[7], 오나라(吳)처럼 왕호를 사용하였으며 춘추시대 후기의 윤상 대에 이르러부터 그 기록이 남아있다. 북진 정책을 펼쳐 인접국인 오나라에게 대항하지만 크게 대패하여 해마다 조공을 바칠 정도였다.

윤상의 아들 구천 대에 이르러서는 이를 벗어나기 위해 초나라의 지원을 받아[8] 부국 강병을 시행하며 오나라가 북진 정책을 한 틈을 노려 오나라를 멸망시키고 수도를 낭야[9]로 옮겼다. 이로 인해 월나라는 산동 반도 일대[10]를 제압하여 그곳에 있던 등(鄧), (郯)과 같은 약소국들을 멸망시키고 본거지인 소흥[11][12]과의 해상 교통로를 확보함으로써, 상업수공업을 기반으로 발전할 수 있게 되었다. 그래서 월나라는 월왕 구천의 노력으로 춘추시대의 마지막 패자로서 위엄을 떨치게 된다.

2.2. 전국시대

그러나 월나라가 오나라를 멸망시키면서 패자로서 위엄을 떨치는 동안 점차 세력을 회복한 (楚)나라의 압박을 받게 된다. 초나라 입장에서는 원수같은 강국인 오나라가 멸망하자 월나라를 지원해 줄 가치가 떨어져 지원을 끊었다. 뿐만 아니라 오나라보다도 부족국가에 가까운 한계를 지닌 월나라가 오나라와 흥망을 건 전쟁을 하는 동안 초나라는 국력을 다질 수 있었다. 월나라는 구천 이후 그를 능가하는 군주는 커녕 버금가는 군주조차 나오지 못했으며, 부족국가의 한계를 끝내 벗어나지 못해 인재풀이 초나라는 커녕 오나라에도 미치지 못했으므로 서서히 멸망해가는 시한부 국가로 전락한다.

이로 인해 수도를 장강 이북인 낭야에서 장강 남쪽에 있는 고소 땅으로 옮기면서[13] 해상 교통로를 포기하게 되고, 그때부터 쇠퇴하기 시작하여 제후들이 각자 자립하는 형태로 지내게 된다. 거기에 왕족들이 왕위를 차지하기 위해 서로 다투면서 그나마도 초나라에게 뒤지는 국력을 까먹으며 점점 멸망의 길로 가게 된다. 37대 월왕 불수가 아들인 38대 월왕 주구에게 죽은 일이나 39대 월왕 가 그 아들 40대 월왕 제구에게 죽은 일, 또 제구의 아들 착지가 제구를 죽이고 41대 왕위에 올랐다가 대부 사구의 추대를 받은 친척 무여에게 내쫓기거나 그 무여(42대)도 대부 사구의 동생의 손에 죽어 그 아들 월왕 무전이 43대 왕위에 오르는 등 지극히 불안정한 시기를 보냈다. 이는 왕권이 불안정해서 생긴 일이다. 기록에는 하도 골육상쟁을 벌인 탓에 나중에는 오히려 아무도 왕에 오르려 하지 않을 지경까지 갔다고 한다.

월왕 무전대에 이르러 그나마도 고소 땅에서 월나라의 원래 근거지인 회계 땅으로 천도한다.

월왕 무전의 동생인 월왕 무강은 초나라와 싸우기 위해 국력을 회복하려 했지만 초나라 위왕의 원정으로 점차 복속되다가 기원전 300년대에 멸망한다.[14]

그나마 월나라의 후손 국가인[15] 민월과 동월이 한무제 때까지 존속했다.[16] 동월은 동구라고도 한다.

3. 역대 군주

월 국군
{{{#!wiki style="margin: 0 -10px -5px"
{{{#ece5b6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181818,#e5e5e5
초대 국군

무여
2~10대 미상
11대 국군

무임
12대 국군

무심
13~32대 미상
33대 국군

부담
초대 왕

월왕 윤상
2대 왕

월왕 구천
3대 왕

월왕 녹영
4대 왕

월왕 불수
5대 왕

월왕 주구
6대 왕

월왕 예
7대 왕

월왕 제구
8대 왕

월왕 착지
9대 왕

월왕 무여
10대 왕

월왕 무전
말대 왕

월왕 무강
삼황오제 · · · · 춘추시대 · 전국시대 · 진(秦) ·
삼국시대 · 진(晉) · 오호십육국 · 북조 · 남조 · ·
오대십국 · · 서하 · · · · ·
중화민국 국가원수 · 중화민국 총통 · 중화인민공화국
}}}}}}}}}}}}}}}

4. 민족

"월(越)"은 월나라 뿐만 아니라 고대 중국에서 장강 이남의 여러 남방 민족들을 뭉뚱그려 지칭했던 말이기도 하다.[17]

종족과 분포가 다양해 '백월'(百越)이라고도 불렸는데,[18] 그만큼 각 종족들끼리 언어도 달랐다. 2022년 현재도 대만오스트로네시아어족 계열의 언어를 쓰는 원주민들이 현존해 있고, 중국의 소수민족으로 오스트로아시아어족이나 크라다이어족, 몽몐어족계 언어를 쓰는 민족들이 현존해있는데, 한족으로 동화되지 않은 이들이 많았던 당시야 어떻겠는가.

대표적인 예로 춘추시대의 이 월나라를 다르게 일컫는 말이기도 했던 우월(于越), 전국시대의 양월(揚越), 한나라 때의 구월(瓯越) · 민월(闽越) · 남월(南越) · 낙월(駱越), 삼국시대산월(山越) 등이 있으며, 지금의 베트남인 · 좡족(壯族) · 다이족(傣族) · 리족(黎族) · 둥족(侗族) · 수이족(水族) · 무로족(仫佬族)과 일부 대만 원주민들이 그 후예로 여겨진다. 이들 대다수는 현재 한족으로 동화되었다. 남송 이후 한족이 강남 지역을 완전히 장악하게 되면서 베트남(월남)과 관련된 기록 및 중국의 지방을 나타내는 명칭을 제외하고는 더 이상 민족명으로서의 "월(越)"이란 이름은 나타나지 않는다.

사기》를 비롯한 중국 역사서를 보면 월인들은 피부색이 상당히 검고 키도 작으며 얼굴은 짧고 코는 낮고 널찍하며 눈이 큼직하다는 등의 서술이 있다. 때문에 당시 월인들은 지금의 한족보다는 동남아시아인들과 연관이 있다는 것은 거의 기정사실이며, 학계에서는 그 동남아시아계 민족들 중 어떤 민족에 해당하는가가 논의의 대상이 되고 있다.

언어학적인 측면에서는 월인의 정체를 베트남인크라다이어족의 조상으로 추정하고 있다. 한편 유전학이나 인류학, 풍습에 대한 기록에선 오스트로네시아어족인 것처럼 보이는 단서들이 많아 두 가설이 대립중이다. 기록된 월어 관련 기록이나, 오어에 남아 있는 기저언어에 대한 분석에서는 크라다이어족의 요소가 눈에 띄게 많이 보인다. 하지만 몸에 문신을 했다는 점, 이를 검게 물들이는 풍습이 있다는 점, 머리를 짧게 깎는 풍습, 항해에 능한 점 등 오스트로네시아 어족의 문화적 특성들이 뚜렷한데다가, 오스트로네시아인들의 본향인 대만에 바로 접해 있다는 점 등의 비언어학적 기록은 후자의 학설을 지지하는 증거로 보인다.

최근에는 둘 다 맞는 소리라는 주장도 등장했는데, 크라다이어족과 오스트로네시아어족과의 기초 어휘 유사성에 주목해서 둘의 조상이 같다는 학설이 등장한 것이다. 바로 오스트로타이어족 가설이다. 자세한 것은 문서 참고. 크라다이어족이 오스트로네시아어족에서 갈라져 나왔다고 학설을 채택하면 문제가 깔끔하게 해결된다. 다만 오스트로타이어족 학설은 비판도 꽤 받는다. 우선 크라다이어족과 오스트로네시아어족 사이에 유전적 공통점이 거의 없다는 비판이 있다. 또 기초 어휘 사이의 유사성이 엄청 크지는 않기 때문에 과거에 언어동조대가 있었을 가능성이 더 높다는 비판도 있다.

그러다 2022년 최근 남중국~동남아시아 지역 유전체를 분석한 연구[19]에 따르면 오나라가 세워진 양쯔강 하류 지방의 사람들은 초나라로 대표되는 양쯔강 중류의 사람들과 구별되는 이들로서 크라다이어족과 오스트로네시아어족을 사용하는 사람들이 오나라를 구성한 이들과 동계에 가깝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이 유전학계의 연구 결과만 본다면, 오스트로네시아어족과 크라다이어족이 같은 복건성-양쯔강 하류 유역의 집단에서 기원했다는 것이 밝혀짐으로서 오스트로타이어족 가설을 뒷받힘하는 유전학계의 연구 결과가 나왔다고 할 수 있겠다.

5. 기타

6. 관련 문서


[1] Baxter-Sagart의 재구에 의하면 상고음은 /*ɢʷat/. 현대 발음은 yuè. 원래는 나라·민족 이름 한정으로 越(넘을 월) 대신 粤(어조사 월)로 써도 됐었지만, 지금은 용법이 구분되고 있다. 오늘날 춘추 시대 월나라는 越로 고정해서 쓰는 경우가 일반적이다. 또 베트남을 뜻하는 남월(南越) / 대구월(大瞿越) / 대월(大越) / 월남(越南) 등에 있는 '월'은 越로 고정해서 쓴다. 오늘날의 광동성을 가리킬 때는 粤로 고정해서 쓴다. 예를 들면 광동어는 粤語(월어)라고 쓴다.[2] 위키백과에는 장쑤성 롄윈강시라고 나온다.[3] 오나라는 오늘날의 장쑤성 일대에 위치했고 월나라는 그보다 더 아래인 오늘날의 저장성 일대에 위치했다.[4] 하지만, 이 나라는 한족이 세운 나라가 아니다보니 대놓고 푸대접을 받은 거고, 월나라같은 이민족계의 강대국들이 당대의 중화권 정세에 개입해서 내정간섭을 하려면 이런 불이익은 울며 겨자먹기로 감수하는 수밖에 없었다. '구정의 무게를 묻는다'(=천하의 패권을 탐낸다)는 말을 해서 주나라와 여러 제후국들을 패닉에 빠뜨렸던 초나라도 똑같이 자작을 칭했던 것이 그 예다.[5] 하나라 우왕의 후손이 썼던 성.[6] 축융의 후손이 썼던 성.[7] 오나라는 조작인지 사실인지 불확실해도 역대 군주에 대한 기록이라도 모두 남아 있지만, 월나라는 1대 무여, 11대 무임, 12대 무역, 33대 부담을 제외하면 역사에 본격적으로 월나라가 등장하는 34대 윤상 이전의 왕에 대한 기록이 아예 없다. 그런데 어떻게 보면 당연한 것이, 그나마 중원에 붙어있던 초나라나 오나라도 중원의 국가들에게 따돌림을 당했는데 야만족의 땅이라 여겨지던 월나라가 주목을 받았을 리가 없다.[8] 초나라 입장에서는 월나라를 빌어 오나라를 멸망시키거나 못해도 약화시키고 그 동안 초나라는 내실을 다지려는 속셈으로 도와준 것이었다.[9] 산동 반도에 위치한 도시로 그야말로 영토 최북단에 위치한 국경 지대였다. 수도로는 적합하지 않은 입지지만, 일부러 수도를 전방으로 옮겨 국경지역의 군권을 장악하고 팽창을 추진하는 정책은 역사상 종종 있는 일이다. 애당초 장안이라든지 베이징 또한 상당히 국경지대에 치우친 도읍이고 현대에도 파키스탄이 굳이 인구 2,300만의 대도시이자 안정적인 옛 수도인 카라치를 놔두고, 분쟁지역인 카슈미르의 턱밑인 이슬라마바드로 이전한다든지 하는 사례를 찾을 수 있다. 그리고 아무래도 아직 개발이 덜 되고 부양력이 부족했던 월나라 본토보다는 중원 한복판이 물자의 풍부함으로나 문화적 수혜로나 유리했을지 모른다.[10] 전국시대제나라의 본거지[11] 오늘날의 저장성사오싱시[12] 당시에는 회계(會稽)라고 불렸다. 초한지에서 항량항우가 거병하고 《삼국지》에서 왕랑이 다스리고 손권이 태수직을 받던 그 회계가 맞다. 중국사에 나름 굵직한 사건들에 연관된 도시.[13] 월왕 대에 고소 땅으로 옮긴다.[14] 멸망 시기는 사료마다 다르다. 사마천의 《사기》에는 기원전 334년.[15] 월나라 왕족이 세운 나라가 아니라 민족 구성원이 월나라와 비슷하다. 사실 이때까지만 해도 중국 남부 지역에서 중국티베트어족계 언어는 별로 쓰이지 않았고, 몽몐어족이나 오스트로아시아어족, 크라다이어족, 오스트로네시아어족 등 동남아에서 쓰이는 계통의 언어가 널리 쓰였다고 추정된다.[16] 장강 이남이 본격적으로 한족의 활동 영역이 된 것은 삼국시대이다.[17] 흔히 말하는 이, 융, 적, 만 등과 비슷한 쓰임새라고 보면 된다.[18] 일본에서는 이 표현을 훈독해 중국을 '모로코시'라고 부르기도 했다.[19] X huang et al. (2022) - Genomic Insights Into the Demographic History of the Southern Chinese, Front Ecol Evol, 10:853391[20] 비슷하게 촉견폐일(蜀犬吠日)이 있으며, 이쪽은 촉(蜀) 쓰촨 지방이 항상 끼어있는 짙은 안개 때문에 해가 보이는 날이 적었고, 어쩌다 해가 보이면 개들이 짖는 데서 유래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