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9-27 11:40:57

노예 근성

노예근성에서 넘어옴
파일:Document_Protect.svg   편집 보호된 문서입니다.
문서의
ACL 탭
을 확인하세요.

1. 정의2. 상세3. 오용4. 관련 문서

[clearfix]

1. 정의

/ a servile spirit
凡編戶之民, 富相什則卑下之, 伯則畏憚之, 千則役, 萬則仆, 物之理也.
무릇 호적에 편성된 백성은 부유함이 서로 열 배거든(열 배 차이가 나거든) 그를 비하하고, 백 배면 그를 두려워하며 감탄하고 천 배면 (그를 위해) 노역을 하고, 만 배면 엎드리니 (이것이) 사물의 이치이다.
사기, 권 129, 화식열전 한조(漢朝)편 중

남이 시키는 대로만 하거나 주체성 없이 남에게 굽신대는 성질을 뜻하는데 말 그대로 자유가 주어졌거나 자유를 쟁취할 수 있는 상황에서도 그저 자리에 주저앉아 아무것도 하지 않고 결국 노예 상태에 만족하는 정신 또는 근성을 말한다. 학습된 무기력 문서 참고.

2. 상세

예컨대 구술되는 이야기 중에 이런 게 있다. 소설 난장이가 쏘아올린 작은 공에서도 비슷한 이야기가 실려 있다.
어느 한 양반가에 묶인 노비 일가가 있었다. 그들은 열심히 일했고 그들을 좋게 본 노비들의 주인이 노비들을 자유롭게 해주기로 마음 먹었고, 어느날 노비들에게 그 마음을 말했다. 그러자 노비들이 하는 말은 "우릴 내치지 말아주십시오 주인님"이었다.
엄밀히 말하면 이 이야기는 노예 근성에 해당하는 사례라고 보기 어렵다. 노비로 묶여 있으면 최소한 굶어 죽거나 얼어 죽을 걱정은 없지만 그 시대에 노비가 자유를 얻는다는 건 당장 머물 곳이 사라지고 당장 내일 먹을 것을 걱정해야 하는 처지가 된다는 것과 같기 때문이다. 신분제가 있던 전근대에 재산을 따로 축적하지 않고 평생 남의 뒤치다꺼리나 하던 노비가 당장 사회에서 무슨 일을 할 수 있겠는가? 엄연히 말하면 이들은 재산을 생산하는 수단인 토지가 없는 만큼 기껏해야 또 다른 사람의 노비나 되지 않으면 다행이고 다른 방식의 노동도 존재하지 않았다.[1][2]

스스로 생각하거나 행동하길 두려워하여 스스로를 노예로 깎아내리는 정신도 노예근성이라고 한다. 예를 들면 남이 그렇다면 무조건 그게 맞는 것으로 아는 행동이라고 하겠다. 그리고 인격적으로 부당한 대우를 받고도 그것이 전체(조직·사회)의 이익을 위하는 것이라 착각하고 저항하지 않거나 변화를 두려워하는 것도 포함된다. 혹은 자신의 처지를 합리화하고 노예 상태가 아닌 자들을 오히려 비하하며 자랑거리로 삼기도 한다.[3] 노예 근성을 없애려는 게 아니라 대물림시키려는 이상한 멘탈도 덤으로 가지고 있는 편이다.

스톡홀름 신드롬과 일맥상통하는 부분들도 있다.

이런 성향이 짙은 사람들이 양산되면 양극화의 결과로 자본이 무너지는 것은 아니라 오히려 부와 권력이 영향을 부풀리는 사태가 점차 빨라지고 고대의 무한계층 사회 또는 원시시대 이전의 무관심과 혐오, 각자도생 같은 현상이 부활하는 등으로 인류가 퇴행하고 약자가 사람 이하로 도태될 수가 있어서 아주 위험하다. 즉, 공화주의민주주의에 악영향을 줄 수 있다.

뜻을 정리하면 남에게 얽매이고 자존감 없이 직급이 갑인 사람에게 조아리려는 특성이라고 할 수 있다.

3. 오용

정리해고와 노예 해방은 완전히 다른 일이다. 노예는 주인 아래에 노예라는 계급적인 구도지만 고용주와 피고용인은 피고용인이 노동을 해주는 대가로 돈을 받는 동등한 관계이다. 정리해고는 지금 당장 먹고 살 길이 막막해지는 것이고 부당한 처우를 받는 것이니 반발하는 것은 당연한 일이다. 노조가 있는 이유가 이것이다.

4. 관련 문서


[1] 작중에서는 주인이 노비 부부의 아들을 해방시켜 주면서 집과 땅을 떼어 주지만 사회 경험이 부족하여 결국 집과 땅을 잃고 만다.[2] 당대의 노비는 세금과 역의 의무를 지지 않았기 때문에 어진 주인 밑에서 일한다면 빈곤한 양인보다 훨 나은 생활을 영위할 수 있던 데다 주인이 세도가인데 그의 총애를 받았으면 평민은 물론이고 어지간한 양반보다도 강력한 부와 권력을 누릴 수도 있었다.[3] '리로이 존스'라는 사람이 "노예들은 자신의 다리를 묶고 있는 쇠사슬을 서로 자랑한다"로 표현했다는 글귀가 알려져 있는데 '리로이 존스(Everett LeRoy Jones)'는 미국의 극작가인 아미리 바라카(Amiri Baraka)의 실제 이름이지만('바라카'는 아프리카식 예명인 Imanu Amiri Baraka) 아미리 바라카가 실제로 저런 말을 했다는 증거가 부족하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