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11-01 00:43:31

다름슈타트 공과대학교

파일:다름슈타트 공과대학교 아이콘.png 다름슈타트 공과대학교 관련 틀
{{{#!folding [ 펼치기 · 접기 ]
다름슈타트 공과대학교
Technische Universität Darmstadt
파일:다름슈타트 공과대학교 로고.svg
<colbgcolor=#b90f22><colcolor=white> 국가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독일|{{{#!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독일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독일}}}{{{#!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위치 헤센다름슈타트
개교 1877년
학생 25,170명
예산 연간 4억 5320만 유로 (한화 6천 2백억 원)
교직원 4,500명
링크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1. 개요2. 역사3. 위상 및 평가4. 출신 인물5. 여담

1. 개요

독일 헤센다름슈타트에 위치한 국립 공과대학교. 9개 최상위 독일 공과대학교 연합인 TU9, 유럽 내 53개 공과대학교의 연합인 T.I.M.E. 등에 속해있다.

2020년 기준으로 노벨상 수상자 수는 4명이다.[1] 2022년 기준 QS 대학평가 공학 및 기술 분야에서 독일 내 6위[2][3]에 랭크되어 있다.

2. 역사

1836년 헤센 대공국 시절 다름슈타트에 고등산업학교(Höhere Gewerbeschule)라는 이름으로 설립되었다. 이후 1864년 기술학교(Technische Schule)로, 1864년에는 대공립 산업기술학교(Großherzoglich Hessische Polytechnische Schule)로 변경되었다. 1877년 헤센 대공 루트비히 4세에 의해 정식 대학으로 승격되며 학교명이 다름슈타트 공업대학(Technische Hochschule zu Darmstadt)로 변경되었다. 1899년에는 박사학위 수여 권한을 획득했다. 1차 세계대전 이후로는 순수 기술 직업교육이 아닌 연구 중심의 학술적 교육으로 저변을 확대해야 한다는 취지 하에 교육과정을 대거 개편하게 되면서 현재의 형태를 갖추었다. 1997년 현재의 이름인 다름슈타트 공과대학교(Technische Universität Darmstadt)로 변경 되었다.

3. 위상 및 평가

다름슈타트 공과대학교는 독일 산업계에서 '최고의 졸업생을 배출하는 대학'으로 꾸준히 손꼽힌다. 특히 독일 유력 경제 주간지 'WirtschaftsWoche'가 매년 독일 기업 인사 담당자 5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하는 설문조사에서 산업공학,기계공학, 컴퓨터과학, 전기공학 등의 분야에서 수 년째 1위를 차지하고 있다.

4. 출신 인물

<rowcolor=white> 이름
국문
(독일어)
분야 주요 업적
페터 그륀베르크
(Peter Grünberg)
2007년 노벨 물리학상 거대 자기저항(GMR) 효과 발견
호르스트 루트비히 슈퇴르머
(Horst Ludwig Störmer)
1998년 노벨 물리학상 분수 양자 홀 효과 발견
게르하르트 헤르츠베르크
(Gerhard Herzberg)
1971년 노벨 화학상 분자의 전자 구조와 기하학적 구조 연구
헤르만 슈타우딩거
(Hermann Staudinger)
1953년 노벨 화학상 고분자(Macromolecule) 존재 증명
하임 바이츠만
(Chaim Weizmann)
정치, 화학 이스라엘 초대 대통령, 화학자
안네 슈피겔
(Anne Spiegel)
정치 전 독일 연방 가족노인여성청소년부 장관
귄터 베니슈
(Günter Behnisch)
건축 1972 뮌헨 올림픽 공원 건축가
엘 리시츠키
(El Lissitzky)
예술, 건축 러시아 아방가르드 대표 예술가
에라스무스 키틀러
(Erasmus Kittler)
전기공학 세계 최초의 전기공학 교수
<rowcolor=white> 이름
국문
(독일어)
기업 주요 직책
올리버 칩세
(Oliver Zipse)
BMW 기계공학 전공, 이사회 의장 (CEO)
한스 디터 푀치
(Hans Dieter Pötsch)
포르쉐 SE
(Porsche SE)
산업공학 전공, 감독이사회 의장
카이 베크만
(Kai Beckmann)
머크
(Merck KGaA)
컴퓨터과학 전공, 이사회 멤버, 그룹 CEO
니콜라이 제처
(Nicolai Setzer)
콘티넨탈 AG
(Continental AG)
산업공학 전공, 이사회 멤버, 그룹 CEO
토비아스 마이어
(Tobias Meyer)
도이체 포스트 DHL
(Deutsche Post AG)
이사회 멤버, 그룹 CEO
베르너 슈타인뮐러
(Werner Steinmüller)
도이체방크
(Deutsche Bank)
산업공학 전공, 전 아시아태평양 지역 총괄, 경영 이사회 멤버
볼프강 베른하르트
(Wolfgang Bernhard)
다임러 AG
(Daimler AG)
전 다임러 트럭 총괄, 경영 이사회 멤버
페터 슈넬
(Peter Schnell)
Software AG 수학 및 물리학 전공, Software AG 창립
페터 호르바트
(Péter Horváth)
Horváth & Partners 산업공학과 교수, 독일의 주요 경영 컨설팅 회사 창립
데틀레프 리즈너
(Detlev Riesner)
QIAGEN 생물물리학과 교수, 세계적인 분자진단 기업의 공동 창립자

5. 여담

1882년 세계 최초로 전기공학 학사과정을 개설한 학교이다.
[1] #[2] 전세계 148위[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