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8-05 13:15:50

대니 잰슨

{{{#!wiki style="margin: -10px -10px; word-break: keep-all"<tablebordercolor=#12284b> 파일:밀워키 브루어스 엠블럼.svg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12284b><colcolor=#fff> 투수 25 미어스 · 26 애쉬비 · 29 메길IL-15 · 32 미저라우스키 · 36 마이어스 · 37 IL-15 · 39 패트릭 · 43 헨더슨IL-60 · 45 우리베 · 46 프리스터 · 47 케이닉 · 48 요호40인 · 50 맥기40인 · 51 페랄타 · 53 우드러프IL-15 · 54 개서 · 55 밀러IL-60 · 56 앤더슨 · 57 토마스IL-60 · 58 자스트리즈니 · 59 페디 · 62 퀸타나IL-15 · 00 로드리게스 · # 몽고메리IL-60
포수 24 콘트레라스 · 33 잰슨 · 76 케로40인
내야수 2 투랑 · 3 오티즈 · 7 블랙40인 · 9 바우어스 · 12 호스킨스 · 14 모나스테리오 · 18 시글러40인 · 21 더빈 · 28
외야수 5 미첼IL-60 · 6 콜린스 · 10 프렐릭 · 11 추리오 · 16 퍼킨스 · 20 로크리지40인 · 22 옐리치 · 35 베로아40인
''' 파일:미국 국기.svg 팻 머피''' 파일:미국 국기.svg 리키 윅스 주니어 공석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네스터 코레도르 파일:미국 국기.svg 알 르뵈프 파일:미국 국기.svg 코너 도슨 · 파일:미국 국기.svg 에릭 세이센 파일:미국 국기.svg 맷 에릭슨 파일:미국 국기.svg 크리스 훅 파일:캐나다 국기.svg 짐 헨더슨 파일:미국 국기.svg 훌리오 보본 · 파일:미국 국기.svg 제이슨 레인 파일:미국 국기.svg 찰리 그린 파일:미국 국기.svg 다니엘 데 몬데서트 파일:미국 국기.svg 애덤 와이젠버거 · 파일:미국 국기.svg 크리스티안 코레아
파일:MLB 로고.svg 다른 MLB 팀 40인 로스터 보기
파일:내슈빌 사운즈 엠블럼.svg 산하 AAA팀 로스터 보기
}}}}}}}}}
밀워키 브루어스 등번호 33번
제이콥 미저라우스키
(2025)
대니 잰슨
(2025~)
현역
파일:브루어스대니잰슨.webp
<colbgcolor=#12284b><colcolor=#fff> 밀워키 브루어스 No.33
대니 잰슨
Danny Jansen
본명 대니얼 로버트 잰슨
Daniel Robert Jansen
출생 1995년 4월 15일 ([age(1995-04-15)]세)
일리노이 주 엘름허스트
국적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학력 애플턴 웨스트 고등학교
신체 188cm | 102kg
포지션 포수
투타 우투우타
프로입단 2013년 드래프트 16라운드 (전체 475번, TOR)
소속팀 토론토 블루제이스 (2018~2024)
보스턴 레드삭스 (2024)
탬파베이 레이스 (2025)
밀워키 브루어스 (2025~)
계약 1yr / $8,500,000[option]
연봉 2025 / $8,000,000
SNS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1. 개요2. 선수 경력3. 플레이 스타일4. 연도별 성적5. 둘러보기

1. 개요

밀워키 브루어스 소속 포수.

2. 선수 경력

2.1. 토론토 블루제이스

파일:danny_jansen.jpg
2020년 9월 7일 뉴욕 양키스 전에서 커리어 첫 만루홈런을 터뜨렸다!

2022년 7월 22일 보스턴 레드삭스 원정에서는 6타수 3안타 2홈런 6타점의 맹타를 휘두르며 토론토 구단 역사상 단일 경기 최다 득점 기록을 28점으로 갱신하는 데 기여했다.

잰슨 본인도 주전급 포수로 활약 중이지만 팀에 포수가 많아진 탓에 트레이드 매물로 언급되는 중이다.

2023년 1월 13일, 연봉 조정을 피해 350만 달러의 연봉에 합의했다.

2월 2일, MLB 네트워크에서 선정한 포수 TOP 10 부문에서 9위에 오르며 리그 최고의 포수 중 한 명이라는 사실을 인정받았다.#

2023 시즌은 부상이 잦아서 출전 경기 수가 아쉬웠으나 출전한 경기에서는 좋은 모습을 보였다.

시즌 최종 성적은 86경기 .228/.312/.474 17HR 53RBI wRC+ 116 fWAR 2.0.

2024년 1월 11일, 연봉 조정을 피해 520만 달러의 연봉에 합의했다.

5월 26일 기준으로 2024 시즌 시작 이래 다른 주전 타자들 경기수의 거의 반 정도인 27경기밖에 뛰지 못했지만 .314/.394/.605 wRC+ 181 fWAR 1.4 이라는 엄청난 성적을 기록하고 있다. 그러나 6월 이후 OPS가 0.5에도 못 미치는 극심한 타격 부진에 시달렸다.

2.2. 보스턴 레드삭스

파일:레드삭스대니잰슨.jpg
2024년 7월 27일, 내야수 커터 코피, 내야수 에딘손 파울리노, 우완 투수 힐베르토 바티스타를 상대로 보스턴으로 트레이드되었다.

8월 26일, 친정팀 토론토와의 서스펜디드 경기에 7번 타순으로 출장했다. 6월 27일 우천으로 2회초 중지된 게임이었는데, 중지될 당시 토론토의 마지막 타자로 나섰으며 이로 인해 한 경기에 양 팀 모두에서 뛰는 진기록의 대상이 되었다. 이는 MLB에서도 최초의 기록이다. 잰슨이 토론토 소속으로 나설 수 없게 되었으므로 토론토는 대타로 돌튼 바쇼를 냈으며, 바쇼는 잰슨이 남긴 스트라이크 카운트 하나에 이어 파울 - 헛스윙으로 삼구삼진당했고 이 공을 잰슨이 받았다. 만약 잰슨이 스트라이크를 하나 더 얻었다면, 투 스트라이크에서 대타가 나와서 당한 삼진은 투 스트라이크를 얻은 선수의 삼진으로 집계되므로 잰슨은 자신의 삼진을 유도하는 공을 직접 잡는 괴이한 상황을 겪을 뻔했다.

트레이드 이후에도 타격감이 반등하지 못하며 코너 웡의 백업으로 밀려났고, 9월 들어서는 출전 시간도 8월에 비해 줄어드는 등 어려운 시기를 보냈다. 보스턴 이적 이후의 성적은 30경기 타출장 .188/.323/.300 OPS .623 3홈런 6타점.

시즌 종합 성적은 92경기 타출장 .205/.309/.349 OPS .658 9홈런 24타점으로, 2019시즌과 2020시즌에 버금가는 커리어 로우 시즌을 보냈다. 하필 예비 FA 시즌에 안 좋은 성적을 낸 것은 더 악재.

2.3. 탬파베이 레이스

2024년 12월 6일, 탬파베이 레이스와 1년 850만 달러의 계약을 맺었다. 1년 1,200만 달러 규모의 뮤추얼 옵션이 포함됐다.

탬파베이는 마이크 주니노 이후 주전 포수들이 부진을 겪어 어려움을 겪고 있고, 직전 시즌 주전이던 벤 로트베트도 공수 양면에서 잰슨보다는 한 수 아래의 선수이므로 웬만해서는 주전을 보장받고 시즌에 돌입할 것으로 보인다.

후반기 시작 시점에서 .211/.313/.409의 타/출/장과 11개의 홈런을 때려내고 있다. 스탯캐스트 기준으로 최상위권의 블로킹 수치를 기록하고 있으나, 도루저지와 팝타임, 프레이밍에서는 최하위를 기록중이다. 이로 인해 fWAR은 0.9, bWAR은 1.9로 큰 차이를 보이고 있다.

2.4. 밀워키 브루어스

7월 28일, 재더 아레이나모를 상대로 밀워키로 트레이드되었다.

3. 플레이 스타일

포수로는 수비 능력과 게임 조립 능력이 좋다고 평가받는 포수이며, 영어를 하는 포수라는 점도 장점으로 꼽힌다.[2] 2021 시즌을 기점으로 장타력도 비약적으로 발전했다고 평가받고 있다. 처음 데뷔할 당시에는 수비형 포수라는 이미지가 매우 강했지만 2021 시즌 wRC+ 105, 2022 시즌 wRC+ 140, 2023 시즌 wRC+ 116[3]으로 타격에서도 상승세를 보여주고 있다. 반면 수비력은 데뷔 초반 수비형 포수라는 평가에 비해서는 2023 시즌 기준 리그 평균 수준 정도로 평가 받는다. 같은 팀에 메이저리그 최고 수준의 공격력을 가진 알레한드로 커크가 함께 뛰는 관계로 풀타임 주전으로 활약하진 못하지만 둘이 지명타자와 포수를 번갈아 맡으면서 상당 부분 체력 안배가 되는 이점도 있다. 사실 어지간한 팀에 가면 무조건 붙박이 주전 포수일 선수.

다만 여러 가지 불운이 겹친 부상이 잦아지면서 이 부분에 대한 우려가 있다.[4]

4. 연도별 성적

파일:MLB 로고.svg 대니 잰슨의 역대 MLB 기록
<rowcolor=#ffffff> 연도 G PA H 2B 3B HR R RBI SB BB SO AVG OBP SLG OPS fWAR bWAR
2018 TOR 31 95 20 6 0 3 12 8 0 9 17 .247 .347 .432 .779 0.7 0.6
2019 107 384 72 12 1 13 41 43 0 31 79 .207 .279 .360 .640 1.8 1.1
2020 43 147 22 3 0 6 18 20 0 21 31 .183 .313 .358 .671 0.4 0.7
2021 70 205 41 13 0 11 32 28 0 17 44 .223 .299 .473 .772 1.5 1.3
2022 72 248 56 10 0 15 34 44 1 25 44 .260 .339 .516 .855 2.7 2.9
2023 86 301 61 15 0 17 38 53 0 23 62 .228 .312 .474 .786 1.9 1.6
<rowcolor=#ffffff> 연도 G PA H 2B 3B HR R RBI SB BB SO AVG OBP SLG OPS fWAR bWAR
2024 TOR/BOS 92 324 57 13 0 9 35 24 0 40 61 .205 .305 .349 .658 0.5 0.7
MLB 통산
(7시즌)
501 1704 329 72 1 74 210 220 1 166 338 .220 .308 .419 .727 9.5 8.8

5. 둘러보기

대니 잰슨의 이전 등번호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토론토 블루제이스 등번호 9번
대럴 세실라니
(2016~2017)
<colcolor=#ffffff> 대니 잰슨
(2018~2024)
조이 로퍼피도
(2024~)
보스턴 레드삭스 등번호 28번
개럿 쿠퍼
(2024)
대니 잰슨
(2024)
크리스찬 캠벨
(2025~)
탬파베이 레이스 등번호 19번
롭 브랜틀리
(2024)
대니 잰슨
(2025)
결번
}}} ||


[option] 2026 시즌 : 상호 합의 옵션 $12,000,000/바이아웃 $500,000[2] 사실 최근 빅리그에는 기피 포지션인 포수에 중남미 출신 선수들이 대거 유입되면서 영어를 하는 주전급 포수가 점차 줄어들고 있는 추세이다.[3] 2020년 84 2019년 69로 평균 이하[4] 2021 시즌 205PA, 2022 시즌 248PA, 2023 시즌 301PA 등 지난 3년간 상당히 많이 결장했다. 물론 커크의 존재 때문이기도 하지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