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2-11-30 09:39:10

대한민국 달 탐사 계획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colbgcolor=#404040,#ffffff><colcolor=#ffffff,#000000> 2024년 425 정찰위성 2호 · 425 정찰위성 3호
2025년 아리랑 6, 7호 · 차세대중형위성 2,4호 · 차세대중형위성 3호누리호 4차 · 국산 소자·부품 검증 위성 1호누리호 4차 · 425 정찰위성 4, 5호 · 스페이스아이-티
2026년 초소형군집위성 2~6호누리호 5차 · 6G저궤도통신위성1기 · 국산 소자·부품 검증 위성 2호누리호 5차
2027년 천리안 3호 · 자료중계위성 · 차세대소형위성 3호(우리별 1호 수거) 누리호 6차 · 초소형군집위성 7~11호누리호 6차 · 차세대중형위성 5호 · KPS위성 1호기 · 국산 소자·부품 검증 위성 3호누리호 6차
2028년 기술검증플랫폼 위성 1호누리호
2029년 기술검증플랫폼 위성 2호누리호 · 천리안 4호 · 6G저궤도통신위성3기누리호
2030년 KSLV-III 시험발사 · 항법(경사)위성 1호기 · KSLV-s · 1m급 우주망원경 · 우주환경탐사선 · 기술검증플랫폼 위성 3호누리호 · 달 궤도 투입 성능검증위성KSLV-III
2031년 달 연착륙 검증선KSLV-III
2032년 한국형 달 착륙선KSLV-III
2035년 한국형 화성 궤도선KSLV-III · KPS 구축 완료 · L4 탐사선 · ISRU기반 달기지 건설 시작 · KPS 위성 2~8호기
2040년 우주망원경 · 정지궤도/유인 발사장
2045년 한국형 화성 착륙선
2050년 한국형 유인 수송 발사체
관련 틀 : 대한민국의 인공위성 | 대한민국의 로켓
관련 문서 : 대한민국의 우주개발사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colbgcolor=#404040><colcolor=#ffffff> 우리별 위성 1호('92) · 2호('93) · 3호('99)
무궁화 위성 1호('95) · 2호('96) · 3호('99) · 5호('06) · 5A호('17) · 6호올레 1호('10) · 7호('17) · 6A호('24)
아리랑 위성 1호('99) · 2호('06) · 3호('12) · 3A호('15) · 5호('13) · 6호('24)* · 7호('23)* · 7A호('24)* · 8호('27)* · 9호('28)*
천리안 위성 1호('10) · 2A호('18) · 2B호('20) · 3호('27)* · 5호('31)*
과학기술위성 1호('03) · 2A호('09) · 2B호('10) · 나로과학위성('13) · 3호('13)
차세대소형위성 1호('18) · 2호('23) · 3호('27)*
차세대중형위성 1호('21) · 2호('25)* · 3호('25)* · 4호('25)* · 5호('25)* · 6호('25)*
군사통신위성 ANASIS-I무궁화 5호('06) · ANASIS-II('20)
정찰위성 1호('23) · 2호, 3호('24)* · 4호, 5호('25)*
초소형군집위성 1호('24)* · 2호~6호('26)* · 7호~11호('27)*
기술검증플랫폼 위성 1호(28)* · 2호(29)* · 3호(30)*
6G저궤도통신위성 1호(27)* · 2호(29)*
국산 소자·부품 검증 위성 1호(25)* · 2호(26)* · 3호(27)*
달 궤도선 다누리('22) · 달궤도투입성능검증위성(30)*
화성 궤도선 한국형 화성 궤도선(35)*
큐브위성 도요샛('23)
KPS위성 1호(27)* · 2~8호(~35)*
차세대대형정찰위성 1~12호(425정찰위성사업 이후)*
기타 누리호 성능검증위성('22)
취소선: 발사 실패 / : 교신 두절 / *: 임무 예정
관련 틀 : 대한민국의 로켓 | 대한민국의 우주개발계획 }}}}}}}}}



1. 개요2. 역사3. 탐사선
3.1. 다누리3.2. 착륙선
4. 달 탐사선 경로5. 기타

[clearfix]
파일:한국형 달 탐사선.jpg
궤도선, 착륙선과 탐사 로버의 모습을 담은 대한민국의 달 탐사 상상도. 현재 계획에 따르면 2022년에 궤도선, 2032년에 착륙선이 도착한다.

1. 개요

대한민국 달 탐사 계획한국항공우주연구원이 주관하는 사업 계획이다. 달 탐사 계획은 총 2단계로 이루어져 있으며, 1단계 사업으로 달 궤도선인 다누리2022년 8월 5일에 스페이스X팰컨9 블록5을 사용해 발사하였고, 이후 2단계 사업으로 2032년KSLV-III를 사용해 무인 달 착륙선을 발사할 계획이다.

2. 역사

달 탐사 계획은 상징성에 의해 정부가 바뀔 때마다 정치적인 목표를 위해 바뀌어졌으며 일관적이지 못했다. 노무현 정부는 2020년 달 궤도선 발사, 2025년 달 착륙선 발사를 목표로 세웠다. 박근혜 정부는 이를 각각 2017년, 2020년으로 앞당겼다. 문재인 정부 들어서 현실적인 문제들로 인해 2020년, 2031년으로 바뀌었다.

3. 탐사선

3.1. 다누리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다누리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2. 착륙선

달 착륙선(가칭)
Korea Lunar Lander and Rover (KLLR)
파일:AKR20151223038300063_05_i_P4.jpg
제작사 파일:한국항공우주연구원 CI.svg
총 중량 1,800kg (예상)
크기 미상
탑재체 탐사로버, 월면토휘발성추출기, 원자력전지 소형전력장치
발사 예정일 2032년 12월
발사체 KSLV-III
발사 장소 나로우주센터
전이 궤도 미상
운용 장소 미상
임무 기간 미상
[clearfix]
2008년 KAIST 권세진 교수팀과 스페이스솔루션사(대표 이재헌)가 공동으로 달 착륙선을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 ILN이 예상하는 1억 달러(1500억 원) 개발비를 절반인 750억 원으로 줄이는 기술도 개발하는데 성공했다. 2008년 11월 28일 KAIST 풍동 실험동(W10)에서 공개 지상착륙시험도 실시했다. 항우연은 2013년 현재 70%의 기술을 확보했으며, 2014년 달 탐사선의 지상착륙시험을 실시할 계획이다. 550kg급 착륙선을 구상하고 있다.#
파일:external/image.chosun.com/2015021700729_0.jpg
탐사 로버. 착륙선과 함께 달에 도착하며, 지질연구를 목표로 한다.

2022년 과기정통부는 1.5t급 이상인 달 착륙선을 개발해 KSLV-III 로켓을 이용해 2030년대 초 달 표면에 착륙시킨 뒤 자원 탐사, 현지자원 활용 등 임무를 수행한다는 목표를 세웠다. 이는 2022년 8월 발사한 다누리의 후속 사업이다.#

2022년 11월 공개된 예비타당성사업 요악서에 따르면 KSLV-III를 활용하여 2031년 12월 달 연착륙 검증선을 발사한 뒤, 2032년 12월 1.8톤급 착륙선을 발사한다는 계획이다. 연착륙 검증선은 달 착륙선과 같으나, 달 착륙선에는 탐사로버, 월면토휘발성추출기, 원자력전지 소형전력장치가 추가로 탑재된다.

4. 달 탐사선 경로

파일:BLT_danuri20220804_1216B.svg
지구에서 달로 가는 탐사선 경로는 이에 영향을 미치는 각각의 행성(위성)의 중력이 지배하는 궤도를 경로계산해서 수립하게 된다. 이 행성(위성)의 중력이 지배하는 궤도에서 다른 행성(위성)의 중력이 지배하는 궤도로 갈아타는 진입을 전이하고 한다면 대표적인 달진입 경로로는 지구에서 달로 포물선의 경로로 가는 직접경로전이(1), 지구에서 달로 가지만 지구의 중력과 달의 중력의 평형상태를 이용하는 위상루프전이(2) 지구에서 최소한의 추진력으로 지구중력을 벗어난후 태양과 지구중력이 평형상태을 이루는 지점(LP1)인 라그랑주점(Lagrangian point)에서 지구중력으로 달 궤도에 들어가는 탄도진입전이(BLT,Ballistic Lunar Transfer)로 알려진 저에너지 포인트전이(3)가 있다. [1][2]
(1)는 5일전후, (2) 30일 전후, (3)는 100일~150일 전후 궤도 소요기간이 실시된다. 저에너지 소모는 반대순이다.
한편 다누리(Danuri, KPLO: Korea Pathfinder Lunar Orbiter)의 경우 LP1(지구 기준 1,500,000km)의 영역에서의 전환 미션인 궤도수정기동(TCM3,4)은 약 20~60일 전후의 소요구간에서 실시된다고 알려져있다.

5. 기타



[1] WSB/BLT 궤적 설계를 위한 달 궤도 조건 Lunar Orbit Conditions to Design WSB/BLT Trajectories 이동헌 (한국항공우주연구원) , 박재익 (한국항공우주연구원) , 송영주 (한국항공우주연구원) , 김영록 (한국항공우주연구원) , 홍승범 (한국항공우주연구원) , 배종희 (한국항공우주연구원) , 김대관(한국항공우주연구원) , 이상률 (한국항공우주연구원) 2020.11 53 - 54 (2 pages)https://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Id=NODE10525945[2] (KARI)가변 저추력을 이용한 달탐사 임무궤도 설계,이승헌, 박종오**, 삼은섭***, 송영주, 박상영 https://koreascience.kr/article/JAKO200811433116293.pdf[3] 2022년 현재까지 달 착륙에 성공한 국가: 소련/러시아, 미국, 중국
2030년까지 달 착륙을 계획한 국가: 인도(2023년), 일본(2022년 10월, 실패), 이스라엘(2024년), 유럽/캐나다(2027년), 튀르키예(2028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