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ki style="margin: -5px -10px; min-height: calc(1.5em + 10px); padding-top: 5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190033, #330066 20%, #330066 80%, #190033); color:#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국무총리 (1919) | ||||||
| 초대 | 대리 | 대리 | |||||
| 이승만 | 이동녕 | 안창호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임시 대통령 (1919~1925) | |||
| 초대 | 제2대 | ||||||
| 이승만 | 박은식 | ||||||
| <rowcolor=#ffffff> 국무령 (1925~1927) | |||||||
| 초대 | 대행 | 제2대 | 제3대 | ||||
| 이상룡 | 이동녕 | 홍진 | 김구 | ||||
| <rowcolor=#ffffff> 국무회의 주석 (1927~1940) | |||||||
| 제1·2대 | 제3대 | 제4대 | 제5-7대 | ||||
| 이동녕 | 송병조 | 양기탁 | 이동녕 | ||||
| <rowcolor=#ffffff> 국무위원회 주석 (1940~1947) | |||||||
| 제8-11대 | |||||||
| 김구 | }}} }}}}}} | ||||||
1. 개요
대한민국 임시정부 수반. 대한민국 임시정부가 존재하던 1919년부터 1948년까지 국무총리, 대통령, 국무령, 주석 등으로 수반의 직위가 변화해왔다.#2. 역대 임시정부 수반
| 역대 대한민국 임시정부 수반 | ||||
| <rowcolor=#fff> 대수 | 지도자 | 명단 | 임기기간 | 비고 |
| 국무총리 (의원내각제) | ||||
| 1 | | 이승만 | 1919.04.11. ~ 1919.09.11. | [1] |
| 대통령 (이원집정부제) | ||||
| 1 | | 이승만 | 1919.09.11. ~ 1925.03.23. | |
| 2 | | 박은식 | 1925.03.24. ~ 1925년 09월 | |
| 국무령 (국무령제) | ||||
| 1 | | 이상룡 | 1925년 9월 ~ 1926.02.18. | |
| 2 | | 양기탁 | 1926.02.18. ~ 1926.04.29. | |
| 3 | | 이동녕 | 1926.04.29. ~ 1926.05.03. | |
| 4 | | 안창호 | 1926.05.03. ~ 1926.05.16. | |
| 5 | | 이동녕 | 1926.05.16. ~ 1926.07.07. | |
| 6 | | 홍진 | 1926.07.07. ~ 1926.12.14. | |
| 7 | | 김구 | 1926.12.14. ~ 1927.04.10. | |
| 국무회의 주석 (집단지도체제) | ||||
| 1 | | 이동녕 | 1927.08.19. ~ 1930년 10월 | [2] |
| 2 | | 이동녕 | 1930년 ~ 1933년 | |
| 3 | | 송병조 | 1933년 6월 ~ ? | |
| 4 | | 양기탁 | 1934.01.20. ~ 1935.04.27. | |
| 5 | | 이동녕 | 1935년 11월 ~ 1939.10.23. | |
| 6 | | 이동녕 | 1939.10.23. ~ 1940.03.13. | |
| 7 | | 김구 | 1940.03.13. ~ 1940.10.08. | |
| 주석 (주석제) | ||||
| 1 | | 김구 | 1940.10.08. ~ 1944.04.06. | |
| 2 | | 김구 | 1944.04.06. ~ 1947.03.03. | |
| 3 | | 이승만 | 1947.03.03. ~ 1947년 9월 | [3] |
| 4 | | 이승만 | 1947년 9월 ~ 1948.08.15. | |
[1] 참고 첫 정부형태는 국무총리제로 시작되었다.[2] 집단지도체제 전환 이후 1인 지도체제가 아닌 국무위원들의 집단지도체제가 실시됨. 국무회의 주석은 국무회의 위원장 직명임.[3] 참고 명목상으로 선출 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