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2-09 11:25:45

데스티네이션(영화)


파일:파이널 데스티네이션 로고 화이트.svg

[ 작품 목록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f2023><tablealign=center><width=1000> 데스티네이션
(2000) ||<width=33.3%> 데스티네이션 2
(2003) ||<width=33.3%> 파이널 데스티네이션
(2006) ||
파이널 데스티네이션 4
(2009)
파이널 데스티네이션 5
(2011)
파이널 데스티네이션 블러드라인
(2025)
[ 등장 인물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f2023><tablealign=center><width=1000> 윌리엄 블러드워스 ||<width=50%> 클레어 리버스 ||
[ 관련 문서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f2023><tablealign=center><width=1000> 사망 유형 ||
역대 새턴상 시상식
파일:saturn-award.png
호러 영화상
제26회
(1999년)
제27회
(2000년)
제28회
(2001년)
식스 센스 파이널 데스티네이션 디 아더스
<colcolor=#ffffff> 데스티네이션 (2000)
Final Destination
파일:데스티네이션 포스터.jpg
<colbgcolor=#010101> 장르 공포
감독 제임스 웡
각본 글렌 모건
제임스 웡
제프리 레딕
원안 제프리 레딕
제작 워런 자이드
크레이그 페리
글렌 모건
주연 데번 사와
앨리 라터
커 스미스
토니 토드
촬영 로버트 매클라클런
편집 제임스 코블런츠
음악 셜리 워커
주제곡 ○○
촬영 기간 ○○
제작사 자이드/페리 프로덕션스
하드 에이트 픽처스
수입사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주)태원엔터테인먼트
배급사 파일:미국 국기.svg 뉴 라인 시네마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개봉일 파일:미국 국기.svg 2000년 3월 17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0년 6월 10일
상영 시간 98분
제작비 2,300만 달러
월드 박스오피스 $112,880,294[B]
북미 박스오피스 $53,331,147[B]
대한민국 총 관객 수 ○○명
최초/국내/독점 스트리밍 (스트리밍 서비스사 이름) [3]
상영 등급 파일:영등위_18세이상_2021.svg 청소년 관람불가

1. 개요2. 포스터3. 예고편4. 시놉시스5. 등장인물6. 설정7. 줄거리8. 사운드트랙9. 평가10. 흥행
10.1. 대한민국10.2. 북미 (미국·캐나다)10.3. 중국10.4. 대만10.5. 일본10.6. 영국10.7. 기타 국가
11. 기타12. 관련 문서13. 외부 링크14.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2000년에 개봉한 미국공포 영화. 파이널 데스티네이션 시리즈의 첫 작품이다.

2. 포스터

3. 예고편

메인 예고편

4. 시놉시스

파리로의 수학여행, 의문의 비행기 폭발 사고, 7명의 생존자... 그러나 악몽은 아직 끝나지 않았다!.. 10대들이 차례로 죽어간다! Death Is Coming!

5. 등장인물

이 문서에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 문서가 설명하는 작품이나 인물 등에 대한 줄거리, 결말, 반전 요소 등을 직·간접적으로 포함하고 있습니다.


1편 등장인물들은 호러 영화 감독들 이름에서 따왔다. 서술되지 않은 인물 중에는 래리 무르나우 (프리드리히 빌헬름 무르나우), 블레이크 드레이어 (칼 테오도르 드레이어)가 있다.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42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42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6. 설정

7. 줄거리

8. 사운드트랙

9. 평가


[include(틀:평가/영화 평점,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온전히 펼쳐진 틀의 형태와 틀의 사용법은 틀:평가/영화 평점/설명 문서 문서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10. 흥행

출처: 박스오피스 모조
국가 개봉일 총수입 (단위: 미국 달러) 기준일
전 세계 (최초개봉일) $(세계누적) (기준일자)
개별 국가 (개봉일 순, 전 세계 영화 시장 1, 2위인 북미, 중국은 볼드체)

[[미국 캐나다|
파일:미국 캐나다 국기.svg
미국 캐나다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북미
미정 미개봉 미정

[[중국|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미정 미개봉 미정

[[틀:국기|
파일: 국기.svg
국가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미정 미개봉 미정

10.1. 대한민국

누적관객수 -명, 누적매출액 -원[9]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width: 300px; min-height: 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주차별 상세 내역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 -10px"
<colbgcolor=#000><colcolor=#fff><rowcolor=#fff> 주차 날짜 일일 관람 인원 주간 합계 인원 순위 일일 매출액 주간 합계 매출액
개봉 전 -명 -명 미집계 -원 -원
1주차 20XX-XX-XX. 1일차(수) -명 -명 -위 -원 -원
20XX-XX-XX. 2일차(목) -명 -위 -원
20XX-XX-XX. 3일차(금) -명 -위 -원
20XX-XX-XX. 4일차(토) -명 -위 -원
20XX-XX-XX. 5일차(일) -명 -위 -원
20XX-XX-XX. 6일차(월) -명 -위 -원
20XX-XX-XX. 7일차(화) -명 -위 -원
2주차 20XX-XX-XX. 8일차(수) -명 -명 -위 -원 -원
20XX-XX-XX. 9일차(목) -명 -위 -원
20XX-XX-XX. 10일차(금) -명 -위 -원
20XX-XX-XX. 11일차(토) -명 -위 -원
20XX-XX-XX. 12일차(일) -명 -위 -원
20XX-XX-XX. 13일차(월) -명 -위 -원
20XX-XX-XX. 14일차(화) -명 -위 -원
3주차 20XX-XX-XX. 15일차(수) -명 -명 -위 -원 -원
20XX-XX-XX. 16일차(목) -명 -위 -원
20XX-XX-XX. 17일차(금) -명 -위 -원
20XX-XX-XX. 18일차(토) -명 -위 -원
20XX-XX-XX. 19일차(일) -명 -위 -원
20XX-XX-XX. 20일차(월) -명 -위 -원
20XX-XX-XX. 21일차(화) -명 -위 -원
4주차 20XX-XX-XX. 22일차(수) -명 -명 -위 -원 -원
20XX-XX-XX. 23일차(목) -명 -위 -원
20XX-XX-XX. 24일차(금) -명 -위 -원
20XX-XX-XX. 25일차(토) -명 -위 -원
20XX-XX-XX. 26일차(일) -명 -위 -원
20XX-XX-XX. 27일차(월) -명 -위 -원
20XX-XX-XX. 28일차(화) -명 -위 -원
}}}}}}}}} ||

10.2. 북미 (미국·캐나다)

10.3. 중국

10.4. 대만

10.5. 일본

10.6. 영국

10.7. 기타 국가

11. 기타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388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388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12. 관련 문서

13. 외부 링크

14. 둘러보기


[B] 출처[B] [3] '▶'가 링크된 주소는 해당 스트리밍 서비스에서 작품이 방송되고 있는 주소로 기입합니다.[4] 김일과 미키 신이치로 모두 포켓몬스터로이를 맡았다.[5] 나머지는 알렉스의 말을 믿진 않았지만 알렉스와 카터의 싸움 때문에 반쯤 타의로 내렸다.[6] 김승준과 이시다 아키라 모두 최유기저팔계십이국기코우야를 담당했다.[7] 참고로 이 배우는 나중에 쏘우 3D에 깁슨 형사 역으로 나온다.[8] 물론 시간이 걸릴 뿐 조사 과정에서 테러 용의점이 없는 사고라는 것도 드러났을 테니 알렉스의 혐의는 자연스럽게 풀렸을 것이다.[9] ~ 20XX/XX/XX 영화진흥위원회 영화관입장권통합전산망 기준[10] 만약 2편에 나왔다면 알렉스는 드릴에 관통되어 죽을 예정이었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