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UCY의 싱글 앨범에 대한 내용은 동문서답(노래) 문서 참고하십시오.
1. 개요
한자성어 | |||
東 | 問 | 西 | 答 |
동쪽 동 | 물을 문 | 서쪽 서 | 답할 답 |
문자 그대로 해석하자면 동쪽에 대해 물어봤는데 서쪽에 대해 답한다는 뜻으로, 그만큼 묻는 말에 전혀 관계도 없고 논지에서 벗어난 엉뚱한 대답을 한다는 뜻의 사자성어다.[1] [2]
영미권에서는 보다 전문적인 용어로 'Non-sequitur[3]'이라고 하지만, 저 단어는 논리학에서 자주 등장한다. 동문서답을 논리학의 오류 추론에서 일컫는 경우가 바로 논점일탈의 오류.
2. 유형
동문서답이란 말이 통하는 경우는 대개 세 가지다.- 질문을 못 알아들은 경우. 이 경우는 질문하는 쪽도 자신이 원하는 바를 확실히 할 수 있고, 보다 상대방이 알기 쉽게 설명할 수 있어야 한다.
- 상대방의 질문을 (지극히 본인의 관점에서만 해석하거나 과대해석하여) 넘겨짚고 대답하는 경우. 질문자가 "무슨 소리야?"라고 물었을 때 답변자가 중간과정을 설명해주는 경우라면 낫지만, 그러지 않고 상대에게 왜 못 알아듣냐고 닥달한다면 대화가 제대로 이루어지기 힘들다.
- 대답을 회피하려는 의도적인 행위. 대답을 하기는 하지만 역시 질문자가 바라는 바에 대해서는 끝까지 대답하지 않으려고 한다. 사실 이건 자기한테 불리한 질문에 대한 대답을 회피하는 것인 만큼 경우에 따라선 적어도 자기한테 불리하지 않은 질문에 대해서 만큼은 제대로 된 대답을 해주는등 동문서답이 아닌경우도 있긴하지만 대답 자체가 완전히 동문서답인 경우도 있는데 구체적으로,
- 아예 질문 자체를 정면에서 씹는 행위. 여성가족부의 발언으로 알려진 아래의 케이스 같은 경우가 있다.ex) M: (국정감사 청문회에서) 예산을 어디에다 썼는지 제대로 밝혀주시죠.W: 지금 여자라고 무시하는 겁니까?
그외엔 불리한 질문을 받자 그만하자고 하거나 쓸데없는 논쟁이라며 대놓고 대답을 회피하려 하는 경우도 대답을 회피하려는 목적의 동문서답에 해당한다. 엉터리 주장을 하고 난 후 근거를 묻자 마치 그 근거를 묻는 것이 자기에게 배우려고 하는 것인 양 '내가 그런 것까지 알려줘야 하나? 직접 공부해서 찾아라.' 하기도 한다. - 질문을 하는 사람이 답변자의 감정을 아주 크게 소모시키는 경우에 일부러 이렇게 대응하는 사람도 있다.
물론 동문서답으로 대답을 회피하다가는 자기 말에 책임도 못 지는 사람으로 몰릴 가능성이 높으며, 주변에서도 자기 말에 책임도 못 지고 불리하면 끝까지 대답을 회피하는 쓰레기로 낙인이 찍혀서 매장당하기 쉽다. 그러니 불리한 질문을 받았을 때 대답을 회피할 게 아닌 자기가 틀린 것에 대해선 그깟 쓸데없는 자존심 때문에 인정 안 하고 끝까지 대답을 회피하다가 낙인이 찍혀 매장당할 게 아니라 인정할 건 솔직하게 인정하도록 하자. 쓸데없는 자존심으로 끝까지 대답을 회피하다가 정말로 험한 꼴을 당하는 수가 있다. 끝까지 대답을 회피하는 모습에 상대방들이 질리는 걸 넘어 아예 열 받게 되기도 하는 건 덤.
3. 그 외
- 상대와 말할 때 일부러 거의 모든 대답을 동문서답으로 말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러는 사람들을 완전체라고 일컫고 자신이 겪었다는 완전체의 실사례를 제시한 글이 2008년에 큰 공감을 얻고 퍼진 적이 있다. 그 글에 실린 사례를 보면 대충만 보면 마치 물 흐르듯이 이야기가 되는 것 같으면서도 실제로는 상대의 이야기에 대해 전혀 답하지도 공감하지도 않는 해괴한 화술에 당혹감까지도 느껴진다. 2011년까지도 뒷북으로 저 글이 인터넷 커뮤니티 올라온 경우도 있는데, 저 글이 나올 때마다 격한 공감을 보내는 사람들이 있는 걸 보면 저런 류의 사람이 정말 있기는 한 모양.
- 상당수의 정치인들과 권력자들에게도 찾아볼 수 있는데, 특히 쉽게 답하기 곤란한 불리한 질문엔 끝까지 대답을 회피하거나 설사 대답을 해 줘도 자기한테 불리하지 않은 쪽으로만 대답하거나 아예 다른 쪽으로 화제를 돌릴 뿐 질문자가 대답해 주길 바라는 것에 대해선 자기한테 불리하단 이유 하나만으로 끝까지 대답을 안 하고 회피한다. 많이 만나본 사람들에 의하면 상황에 따른 메뉴얼을 숙지하고 있는 느낌이라고 한다. 이쯤 되면 이들은 동문서답을 잘못된 화법이 아니라 일종의 고도의 정치술로 인식하는 듯 하다.[4]
- 유희왕의 캐릭터들이 툭하면 내뱉는 것이기도 하다. 그 외에도 뭔가 중2병스러운 작품들에서 등장인물들은 서로의 말에 담긴 속뜻을 이해하고 심오한 대화를 하고 있는 듯 한데 독자, 시청자가 보기에는 대체 뭔 소리를 하는 건지 알아먹지 못하는 경우들이 매우 많다.
- 집단적 독백도 이와 관련된 심리현상이다.
- 뉴진스의 하입보이요 역시 동문서답이라 할 수 있다.
[1] 고서에 기록된 게 전혀 없는 한자성어이므로 사자성어다.[2] 간혹 동쪽으로 가는 길을 묻는데 서쪽으로 가는 길을 알려준다고 해석하는 경우도 있는데, 틀린 해석은 아니다.[3] 라틴어로 맞지 않거나 따라오지 못한다는 뜻. '아다리가 안 맞다'라는 표현과 비슷한 의미이다.[4] 정확히 말하면 정치인이나 권력자들 중 대놓고 동문서답을 하는 사람들과 논점을 흐리는 고도의 정치화술을 구사하는 이들은 확 차이가 난다. 후자의 경우 질문자의 질문에 대한 표면적인 답변을 하는 것처럼 하다가도 듣는 사람이 이상하다고 느낄 새도 없이 자연스럽게 자기가 얘기하고자 하는 주제로 넘어가는 경우인데, 당연히 유려한 말솜씨와 명석한 머리, 카리스마가 있어서 인터뷰어를 압도하는 존재감이 있어야 한다. 전자의 경우 너는 지껄어라 나는 말하련다는 식으로 질문에 상관없이 그냥 자기가 말하고 싶은 말을 하는 케이스. 전자의 대표적인 예가 자기 잘못은 교묘히 숨기는 능구렁이 화법으로 유명한 빌 클린턴이고 후자의 대표적인 예가 도널드 트럼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