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즌 목록 (파일럿ㆍ시즌 1ㆍ시즌 2 (스페셜)ㆍ시즌 3ㆍ시즌 4 (스페셜)ㆍ시즌 5ㆍ시즌 6) 등장인물ㆍ발매 제품ㆍ설정ㆍ주제가 |
<colbgcolor=#c80000><colcolor=#fff> 레고 몽키키드 LEGO Monkie Kid | |
<nopad> | |
장르 | 액션, 모험, 코미디, 판타지 |
제작 프로듀서 | Vicky Kjaer Jensen Simon Lucas Debbie Steer Xiaodong Wen |
총괄 프로듀서 | Robert Fewkes Alexia Gates-Foale Keith Malone Thomas Sørensen(2022~현재) Villads Spangsberg(2020~2022) Barbara Stephen Phabey Wang(2020) Jill Wilfert Asa Tait(2021~현재) |
각본 | Jeremy Adams(2020~2022) David Breen(2022~현재) Sarah Harper(2022~2023) Deirdre Devlin(2023~현재) Akira Mark Fujita(2023~현재) |
감독 | Sarah Harper(2020~2022) Christian Barkel(2023) Eden Timm(2024~현재) Ryan MacNeil(2024~현재) |
애니메이션 제작 | Flying Bark Productions(시즌 1~4) WildBrain Studios(시즌 5~현재) LEGO |
제작 | LEGO |
방영 기간[1] | 파일럿 |
시즌 1 2021. 01. 12. ~ 2021. 03. 16. | |
시즌 2 2021. 04. 13. ~ 2021. 05. 04.스페셜 2021. 08. 10. ~ 2021. 10. 12. | |
시즌 3 2022. 03. 22. ~ 2022. 08. 09 | |
시즌 4 2023. 02. 14. ~ 2023. 04. 18. 2023. 08. 04.스페셜 | |
시즌 5 2024. 7. 3. ~ 2024. 08. 28. | |
화수 | 시즌 1 1[2]+10화 |
시즌 2 4[3]+10화 | |
시즌 3 14화 | |
시즌 4 10+4[4]화 | |
시즌 5 10화 | |
국내 심의 등급 | |
관련 사이트 |
[clearfix]
1. 개요
2020년부터 레고에서 발매하는 서유기 테마의 시리즈. 레고가 중국에서 대흥행한 것[5]을 계기로 중국 시장을 노리기 위해 출시한 시리즈로, 중국의 유명 고전소설인 서유기를 모티브로 삼았다. 레고사의 모든 제품들이 그렇듯이 가격이 너무 비싸게 나온 점은 혹평을 받고 있지만 제품 퀄리티는 매우 좋은 편이다.닌자고나 키마, 넥소나이츠가 3D 애니메이션이었다면, 몽키키드는 2D 애니메이션이며 호주, 중국, 덴마크, 미국 4개국 합작이다.
작화나 퀄리티는 매우 우수하며, 특히 전반적인 분위기와 연출 그리고 액션씬 하나하나가 일본 애니메이션에 영향을 받았고 일본 애니의 패러디[6]도 있다.[7] 투니버스에서 1월 5일 더빙으로 방영되었으며 유튜브 레고 공식채널에서 무료로 국내 더빙판을 볼 수 있다. 국내 더빙판에서 몇몇 대사가 누락된 부분이 아쉬운 부분이 있지만, 그래도 성우들의 연기는 괜찮은 편이며 손오공(몽키킹)과 우마왕 또한 일부 캐릭터들을 제외한 캐릭터들의 이름은 영문판의 이름을 그대로 사용되었다. 영문판 한정으로 서브 주인공인 손오공의 성우를 드래곤볼의 카카로트를 맡았던 숀 셰멀로 캐스팅했다.
애니메이션 제작은 시즌 4까지 호주의 애니메이션 스튜디오인 Flying Bark Productions이었으나 시즌 5부터 WildBrain Studio로 바뀌었다. 감독은 2022년까지 Sarah Harper가 맡다[8] Chistian Barkel, Eden Timm, Ryan MacNeil로 교체되었다.
2. 시즌 목록
2.1. 몽키키드: 영웅의 탄생
2.2. 시즌 1
2.3. 시즌 2 스페셜
2.4. 시즌 2
2.5. 시즌 3
2.6. 시즌 4
2.7. 시즌 4 스페셜
2.8. 시즌 5
2.9. 시즌 6
3. 등장인물
4. 설정
5. 주제가
5.1. OP
OP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가사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몽~~키 키드 전설 속의~ 모험을 찾아 몽~~~키 키드 손오공의 힘~ 물려받아 악에게 맞서, 떠오른 새 용사 승리를 향해, 몽키 키~드 여의봉을 들고, 친구들과 함께 무적의 몽키 키드~~~~ | }}}}}}}}} |
5.2. ED
ED |
6. 평가
작품의 뛰어난 퀄리티 작화가 매우 긍정적인 평가를 받고 있으며, 특히나 전투씬의 임팩트 있는 분위기와 앵글 표현으로 팬들의 많은 호평을 받고 있다. 또한 기존 레고 애니메이션(닌자고, 키마, 넥소나이츠)에서 볼 수 없었던[9] 입체적이고 매력적인 악역들(아이언팬 공주, 스파이더 퀸, 화이트 본 데몬[10] 등)도 호평이 많다. 작품내의 등장하는 인물들의 캐릭터성을 잘 살리고 이야기 흐름도 지루하거나 막히는 내용 없이 빠르고 시원시원 하게 전개 된다는 점도 작품의 주 특징이다. 그리고 한국뿐만 아니라 미국, 일본, 대만에서도 각 국가에서 잘 알려진 A급 네임드 성우들이나 외화 애니메이션 전문 베테랑 성우진을 대거 투입했다는 점도 대호평을 받는다.[11]하지만 시즌 5에서 제작사가 교체되며 애니메이션의 퀄리티가 크게 하락했으며 이전 시즌과 비교해보아도 부자연스러운 모션을 보여준다. 전투씬의 경우도 부자연스러운 애니메이팅으로 인해 이전같은 역동적인 연출이 아닌 제한적인 움직임으로 연출되며 메카 디자인의 경우에도 납작해보이게 구현되어 볼품없어 보이는 효과를 내었다. 자세한 내용은 몽키키드 시즌 5 문서의 비판 문단 참조.
7. 제품
8. 기타
- 그 동안 기존의 레고 애니메이션이 실사나 3D로 나왔지만 몽키 키드는 이례적으로 2D 애니메이션으로 제작되었다.[12]
[1] 대한민국 기준.[2] 파일럿 에피소드[3] 스페셜 에피소드[4] 스페셜 에피소드[5] 이 때문에 레고에서는 2018년부터 매년 2월마다 춘절 세트를 출시하고 있다.[6] 예를 들어 시즌 2 1화에서 MK가 죠죠풍 작화로 잠시 변한다. 그리고 야무치 사망짤도 패러디 했었다.[7] 그래서인지 일부 성우들이 일본 애니에서 더빙을 맡은 적이 있다.[8] 트위터 계정 #[9] 물론 매력적인 악역들도 있긴 했지만 대부분 고전적인 느낌의 악당들이 많았다.[10] 특히 화이트 본 데몬은 강력한 전투력과 뛰어난 지력으로 개그스러웠던 몽키키드를 진지한 분위기로 바꿨기에 본작의 악역들 중에서도 완성도가 높다는 호평을 받고있다.[11] 일판에서 닌자고의 닌자 5인방을 맡던 성우들이 모두 재출연했고, 카토 에미리, 타카하시 신야, 우치다 마미, 야나기타 준이치, 노자와 히데요시, 고토 히로키, 시마자키 노부나가, 키타무라 에리, 타나베 유토, 한 메구미 같은 성우도 캐스팅 되었다.[12] 닌자고의 일부 장면의 경우 2D 애니메이션으로 제작되었는데 이것이 호평을 받아서 제작했을 수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