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RA상 최우수 단거리마 {{{#!wiki style="margin:0 -11px -5px; color:#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or:#000; word-break: keep-all" | <tablewidth=100%> 케이슈샤상 | 최량 스프린터 |
1955 토세이 | 1956 오토키츠 | 1957 랩소디 | 1958 히시 마사루 | 1959 하쿠 쿠라마 | ||
1960 · 1961 헬리오스 | 1962 카네츠 세키 | 1963 메이즈이 | 1964 토스트 | 1965 키스톤 | 1966 히시 마사히데 | 1967 온워드 힐 | 1968 셰스키 | 1969 하쿠 에이호 | ||
1970 타마미 | 1971 에리모 실버 | ||
유슌상 | 스프린터상 | |
1981 사쿠라 신게키 | ||
최우수 스프린터 | ||
1983~1985 니혼 필로 위너 | 1986 닛포 테이오 | ||
JRA상 | 1987 닛포 테이오 | 1988 사커 보이 | 1989 뱀부 메모리 | 1990 뱀부 메모리 | 1991 다이이치 루비 | 1992 니시노 플라워 | |
최우수 단거리마 | ||
1993 야마닌 제퍼 | 1994 사쿠라 바쿠신 오 | 1995 히시 아케보노 | 1996 플라워 파크 | 1997 · 1998 타이키 셔틀 | 1999 에어 지하드 | ||
2000 다이타쿠 야마토 | 2001 트로트 스타 | 2002 어드마이어 코진 | 2003 · 2004 듀랜달 | 2005 해트 트릭 | 2006 · 2007 다이와 메이저 | 2008 슬립리스 나이트 | 2009 로렐 게레이로 | ||
2010 킨샤사노 키세키 | 2011 카렌짱 | 2012 · 2013 로드 카날로아 | 2014 스노우 드래곤 | 2015 모리스 | 2016 미키 아일 | 2017 레드 팔크스 | 2018 파인 니들 | 2019 인디 챔프 | ||
2020 · 2021 그란 알레그리아 | 2022 세리포스 | ||
2023년 최우수 스프린터와 최우수 마일러로 나뉘며 폐지되었다. | }}}}}}}}} |
이름 | ローレルゲレイロ Laurel Guerreiro 桂冠戰士 | |
출생 | 2004년 5월 3일 ([age(2004-05-03)]세) | |
성별 | 수컷 | |
털색 | 흑갈색 (青鹿毛,아오카게) | |
아비 | 킹 헤일로 | |
어미 | 빅 텐비(ビッグテンビー) | |
외조부 | 텐비(Tenby) | |
생산자 | 무라타 목장[1] | |
마주 | (주) 로렐 레이싱[2] | |
모집 정보 및 규모 | 1000만 엔(1구 5만 엔 × 200구 계좌) | |
조교사 | 콘 미츠구 (릿토) | |
성적 | 31전 5승 (5-7-2-17) 28전 5승[중앙] 2전 0승[HKG] 1전 0승[UAE] | |
총상금 | 4억 9172만 3600엔 4억 8248만엔[중앙] 924만 3600엔[UAE] | |
주요 우승 | G1 | 스프린터즈 스테이크스(2009) 타카마츠노미야 기념(2009) |
G3 | 한큐배(2008) 도쿄신문배(2008) | |
주요 수상 | 2009년 JRA상 최우수 단거리마 | |
레이팅 | WTR | S115 (2009) |
상세 정보 | | JBIS |
[clearfix]
1. 개요
일본의 경주마.2. 혈통
1대 | 2대 | 3대 |
<colbgcolor=#fff3e4,#331c00>킹 헤일로 キングヘイロー 1995 | <colbgcolor=#ffffe4,#323300>댄싱 브레이브 Dancing Brave 1983 | 리파르 Lyphard |
나바호 프린세스 Navajo Princess | ||
굿바이 헤일로 Goodbye Halo 1985 | 헤일로 Halo | |
파운드 풀리시 Pound Foolish | ||
빅 텐비 ビッグテンビー 1998 | 텐비 Tenby 1990 | 케얼리언 Caerleon |
샤이닝 워터 Shining Water | ||
모가미 히메 モガミヒメ 1992 | 카코이시스 Cacoethes | |
모가미 포인트 モガミポイント | ||
* 노던 댄서 4×5 9.375% * 니진스키 4×5 9.375% * 서 게일로드 5×5 6.25% |
3. 커리어
2009년 JRA GI/JpnI 대회 우승마 {{{#!wiki style="margin:0 -11px -5px; color:#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or:#000; word-break: keep-all" | <tablewidth=100%> 석세스 브로켄| 로렐 게레이로| 부에나 비스타| 스프링 겐트| 언라이벌드| 마이네르 키츠| 조 카푸치노| 보드카| 부에나 비스타| 로지 유니버스| 보드카| 드림 저니| 로렐 게레이로| 레드 디자이어| 쓰리 롤스| 컴퍼니| 퀸 스푸만테| 컴퍼니| 보드카| 에스포와르 시티| 아파파네| 로즈 킹덤| 킹 조이| 드림 저니 이 표는 간략화한 버전입니다. 경기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여기를 참고해주세요. | }}}}}}}}} |
2009년 스프린터즈 스테이크스 영상 |
킹 헤일로의 자마들 중 카와카미 프린세스와 함께 가장 뛰어난 성적을 기록한 경주마로, 부자가 타카마츠노미야 기념을 재패한 기록을 가지고 있다.
4. 경주 성적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268300><rowbgcolor=#268300><tablebgcolor=#fff,#2d2f34><rowcolor=#ffffff><width=3%> 경주일 || 경마장 ||
(2착마) ||
경기명
||<width=3%> 등급 || 트랙
||<width=3%> 배당 ||<width=3%> 인기 || 착순 || 기수 || 1착마(2착마) ||
<rowcolor=#ffffff> 2006년 (2세) | |||||||||
6.17 | 하코다테 | 2세 신마 | 잔디 1000m | 1.8 | 1 | 1착 | 혼다 마사루 | (마이네 칸나) | |
7.22 | 하코다테 | 라벤더상 | OP | 잔디 1200m | 2.0 | 1 | 3착 | 후지타 신지 | 임퍼펙트 |
8.6 | 하코다테 | 하코다테 2세 스테이크스 | GIII | 잔디 1200m | 12.2 | 5 | 2착 | 혼다 마사루 | 니시노 차미 |
10.14 | 교토 | 데일리배 2세 스테이크스 | GII | 잔디 1600m | 8.9 | 2 | 2착 | 오스미 다이도 | |
12.10 | 나카야마 | 아사히배 퓨처리티 스테이크스 | GI | 잔디 1600m | 13.4 | 7 | 2착 | 드림 저니 | |
<rowcolor=#ffffff> 2007년[8] (3세) | |||||||||
1.8 | 교토 | 신잔 기념 | JpnIII[A] | 잔디 1600m | 3.0 | 2 | 3착 | 혼다 마사루 | 어드마이어 오라 |
2.24 | 한신 | 알링턴 컵 | JpnIII[A] | 잔디 1600m | 2.4 | 1 | 2착 | 토센 캡틴 | |
4.15 | 나카야마 | 사츠키상 | JpnI[A] | 잔디 2000m | 30.7 | 9 | 6착 | 후지타 신지 | 빅토리 |
5.6 | 도쿄 | NHK 마일 컵 | JpnI[A] | 잔디 1600m | 5.5 | 1 | 2착 | 핑크 카메오 | |
5.27 | 도쿄 | 도쿄 유슌 (일본 더비) | JpnI[A] | 잔디 2400m | 79.1 | 13 | 13착 | 이케조에 켄이치 | 보드카 |
8.26 | 삿포로 | 킨랜드 컵 | JpnIII[A] | 잔디 1200m | 4.9 | 1 | 11착 | 후지타 신지 | 쿠베르튀르 |
10.20 | 도쿄 | 후지 스테이크스 | GIII | 잔디 1600m | 10.0 | 5 | 10착 | 마이네르 시걸 | |
11.18 | 교토 | 마일 챔피언십 | GI | 잔디 1600m | 78.1 | 15 | 16착 | 와다 류지 | 다이와 메이저 |
12.16 | 한신 | 한신 컵 | JpnII[A] | 잔디 1400m | 30.3 | 9 | 4착 | 후지타 신지 | 스즈카 피닉스 |
<rowcolor=#ffffff> 2008년 (4세) | |||||||||
2.2 | 도쿄 | 도쿄신문배 | GIII | 잔디 1600m | 10.2 | 6 | 1착 | 후지타 신지 | (리퀴드 노츠) |
3.2 | 한신 | 한큐배 | GIII | 잔디 1400m | 4.6 | 3 | 1착 | 시이 히로후미 | (스즈카 피닉스) |
3.30 | 주쿄 | 타카마츠노미야 기념 | GI | 잔디 1200m | 5.9 | 2 | 4착 | 파인 그레인 | |
11.1 | 교토 | 스완 스테이크스 | GII | 잔디 1400m | 8.2 | 3 | 2착 | 마이네르 레이니어 | |
11.23 | 교토 | 마일 챔피언십 | GI | 잔디 1600m | 10.1 | 3 | 5착 | 블루먼블라트 | |
12.14 | 샤틴 | 홍콩 스프린트 | G1 | 잔디 1200m | 29.0 | 6 | 8착 | 인스파이어레이션 | |
<rowcolor=#ffffff> 2009년 (5세) | |||||||||
1.31 | 도쿄 | 도쿄신문배 | GIII | 잔디 1600m | 4.4 | 2 | 13착 | 시이 히로후미 | 앱솔루트 |
3.1 | 한신 | 한큐배 | GIII | 잔디 1400m | 5.3 | 2 | 2착 | 후지타 신지 | 비비 굴단 |
3.29 | 주쿄 | 타카마츠노미야 기념 | GI | 잔디 1200m | 7.6 | 3 | 1착 | (슬립리스 나이트) | |
6.7 | 도쿄 | 야스다 기념 | GI | 잔디 1600m | 30.9 | 6 | 15착 | 보드카 | |
9.13 | 한신 | 센토어 스테이크스 | GII | 잔디 1200m | 8.9 | 4 | 14착 | 얼티마 툴레 | |
10.4 | 나카야마 | 스프린터즈 스테이크스 | GI | 잔디 1200m | 13.8 | 6 | 1착 | (비비 굴단) | |
12.13 | 샤틴 | 홍콩 스프린트 | G1 | 잔디 1200m | 41.0 | 12 | 13착 | 세이크리드 킹덤[16] | |
<rowcolor=#ffffff> 2010년 (6세) | |||||||||
2.21 | 도쿄 | 페브러리 스테이크스 | GI | 더트 1600m | 34.0 | 8 | 7착 | 후지타 신지 | 에스포와르 시티 |
3.27 | 메이단 | 두바이 골든 샤힌 | G1 | 올웨더 1200m | 미발매 | 4착 | 킨세일 킹 | ||
8.29 | 삿포로 | 킨랜드 컵 | GIII | 잔디 1200m | 8.5 | 3 | 8착 | 원 캐럿 | |
10.3 | 나카야마 | 스프린터즈 스테이크스 | GI | 잔디 1200m | 9.1 | 5 | 14착 | 울트라 판타지 |
'''[[스프린터즈 스테이크스|스프린터즈 스테이크스 {{{#!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GI"]]''' {{{#!wiki style="margin:0 -11px -5px; color:#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or:#000; word-break: keep-all" | <tablewidth=100%> 1967 온워드 힐 | 1968 스즈 하야테 | 1969 타케시바 오 |
1970 타마미 | 1971 켄사치 오 | 1972 노보루 토코 | 1973 쿄에이 그린 | 1974 · 1975 사쿠라 이와이 | 1976 점보 킹 | 1977 · 1978 메이와 키미코 | 1979 서니 플라워 | |
1980 사쿠라 갓 | 1981 사쿠라 신게키 | 1982 브로케이드 | 1983 신 울프 | |
그레이드제 도입, 중앙 GIII 지정 후 | |
1984 해피 프로그레스 | 1985 마루타카 스톰 | 1986 도칸 테스코 | |
중앙 GII 승격 후 | |
1987 킹 플로릭 | 1988 다이나 액트리스 | 1989 위닝 스마일 | |
중앙 GI 승격 후 | |
1990 뱀부 메모리 | 1991 다이이치 루비 | 1992 니시노 플라워 | 1993 · 1994 사쿠라 바쿠신 오 | 1995 히시 아케보노 | 1996 플라워 파크 | 1997 타이키 셔틀 | 1998 마이네르 러브 | 1999 블랙 호크 | |
2000 다이타쿠 야마토 | 2001 트로트 스타 | 2002 빌리브 | 2003 듀랜달 | 2004 칼스톤 라이트 오 | |
국제 GI 승격 후 | |
2005 사일런트 위트니스 | 2006 테이크오버 타겟 | 2007 애스턴 마짱 | 2008 슬립리스 나이트 | 2009 로렐 게레이로 | |
2010 울트라 판타지 | 2011 카렌짱 | 2012 · 2013 로드 카날로아 | 2014 스노우 드래곤 | 2015 스트레이트 걸 | 2016 · 2017 레드 팔크스 | 2018 파인 니들 | 2019 타워 오브 런던 | |
2020 그란 알레그리아 | 2021 픽시 나이트 | 2022 장다름 | 2023 마마 코차 | 2024 루갈 | }}}}}}}}} |
'''[[타카마츠노미야 기념|타카마츠노미야 기념 {{{#!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GI"]]''' {{{#!wiki style="margin:0 -11px -5px; color:#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or:#000; word-break: keep-all" | <tablewidth=100%> 타 카 마 츠 노 미 야 배 | 3세 이상, 2000m (연령 표기는 현재 기준) |
1971 슌사쿠 오 | 1972 조세츠 | 1973 타케덴 버드 | 1974 하이세이코 | 1975 잇토 | 1976 후지노 파시아 | 1977 토쇼 보이 | 1978 야마닌 고로 | 1979 네하이 제트 | ||
1980 린도 플르방 | 1981 하기노 탑 레이디 | 1982 카즈시게 | 1983 하기노 카무이 오 | ||
그레이드제 도입, 중앙 GII 지정 후 | ||
1984 쿄에이 레어 | 1985 메지로 몽 스니 | 1986 럭비 볼 | 1987 랜드 히류 | 1988 오구리 캡 | 1989 메지로 아르당 | ||
1990 뱀부 메모리 | 1991 다이타쿠 헬리오스 | 1992 미스터 스페인 | 1993 롱샹 보이 | 1994 나이스 네이처 | 1995 마치카네 탄호이저 | ||
중앙 GI 승격 후, 1200m | ||
1996 플라워 파크 | 1997 신코 킹 | ||
타 카 마 츠 노 미 야 기 념 | 1998 신코 포레스트 | 1999 마사 럭키 | |
4세 이상 | ||
2000 킹 헤일로 | 2001 트로트 스타 | 2002 쇼난 캄프 | 2003 빌리브 | 2004 서닝데일 | 2005 어드마이어 맥스 | 2006 오레와 맛테루제 | ||
국제 GI 지정 후 | ||
2007 스즈카 피닉스 | 2008 파인 그레인 | 2009 로렐 게레이로 | ||
2010 · 2011 킨샤사노 키세키 | 2012 카렌짱 | 2013 로드 카날로아 | 2014 코파노 리처드 | 2015 에어로벨로시티 | 2016 빅 아서 | 2017 세이운 코세이 | 2018 파인 니들 | 2019 미스터 멜로디 | ||
2020 모즈 슈퍼플레어 | 2021 다논 스매시 | 2022 나란 훌레그 | 2023 퍼스트 포스 | 2024 매드 쿨 | }}}}}}}}} |
'''[[한큐배|한큐배 {{{#!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GIII"]]''' {{{#!wiki style="margin:0 -11px -5px; color:#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or:#000; word-break: keep-all" | <tablewidth=100%> 1957 타카쿠라 오 | 1958 야마닌 | 1959 호마레 류 |
1960 민슈 | 1961 카이사르 | 1962 미스 케이코 | 1963 고카이 | 1964 패스포트 | 1965 밸리모스 니세이 | 1966 하츠라이 오 | 1967 니혼 필로 에이스 | 1968 아포 온워드 | 1969 타카노 키넨 | |
1970 히로즈키 | 1971 토메이 | 1972 패스트 뱀부 | 1973 사카에카호 | 1974 케이류 신게키 | 1975 실버 네로 | 1976 야마닌 파버 | 1977 센터 굿 | 1978 쓰리 파이어 | 1979 리드 스왈로 | |
1980 테루노 에이트 | 1981 사츠키 레인보우 | 1982 뱀브턴 할리 | 1983 해피 프로그레스 | |
그레이드제 도입, 중앙 GIII 지정 후 | |
1984 구아슈 아웃 | 1985 샤다이 소피아 | 1986 롱 하야부사 | 1987 세인트 카이사르 | 1988 산킨 하야테 | 1989 호리노 라이덴 | |
1990 센료 야쿠샤 | 1991 조 로어링 | 1992 호쿠세이 시불렛 | 1993 레거시 필드 | 1994 골드 마운틴 | 1995 보디가드 | 1996 토와 위너 | 1997 신코 포레스트 | 1998 마사 럭키 | 1999 쿄에이 마치 | |
2000 블랙 호크 | 2001 다이타쿠 야마토 | 2002 어드마이어 코진 | 2003 쇼난 캄프 | 2004 서닝데일 | 2005 킨랜드 스완 | 2006 블루 샷건 | |
국제 GIII 지정 후 | |
2007 프리사이스 머신 · 에이신 도버 | 2008 로렐 게레이로 | 2009 비비 굴단 | |
2010 에이신 포워드 | 2011 산카를로 | 2012 마진 프로스퍼 | 2013 로드 카날로아 | 2014 코파노 리처드 | 2015 다이와 마조레 | 2016 미키 아일 | 2017 토킹 드럼 | 2018 다이애나 헤일로 | 2019 스마트 오딘 | |
2020 베스트 액터 | 2021 레시스텐시아 | 2022 다이어토닉 | 2023 아구리 | 2024 윈 마블 | }}}}}}}}} |
'''[[도쿄신문배|도쿄신문배 {{{#!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GIII"]]''' {{{#!wiki style="margin:0 -11px -5px; color:#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or:#000; word-break: keep-all" | <tablewidth=100%> 1951 토사 미도리 | 1952 미츠하타 | 1953 모리마츠 | 1954 하쿠료 | 1955 타카 오 | 1956 오토키츠 | 1957 하쿠치카라 | 1958 미츠루 | 1959 쿠리페로 |
1960 코마츠 히카리 | 1961 타카마가하라 | 1962 토콘 | 1963 아사마 후지 | 1964 미오소티스 | 1965 야마도리 | 1966 코레히데 | 1967 세프트웨이 | 1968 온워드 힐 | 1969 타케시바 오 | |
1970 마스 미노루 | 1971 트렌텀 | 1972 아카네 텐류 | 1973 스가노 호마레 | 1974 유시오 | 1975 후지노 파시아 | 1976 아그네스 뷰티 | 1977 토후쿠 세단 | 1978 스즈 사프란 | 1979 메지로 팬텀 | |
1980 후지 어드미러블 | 1981 드로포 로드 | 1982 몬테 프린스 | 1983 타카라 텐류 | |
그레이드제 도입, 중앙 GIII 지정 후 | |
1984 심볼리 요크 | 1985 도칸 야시마 | 1986 갤럽 다이나 | 1987 에비스 조지 | 1988 카일라스 아몬 | 1989 토쇼 마리오 | |
1990 호쿠토 헬리오스 | 1991 호리노 위너 | 1992 나르시스 누아르 | 1993 쿄와 호세키 | 1994 세키테이 류오 | 1995 골든 아이 | 1996 트로트 썬더 | 1997 베스트 타이 업 | 1998 빅 선데이 | 1999 킹 헤일로 | |
2000 다이와 컬리언 | 2001 체크메이트 | 2002 어드마이어 코진 | 2003 볼드 브라이언 | 2004 윈 라디우스 | 2005 해트 트릭 | 2006 후지 사일런스 | |
국제 GIII 지정 후 | |
2007 스즈카 피닉스 | 2008 로렐 게레이로 | 2009 앱솔루트 | |
2010 레드 스파다 | 2011 스마일 잭 | 2012 가르보 | 2013 클라렌트 | 2014 웨일 캡처 | 2015 뱅센 | 2016 스마트 레이어 | 2017 블랙 스피넬 | 2018 리스 그라슈 | 2019 인디 챔프 | |
2020 프리모 신 | 2021 카라테 | 2022 일루시브 팬서 | 2023 윈 카닐리언 | 2024 사쿠라 투주르 | }}}}}}}}} |
[1] 村田牧場. 주요 생산마로는 로렐 게레이로 외에도 유키노 비진, 딥 본드, 모즈 벨로 등이 있다.[2] 최근 골드 쉽의 암컷 백마 자마인 사토노 자스민 2022가 들어간 곳이 바로 여기이다.[중앙] [HKG] [UAE] [중앙] [UAE] [8] 이 해부터 일본이 경마 파트 1으로 승격되므로, 모종의 이유로 국제 등급을 받지 못한 Jpn등급 경주를 제외한 모든 중상이 국제 등급을 받는다.[A] 2007년부터 일본이 경마 파트 1으로 승격됨에 따라 국제 등급을 받지 못한 경주는 Jpn등급으로 표기하게 된다.[A] [A] [A] [A] [A] [A] [16] 호주에서 생산된 홍콩의 경주마. 2007년 홍콩 스프린트를 비롯해 단거리 중상을 다수 우승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