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6-19 14:07:47

로빈 흐라냐치

1 스타네크 · 2 지마 · 3 홀레시 · 4 흐라냐치 · 5 초우팔 · 6 비틱 · 7 바라크 · 8 셰프치크 · 9 흘로제크 · 10 시크
11 쿠흐타 · 12 두체라 · 13 히틸 · 14 프로보드 · 15 유라세크 · 16 코바르시 · 17 체르니 · 18 크레이치 · 19 호리 · 20 린그르 · 21 체르브 · 22 소우체크 · 23 야로스 · 24 블체크 · 25 슐츠 · 26 유라세크
파일:UEFA EURO CZE.png 이반 하셰크
파일:Robin Hranáč EURO 2024.png
UEFA 유로 2024
체코 축구 국가대표팀 No. 4
FC 빅토리아 플젠 No. 3
로빈 흐라냐치
Robin Hranáč
<colbgcolor=#e1001a> 출생 2000년 1월 29일 ([age(2000-01-29)]세)
체코 플젠
국적
[[체코|]][[틀:국기|]][[틀:국기|]]
신체 190cm, 체중 85kg
주발 오른발
포지션 센터백
소속 <colbgcolor=#e1001a> 유스 SK 키드이네 1920 (2006~2015)
SK 클라토비 (2010~2011 /임대)
FC 빅토리아 플젠 (2015~2018)
프로 FC 빅토리아 플젠 B (2018~2021)
FC 빅토리아 플젠 (2021~ )
MFK 타트란 립토우스키미쿨라시 (2021 / 임대)
FK 파르두비체 (2022~2023 / 임대)
국가대표 4경기[1] (체코 / 2024~)

1. 개요2. 클럽 경력3. 국가대표 경력4. 같이 보기

[CLEARFIX]

1. 개요

체코FC 빅토리아 플젠 소속 축구 선수. 포지션은 센터백.

2. 클럽 경력

플젠에서 태어나 SK 키드이네, SK 클라토비, FC 빅토리아 플젠 등 플젠 지역의 유스 팀에서 유소년 시절을 보낸 후 2017-18 시즌 중 빅토리아 플젠의 리저브 팀에 승격되어 세 시즌간 뛰어왔다.

2021-22 시즌을 앞두고 상위 리그에서 경험을 쌓기 위해 MFK 타트란 립토우스키미쿨라시로 임대 이적해 19경기 1골을 기록했다. 참고로 유일한 1골은 2R 보헤미안스전에서 넣었으며 1부 리그 데뷔골이었다. 여튼, 2021년 12월 31일부로 원소속팀인 플젠으로 복귀 후 2022년 겨울 이적시장을 통해 FK 파르두비체로 다음 시즌까지 임대되어 첫 시즌 11경기, 두 번째 시즌은 풀타임을 소화하며 총 32경기를 출전했다.

파르두비체에서 복귀한 흐라냐치는 2023-24 시즌에는 별도의 임대없이 플젠의 메인 스쿼드에 합류해 중용을 받기 시작했으며, 플젠에서 맞이한 첫 풀타임 시즌 동안 리그 28경기, UEFA 유로파 컨퍼런스 리그 15경기, 리그컵 5경기 포함 총 52경기를 출전하며 붙박이 주전 센터백으로 거듭났다.

3. 국가대표 경력

연령대 대표로는 체코 U-21을 거쳤으며 주전 센터백으로서 12경기에 출전했고, 2023 UEFA U-21 챔피언십에 참가해 조별 라운드 전 경기를 뛰었다.

성인 대표팀에는 플젠에서 주전 센터백으로 거듭난 2024년 3월, A매치를 앞두고 처음으로 부름을 받았고, 3월 26일 아르메니아와의 친선 경기에 풀타임 선발로 데뷔전을 치렀다.

이후 2024년 5월 28일에 UEFA 유로 2024 26인 최종 명단에 발탁되었으며, 뒤이어 가진 두 차례 평가전에서 풀타임 선발 출전하며 본선을 앞두고 중용되었다.

그리고 유로 조별리그 첫 경기 포르투갈전에서도 예상대로 선발로 나왔으나 루카시 프로보드 선제골 후 7분만에 자책골을 넣으면서 찬물을 끼얹었으며, 후반 추가 시간 2분에는 좌측에서 네투의 컷백 패스가 하필이면 그의 다리를 맞고 옆에 있던 프란시스쿠 콘세이상의 발앞에 떨어진 뒤 이를 콘세이상이 재빨리 골문 안으로 때려넣으면서 본의 아니게 역전골의 빌미를 제공하고 말았다. 호기롭게 메이저 국제 대항전에 데뷔했으나 그야말로 최악의 경기가 되면서 평생 잊지 못할 데뷔전이 되고 말았다.

4. 같이 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rowcolor=#fff>포지션등번호이름생년월일출장소속 클럽
GK 1 알레시 만도우스
Aleš Mandous
1992년 4월 21일 ([age(1992-04-21)]세) 4 0 파일:체코 국기.svg SK 슬라비아 프라하
16 인드르지흐 스타네크
Jindřich Staněk
1996년 4월 27일 ([age(1994-04-27)]세) 8 0 파일:체코 국기.svg SK 슬라비아 프라하
23 마테이 코바르시
Matěj Kovář
2000년 5월 17일 ([age(2000-05-17)]세) 0 0 파일:독일 국기.svg 바이어 04 레버쿠젠
DF 2 파트리치오 스트로나티
(Patrizio Stronati)
1994년 11월 17일 ([age(1994-11-17)]세) 4 1 파일:헝가리 국기.svg 푸슈카시 아카데미아 FC
3 토마시 홀레시
Tomáš Holeš
1993년 3월 31일 ([age(1993-03-31)]세) 26 2 파일:체코 국기.svg SK 슬라비아 프라하
4 다비트 지마
David Zima
2000년 11월 8일 ([age(2000-11-08)]세) 19 0 파일:체코 국기.svg SK 슬라비아 프라하
5 토마시 페트라셰크
Tomáš Petrášek
1992년 3월 2일 ([age(1992-03-02)]세) 5 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전북 현대 모터스
6 마르틴 비틱
Martin Vitík
2003년 1월 21일 ([age(2003-01-21)]세) 1 0 파일:체코 국기.svg AC 스파르타 프라하
15 다비드 유라세크
David Jurásek
2000년 8월 7일 ([age(2000-08-07)]세) 5 0 파일:독일 국기.svg TSG 1899 호펜하임
18 다비트 두체라
David Douděra
1998년 5월 31일 ([age(1998-05-31)]세) 6 1 파일:체코 국기.svg SK 슬라비아 프라하
- 야쿠프 브라베츠
Jakub Brabec
1992년 8월 6일 ([age(1992-08-06)]세) 41 2 파일:그리스 국기.svg 아리스 테살로니키 FC
- 알레시 마체유
Ales Mateju
1996년 6월 3일 ([age(1996-06-03)]세) 15 0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스페치아 칼초
- 블라디미르 초우팔
Vladimír Coufal
1992년 8월 22일 ([age(1992-08-22)]세) 40 1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웨스트햄 유나이티드 FC
MF 8 미할 사딜레크
Michal Sadílek
1999년 5월 31일 ([age(1999-05-31)]세) 21 1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FC 트벤터
12 루카시 마소푸스트
Lukáš Masopust
1993년 2월 12일 ([age(1993-02-12)]세) 34 2 파일:체코 국기.svg SK 슬라비아 프라하
14 루카시 프로보드
Lukáš Provod
1996년 10월 23일 ([age(1996-10-23)]세) 16 2 파일:체코 국기.svg SK 슬라비아 프라하
20 온드르제이 린그르
Ondřej Lingr
1998년 10월 7일 ([age(1998-10-07)]세) 11 0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페예노르트 로테르담
21 알렉스 크랄
Alex Král
1998년 5월 19일 ([age(1998-05-19)]세) 39 2 파일:독일 국기.svg 1. FC 우니온 베를린
22 토마시 소우체크 파일:주장 아이콘.svg
Tomáš Souček
1995년 2월 27일 ([age(1995-02-27)]세) 66 12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웨스트햄 유나이티드 FC
- 안토닌 바라크
Antonín Barák
1994년 12월 3일 ([age(1994-12-03)]세) 37 8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ACF 피오렌티나
- 야쿠프 얀크토
Jakub Jankto
1996년 1월 19일 ([age(1996-01-19)]세) 45 4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ACF 피오렌티나
FW 7 바실 쿠세이
Vasil Kušej
2000년 5월 24일 ([age(2000-05-24)]세) 1 0 파일:체코 국기.svg FK 믈라다볼레슬라프
9 아담 흘로제크
Adam Hložek
2002년 7월 25일 ([age(2002-07-25)]세) 29 2 파일:독일 국기.svg 바이어 04 레버쿠젠
10 모이미르 히틸
Mojmír Chytil
1999년 4월 29일 ([age(1999-04-29)]세) 11 4 파일:체코 국기.svg SK 슬라비아 프라하
13 토마시 츠반차라
Tomáš Čvančara
2000년 8월 13일 ([age(2000-08-13)]세) 6 1 파일:독일 국기.svg 보루시아 묀헨글라트바흐
17 바츨라프 체르니
Václav Černý
1997년 10월 17일 ([age(1997-10-17)]세) 15 5 파일:독일 국기.svg VfL 볼프스부르크
19 토마시 호리
Tomáš Chorý
1995년 1월 26일 ([age(1995-01-26)]세) 1 1 파일:체코 국기.svg FC 빅토리아 플젠
- 파트리크 쉬크
Patrik Schick
1996년 1월 24일 ([age(1996-01-24)]세) 35 18 파일:독일 국기.svg 바이어 04 레버쿠젠
- 얀 쿠흐타
Jan Kuchta
997년 1월 8일 ([age(1997-01-08)]세) 20 2 파일:체코 국기.svg AC 스파르타 프라하
출처: 영문 위키피디아 / 마지막 수정 일자: 2024년 2월 24일 }}}}}}}}}



[1] 2024년 6월 19일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