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1-28 05:25:30

롤러 더비

1. 개요2. 미디어 속 묘사

[clearfix]

1. 개요



롤러스케이트를 탄 채로 득점역인 재머가 트랙을 질주하며 상대팀의 스케이터 집단을 추월하는 경기. 미국 위주로 흥행하며 대한민국에서는 거의 하지 않는 스포츠이다.

1940년대 초 미국에서 시작되었다. 당초에는 평평한 장소 또는 타원형 링크에서 실시하는 단순한 경주였다. 그후 평면을 경사지게 한 뱅크트랙으로 만들어 스피드업을 재는 등 규칙이 개정되었다. 미국 최대 리그는 '미국 롤러 더비 리그'로서 본부는 로스앤젤레스에 있다.

30분씩 전반, 후반 피리어드로 나누어 경기하고, 각 피리어드는 잼이라는 작은 단위로 나누어지게 된다. 한 팀은 총 15명으로 구성되고, 한번의 잼에 5명 까지 들어갈 수 있다. 게임은 양팀 각 1명씩의 재머(헬멧에 별 표시로 구분)가 뒤에 있고 팩(양팀 모든 스케이터의 집단)이 앞에 있는 상태에서 심판의 휘슬에 의해 시작된다. 재머는 팩을 지나쳐 빠져나가 트랙을 한 바퀴 돌고 다시 팩에 따라 붙어 상대 스케이터를 추월할 때마다 추월한 각 1명에 대해 1점이 된다. 나머지 선수들은 자기 팀의 재머가 잘 빠져나갈 수 있도록 도우며 상대 팀의 재머가 추월할 수 없도록 방해한다. 각 잼은 2분이 지나면 종료되며, 리드 재머(상대선수를 모두 추월한 재머)는 손을 엉덩이에 대어 잼을 일찍 종료할 수도 있다. 이렇게 잼을 반복하여 승부를 겨룬다.

초창기에는 여성 5명, 남성 5명으로 구성되어 여성과 남성이 번갈아 8피리어드 대전하고 1피리어드는 15분이었으나, 이것은 2000년대 초반까지의 얘기이고 2010년대 들어서 롤러 더비는 남자들이 거의 하지 않게 되어 여자 선수들만 참가하며 룰은 위에 서술한 것 처럼 개정되었다.

유니폼은 보호용 헬멧, 팔꿈치 보호대, 무릎 보호대, 티셔츠 스타일의 상의와 반바지 스타일의 하의, 롤러 스케이트, 그리고 각자의 취향에 따라 쫄바지나 팬티스타킹을 착용한다.

영화에서는 비교적 온건하게 나오는데, 실제로는 아주 위험한 경기이다. 일단 옷과 보호 장비가 스피드와 몸싸움 정도에 비해 미흡하다. 주로 나무로 만드는 바닥은 넘어지면 매우 아프며, 몸이 미끄러지지 않으면 부러지고 미끄러지면 화상을 입는다. 우레탄휠과 두랄루민 프레임(truck)으로 만드는 스케이트는 그 자체로 흉기가 된다. 헬멧도 얼굴을 보호하는 철망이나 강화플라스틱 가드가 붙어 있지 않아 상대 또는 같은 편의 팔다리, 스케이트에 치여 큰 부상 입을 수 있다. 맨살이 많이 드러나는 옷을 입는데, 바닥이 부서지면서 길게 튀어나오는 나무 가시에 미끄러지며 찔리기도 딱 좋다. 즉 경기 내용으로는 아이스하키와 맞먹는 중무장을 하고 뛰어야 한다. (위 영상 정지화면에서도 한 선수가 하얀 색 아이스하키용 정강이 보호대를 차고 있다.) 하지만 선수들은 얼굴을 보여주기 위해 페이스가드는 안 하며, 몸매를 드러내는 짧은 옷은 상대에게 위압감을 주고 (나는 이러고 탈 만큼 실력이 좋다는 뜻) 선수 본인의 섹시함을 과시하는 수단이기도 하여 포기할수 없는 요소이므로 이렇게 최소한의 보호 장비만을 걸치고 하는 것이다. 다 떠나서, 그리 중무장하면 속도가 안 나고 움직임이 둔해지며 매우 덥다. 그래서 선수들은 부상을 달고 사는데, 실상은 아래 예를 드는 본즈에서 잘 나온다.

2. 미디어 속 묘사


[1] 당대 의학 기준으로.[2] 2018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