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상훈 이력 및 관련 틀 | ||||||||||||||||||||||||||||||||||||||||||||||||||||||||||||||||||||||||||||||||||||||||||||||||||||||||||||||||||||||||||||||||||||||||||||||||||||||||||||||||||||||||||||||||||||||||||||||||||||||||||||||||||||||||||||||||||||||||||||||||||||||||||||||||||||||||||||||||||||||||||||||||||||||||||||||||||||||||||||||||||||||||||||||||||||||||||||||||||||||||||||||||||||||||||||||||||||||||||||||||||||||||||||
|
마이클 레빗 Michael Levitt | |||
[[노벨화학상|{{{#white 2013년 노벨화학상 수상자}}}]] | |||
<colbgcolor=#000><colcolor=white> 국적 | <colbgcolor=#ffffff,#1f2023>• [[미국| ]][[틀:국기| ]][[틀:국기| ]] • [[영국| ]][[틀:국기| ]][[틀:국기| ]] • [[이스라엘| ]][[틀:국기| ]][[틀:국기| ]] • [[남아프리카 공화국| ]][[틀:국기| ]][[틀:국기| ]] | ||
출생 | 1947년 5월 9일 ([age(1947-05-09)]세) | ||
[[남아프리카 연방| ]][[틀:국기| ]][[틀:국기| ]] 프리토리아 | |||
직업 | 생물물리학자, 교수 | ||
업적 | 컴퓨터로 화학 반응을 예측하고 이해하는데 이론적 기초를 제공한 공로 | ||
링크 | | | | | ||
정보 더 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000><colcolor=white> 학력 | <colbgcolor=#fff,#191919>킹스 칼리지 런던[2] (물리학 / B.Sc.) (1964년 – 1967년) | |
케임브리지 대학교 피터 하우스[3] (생물물리학 / Ph.D.) (1968년 – 1972년) | |||
경력[4] | 바이츠만 과학연구소 (박사후연구원) (1972년 – 1974년) | ||
MRC 분자생물학 연구소 (수석연구원) (1974년 – 1979년) | |||
바이츠만 과학연구소 (교수) (1979년 – 1987년) | |||
스탠퍼드 대학교 의학대학원 (교수) (1987년 – 현재)[5] | |||
수상 | EMBO 회원 (1983년) | ||
FEBS 기념상 (1986년) | |||
왕립학회 회원 (2001년) | |||
NAS 회원 (2002년) | |||
노벨화학상[6] (2013년) | |||
DeLano 상 (2014년) | |||
ISCB 회원 (2015년) |
[clearfix]
1. 개요
남아프리카공화국의 생물물리학자이자 스탠퍼드 대학교 구조생물학 교수.2. 생애
1947년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프리토리아에서 리투아니아계 유대인 집안의 아들로 태어났다.프리토리아에서 고등학교를 마친 뒤 1967년 킹스 칼리지 런던에서 물리학 학사학위를 취득하였고, 1967~1968년 영국왕립학회(The Royal Society)의 장학생으로 이스라엘의 바이츠만 과학연구소(Weizmann Institute of Science)에서 수학하였다. 1971년 케임브리지 대학교에서 생물물리학 박사학위를 취득한 뒤 1972년부터 1974년까지 바이츠만 과학연구소에서 박사후연구원으로 재직했다. 1974년부터 1979년까지 영국 MRC분자생물학연구소(MRC Laboratory Molecular Biology)에서 전문연구위원으로 재직하였고, 1977년에서 1979년 사이엔 미국 캘리포니아주의 솔크연구소(Salk Institute)에서 프랜시스 크릭의 연구팀에 방문과학자(Visiting Scientist)로 참여하였다. 1979년 이스라엘로 돌아와 1987년까지 바이츠만 과학연구소 화학물리학과 교수로 재직하였고, 1987년 스탠퍼드 대학교 의과대학 구조생물학부 교수로 부임하여 1993년부터 학과장을 맡았다.
2013년 복잡한 화학 시스템을 위한 멀티스케일 모델인 CHARMM이라는 프로그램의 개발에 대한 공로로 노벨화학상을 수상했다.[7] 종전의 GAUSSIAN은 양자역학적 계산만 하지만 CHARMM은 작은 분자에는 양자역학을, 큰 분자에는 고전역학을 적용해 계산속도를 빠르게 하고 거대분자 계산도 가능하게 했다.
3. 여담
- 205명의 노벨상 수상자들과 더불어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을 규탄하는 성명을 발표하는데 동참했다.[8]
4. 관련 영상
관련 영상 | |||
{{{#!wiki style="padding: -5px 5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FFFF); margin: 0 -10px" {{{#000,#white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
[1] Fellow of King's College London
킹스 칼리지 런던 평의원.[2] 킹스 칼리지 런던 - 마이클 레빗 참고[3] 박사 학위 논문 : Conformation Analysis of Proteins = 단백질의 형태 해석에 관하여(1972).[4] MICHAEL LEVITT - CV 참고[5] 1993~2004년 학과장, 2005~2010년 부학과장[6] The Nobel Prize - Michael Levitt Facts[7] The Nobel Prize - Michael Levitt Photo Gallery[8] Nobel Laureate Support for Ukraine
킹스 칼리지 런던 평의원.[2] 킹스 칼리지 런던 - 마이클 레빗 참고[3] 박사 학위 논문 : Conformation Analysis of Proteins = 단백질의 형태 해석에 관하여(1972).[4] MICHAEL LEVITT - CV 참고[5] 1993~2004년 학과장, 2005~2010년 부학과장[6] The Nobel Prize - Michael Levitt Facts[7] The Nobel Prize - Michael Levitt Photo Gallery[8] Nobel Laureate Support for Ukrai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