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9-18 22:58:04

만포시

만포군에서 넘어옴

{{{#!wiki style="margin:-12px -0px"<tablebordercolor=#e40001>
파일:북한 국장_White.svg
}}}
{{{#!wiki style="color: #fff;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wiki style="margin: -16px -11px;"
도인민위
강계시
만포시 희천시 }}}
고풍군 동신군 랑림군 룡림군
성간군 송원군 시중군 우시군
위원군 자성군 장강군 전천군
중강군 초산군 향산군 화평군
}}}}}}}}}
파일:북한 국기.svg 자강도
{{{#!wiki style="margin: -10px -10px"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fff><tablebgcolor=#fff> 만포시
滿浦市
Manpho City
}}} ||
<colbgcolor=#ED1C27,#222222><colcolor=white>


<colbgcolor=#ED1C27,#222222><colcolor=white> 상위 자강도
하위 11동 15리



대의원
[ 펼치기 · 접기 ]
불명
시당 파일:wpk.jpg 불명
(강계시당 책임비서)
인민위 파일:wpk.jpg 불명
(강계시 인민위원회 위원장)
면적 672.379㎢
시간대 UTC+9
인구 116,760명 (2008년)

1. 개요2. 상세3. 문화 및 유적4. 행정구역5. 교통6. 여담

[clearfix]

1. 개요

광복 직후 전 평안북도 북동부, 현 북한 자강도 북부에 위치한 도시. 중국과의 접경도시로 압록강에 닿아 있다. 탈북은 자강도 자체가 통제가 심한 지역이라 국경의 다른 지역보다는 드문 편이다.

2. 상세

갈렙선교회의 만포[1] 영상(2019년 여름 추정)
영생탑 근처[2]에서 행진하는 아이들(2017년 겨울~2019년 1월경 추정)
만포청년역 앞 광장에서 맞이하는 [3] 조선노동당 창건일 행사. (2017~2019년 10월 10일경 추정.)
북한의 행정구역 상으로는 자강도에 속한다. 원래 강계군 만포읍이었다가, 북한 치하에서 만포군으로 분리되고 1961년 시로 승격되었다. 현재의 만포시는 광복 당시 행정구역상 강계군 만포읍, 고산면, 이서면 및 외귀면 일부를 포함한다. 강계시와 더불어 자강도 메이저 도시 중 하나이다.

만포이라는 나루가 있다. 철도 만포선이 놓이면서 평안북도 신의주시, 함경북도 회령시 등과 함께 대중국 교역을 담당하는 국경도시로서 중국과의 교통, 압록강의 수운으로 흘려오던 나무들을 철도로 옮겨 싣는 지역 등이 되며 발전했다. 해당 나루를 배경으로 한 백년설만포진 길손이라는 노래가 있다. 지금은 그 원목들을 싣기 위하여 북부내륙선이 따로 놓여 있다.

중국을 바로보는 접경도시이기도 하다. 압록강 건너 있는 지린성 지안시고구려국내성이었던 곳이다.

2021년 현재, 북한의 핵탄두 저장고 시설이 있는 지역으로 추정된다.영상

3. 문화 및 유적

고적으로는 압록강의 90m 절벽 위에 세워진 망미정(望美亭)이 있다. 한편 세검정관서팔경의 하나로 손꼽혔으나 일제강점기에 소실되었다. 광복 당시 문흥(文興), 문악(文岳), 옥(玉) 등 3개 동이 있었다.

4. 행정구역

5. 교통

시내에 위치한 만포청년역이 상당한 규모를 자랑하며, 만포선, 혜산만포선, 운하선 등 국내선과 연결된다.

그리고 국경도시답게 만포역은 바로 건너편 지안역과 철로가 연결되어 있으며, 중국 메이지선이 이와 연결된다.

2019년 4월 8일 북한 만포시와 중국 지안을 잇는 4차선 대교가 완공되어 양측간 물류가 활성화되었다고 한다. 관련 기사

6. 여담


[1] 영상 첫 부분의 '만포루' 위치[2] 구글 맵[3] 구글 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