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9-18 00:05:23

메리(학교괴담)

파일:external/file2.instiz.net/4a195c941da7639e55ae25ee41ac309f.jpg
안녕[1] 난 메리야. 지금 네 뒤에 있어~
놀이 끝. 나 그만할래.
1. 개요2. 작중 행적3. 여담

1. 개요

애니메이션 학교괴담 에피소드 11에 등장하는 원령이다.

성우코자쿠라 에츠코 / 정선혜 / 타마라 레빈.

모티브는 리카짱 전화에서 차용하였다.

2. 작중 행적

메리의 등장 에피소드는 학교괴담 내에서도 꽤 소름돋는 에피소드 중 하나이다. 인형이라서 시작할 때 오르골로 리믹스한 배경음이 나온다. 에피소드 제목을 알려줄 때와 에피소드 끝나기 전에도 마찬가지로 오르골 소리가 나오는데 이게 더 소름돋는다.

주역 캐릭터인 미야노시타 케이치로(나누리)가 마음에 쓰여 주워오려고 했던 볼품없는 인형으로, 서양풍 소녀 인형[2]이지만 너무 지저분한 상태였기에 미야노시타 사츠키(나해미)가 두고 오라고 하였다. 하지만 집에서 발견하고 케이치로가 가져온 것으로 오해해 다시 버리고 오라고 화내어 도로 버려졌다. 하지만 위의 괴담 내용대로 "나는 메리. 지금 쓰레기장에 있어."라는 전화가 걸려온다.

끝내는 학교까지 쫓아와 레오의 핸드폰으로 전화를 걸어대는가 하면, 교무실에도 전화를 걸었는데 사츠키가 전화를 그냥 끊어버리자 교무실에 있는 전화 모두에 동시다발적으로 전화를 걸어버린다. 급기야는 사츠키의 아버지인 미야노시타 레이이치로(나진우)가 교통사고에 휘말리게 되었고, 결국 사츠키의 담임 선생님이 내놓은 제안에 따라 버려진 인형들을 안치한 절에 맡겨진다.[3]

하지만 메리는 눈을 붉게 빛내며 공중으로 떠오르고 버려진 인형들에게서 시커먼 가루 같은 것들이 떨어져 메리에게 모여 거대한 그림자를 만든다. 그리고 메레에게 다시 전화가 걸려오고 결국 사츠키의 친구인 아오야마 하지메(장영빈)가 사츠키를 자신과 카키노키 레오(오경태)만의 아지트[4]에 대피시키는 상황에 이르지만 이번에는 절에 있던 인형들까지 합세시켜 과감한 팀플레이로 사츠키를 압박한다. 이 때 인형들이 "나는 XX가 없으니까 XX를 없애는 놀이를 할래."[5][6]라고 말하는데, XX는 눈, 머리, 팔 등 인형들에게 없던 신체부위다. 그리고는 사츠키를 중심으로 몇겹의 원을 그리며 둘러싸 카고메카고메[7]를 부르며 빙빙 돌다가 "사츠키가 졌네?"라는 메리의 말을 신호로 동시에 한꺼번에 사츠키에게 달려들어 거대한 군체의 검은 촉수로 변형하더니 사츠키를 포박한다.[8] 그리고는 눈알부터 잡아뜯으려는 갈고리의 형태가 나와 사츠키의 눈으로 향하고 그렇게 끔살당하기 일보 직전의 핀치에 몰려 발버둥치는 사츠키의 품에서 손수건이 떨어졌는데, 그것을 본 메리는 사츠키가 그 손수건으로 자신의 얼굴에 묻었었던 더러운 얼룩을 닦아준 일을 떠올리고는 "놀이 끝. 우리만 재미있지 사츠키는 재미없어하잖아. 그냥 우리끼리 놀자."라면서[9][10]인형들을 돌려보낸 후,
이 손수건. 내가 가져도 되지? 소중하게 간직할게. 나중에 또 같이 놀자~ 안녕~

라는 말과 함께 손수건을 가지고 어디론가 사라져 버린다.
아무리 요괴일기에 퇴마조차 없었던 원령이라고는 하나 다소 뜬금없는 결말이 아닐 수 없다는 감상과, 반면에 의식하고 한 것이 아니지만 누군가에게 베풀었던 선행은 언젠가 복으로 돌아온다는 교훈을 주는 에피소드였다는 등 다양한 평이 있다. 요괴일기에 기재되지 않은 건 시대상 미야노시타 카야코(윤희숙)가 만날 수 없었을지도 모르기 때문이다. 28년 전에는 이 인형은 주인이 있던 평범한 인형이었거나 아예 생산조차 되지 않았을 수 있다. 행동거지가 굉장히 과격하긴 하지만 얼굴을 닦아준 걸 떠올리고 그만두는 면을 보면 일이 커지기 전에 순수한 의미로 놀아줬으면 조용히 성불되어 끝냈을지도 모를 일이다.

후일담에서는 아지트의 지붕으로 올라가 사츠키의 손수건을 망토처럼 걸치고 있었다. 다 걸치자 뒤에서 지켜보고 있던 아마노자쿠(다크시니)가 이제 그만 꺼지라고 툴툴대자[11] "왜 괜히 심술이야? 안 그래도 갈 거였거든? 별꼴이야."라고 하며 사라지고 아마노자쿠는 혼잣말로 "사츠키 쟤는 별 이상한 애들이 꼬인다니까. 뭐 내가 할 말은 아니지만."이라고 말한다.[12] 이 장면은 메리가 요괴가 아닌 원령에 가까운 점을 보여주는데, 일반적으로 요괴들은 고양이 몸에 들어가 있다고는 하나 아마노자쿠가 요괴인 것을 간파하고 요괴 대접을 하는 반면 메리는 아마노자쿠를 그냥 말하는 고양이 정도로 대한다.

3. 여담

학교괴담에 나온 언데드들 중에서 유일하게 흉측하거나 무서운 모습으로 묘사된 언데드가 아니다. 북미판에서는 처키인형과 비슷한 느낌이 되었고, 두 가지 목소리를 갖고 있다. 평소에는 원판이나 국내판과 별반 다르지 않은 귀여운 목소리이다가, 흑화하면 저주에 찬 성인 여성의 목소리가 된다.

학교유령에서도 인형 소재의 귀신 죽음을 부르는 인형이 등장했다.


[1] 놀자면서 사츠키를 괴롭혔을 때에는 낮이든 밤이든 상관없이 낮 인사인 콘니치와를 쓰지만, 아마노자쿠와 말다툼을 벌일 때에는 밤 인사인 콘방와를 쓴다.[2] 짱구는 못말려의 공포 에피소드인 <공포의 프랑스 인형>에 등장하는 프랑스 인형과는 외향도 사연도 제법 많이 닮았다.[3] 여담으로 북미판 더빙에서는 무려 제철소로 설정이 바뀐다.[4] 옛날엔 어느 도장이었다고 한다. 침낭도 담요도 갖추어져 있었던 것으로 보아 사람들이 꽤 많았을 듯하다.[5] 원판에서는 '나는 팔이 잘렸으니까 팔 자르기 놀이/차에 치었으니까 차에 치이기 놀이/눈알을 잡아뜯겼으니까 잡아뜯기 놀이/머리를 뽑혔으니까 뽑기 놀이를 하고 싶어'라고 말한다.[6] 더빙판은 상당히 순화되었다. 오른팔 자르기 놀이는 그저 오른팔 때리기 놀이가 되거나, 눈알이 뽑힌다는 표현을 눈동자가 없어진다고 하는 등으로 순화되었고 원판에서 메리가 마지막으로 "(눈알) 잡아뜯기 놀이로 결정!"이라고 하지만(북미판 더빙도 "We'll play 'Pluck It Out!'"이라고 나온다.) 더빙판에서는 그저 "재밌는 놀이 시작!"으로 두루뭉술하게만 말한다. 북미판 더빙에서는 쏘우, 텍사스 전기톱 학살사건, 세븐 등에 나오는 것을 사츠키에게 시전하자고 한다.[7] 국내판은 꼭꼭 숨어라 머리카락 보일라의 숨바꼭질을 대표하는 그 노래로 로컬라이징 되었다.[8] 비명도 못지르게 입까지 틀어막아 긴장감과 공포를 더욱 극대화시켰다.[9] 이 말을 들은 인형들은 어이없다는 듯이 여러 불평불만을 내뱉으면서도 얌전히 사라지듯 물러났다.[10] 각 개체가 개개인의 인격을 가졌으면서 인간을 마음대로 구속할 수 있을 정도의 요력을 지닌, 원한과 사연을 가진 인형들인데도 무시무시하게 강한 메리의 지시 한마디에 불평하면서도 순순히 말을 따랐던 건지, 아니면 소중히 여겨진 인형들이 메리에 의해 요괴화된 만큼 사실은 그저 메리의 장기말에 불과하기 때문에 말을 들을 수밖에 없었는지는 알 수가 없다.

메리가 인형들을 깨운 장소가 사람들이 도저히 태울 수도 버릴 수도 없던 죽은 친인의 소중한 인형들을 맡긴 절이었는데, 인형들이 떠드는 소리는 함부로 대해지고 고장나자마자 그냥 쓰레기로 버려진 걸로밖에 안 들리기 때문이다. 만나는 인형들마다 죄 요괴로 깨워내서 원령인형군단을 이끄는 건지 뭔지...
[11] 북미판 더빙에서는 "손수건 덕분에 망토가 생겼으니 내가 이 지붕에서 밀어버리기 전에 얼른 날아서 꺼져라"는 식으로 대사가 바뀐다. 그 이전에 메리가 아마노자쿠에게 "코트 멋지네."(아마도 고양이에 빙의한 것을 말하는 것으로 보인다.)라고 말하자 "에헤헤헤헤헤, 재밌네.", 라고 비꼬는 것은 덤.[12] 참고로 해당 화 중간쯤에 하지메도 이와 비슷한 말을 한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