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캠퍼스 정보 | |||||
인문캠퍼스 | 자연캠퍼스 | |||||
대학 정보 | ||||||
학부 | 대학원 | 연구소 | ||||
이념과 상징 | 역사 | 총장 | ||||
중앙도서관 ( 인문 / 자연 ) | 박물관 | 명지학원 | ||||
학생 정보 | ||||||
학사 제도 | 동아리 | 학내 언론 | ||||
학생정보시스템 (MSI) | 총학생회 | 학교생활 (주변상권) | ||||
학생 커뮤니티 | 교통 | 기숙사 | ||||
기타 정보 | ||||||
부속 기관 | 사건 사고 | 출신 인물 | ||||
명지전문대학 | 입시 | 산학협력단 | ||||
미래교육원 | 체육부 | 미래정책센터 |
명지대학교의 단과대학 | |||
인문대학 | 사회과학대학 | 경영대학 | 법과대학 |
ICT융합대학 | 미래융합대학 | 자연과학대학 | 공과대학 |
예술체육대학 | 건축대학 | 방목기초교육대학 | 국제학부 |
- [ 펼치기 · 접기 ]
- ||<-3><tablebordercolor=#002968><tablewidth=100%><tablebgcolor=#fff,#191919><height=35px> 2025 개편 명지대학교의 단과대학 ||공통
아너칼리지(전공자유대학) 인문캠퍼스인문대학 사회과학대학 미디어•휴먼라이프대학경영대학 인공지능•소프트웨어융합대학 미래융합대학 자연캠퍼스화학•생명과학대학 스마트시스템공과대학 반도체•ICT대학스포츠예술대학 건축대학
1. 법과대학
명지대학교 법과대학 College of Law | |
학과 | 법학과 교직 |
|
명지대학교 법학과 소개 영상 |
1.1. 연혁
1966년 12월 21일 | 명지대학 법정학부 신설 |
1968년 12월 31일 | 법정학부 내 법학과 설치 |
1973년 01월 08일 | 법학과 석사과정 신설 |
1979년 12월 05일 | 법학과 박사과정 신설 |
1993년 09월 03일 | 법정대학 법학과 야간과정 40명 신설 |
1997년 11월 08일 | 법정대학 법학과 야간과정 정원 10명 증원 인가 |
1998년 10월 19일 | 법정대학 내 각 학과 모집단위 광역화, 법정계열로 모집단위 변경 인가 |
2004년 03월 01일 | 법과대학 법학과로 편제 개편(주간 80명, 야간 40명), 모집단위 변경 |
2005년 03월 01일 | 법과대학 법학과 야간과정 폐지, 주간과정 정원 40명 증원 인가 |
2013년 03월 01일 | 법과대학 내 글로벌법무금융학과 신설 |
2014년 06월 01일 | 글로벌법무금융학과 폐지 및 법무정책학과로 학과 명칭 변경 |
2017년 03월 01일 | 법무정책학과가 미래융합대학 소속으로 변경, 법무행정학과로 명칭 변경 |
1.2. 교육목표
교육목표 Mission | |
법과대학은 대학의 설립정신 및 교육방침에 따라 성실한 인간성의 도야를 선행하며. 법학전반에 걸쳐 이론과 실제의 연구를 교육하고, 스스로 실용적 법률지식 및 이론을 연구 · 해독케 하여, 장차 학계 · 법조계 · 정계 · 각급 행정기관 · 언론계 · 실업계 등 사회의 각계각층에서 국가발전에 이바지할 인재를 양성함을 교육목표로 한다. |
1.3. 주요시설
주요시설 Facility | |
법학자료실 (S1646) | '법자'라고 불리는 곳으로, 다량의 전공서적을 보유하고 있는 명지대학교 유일의 단과대학 도서관이다. '도서관'이라는 이름처럼 으리으리한 편은 아니고, 다량의 책을 구비해둔 독서실이라고 보는 것이 적합하다. 약 50여석 정도의 공부할 수 있는 좌석을 보유하고 있다. |
법과대학 전산실 (S1645) | 사무용 PC 4대, 복사기, 프린터, 스캐너가 비치되어 있다. 법과대학 학생이라면 언제든지 기자재를 사용할 수 있다. 주로 전공자료검색, 과제수행 등의 목적을 위해 이용한다. |
모의법정 (S1539) | 민사ㆍ형사소송법 수업의 운용과 헌법ㆍ민사ㆍ형사 모의재판 실시를 위한 강의실이다. 형식상으로는 모의법정이지만, 법학과가 강의실부족에 시달리고 있기 때문에 일반강의실처럼 이용되고 있다. 실제로 백마법학학술제의 주요 행사인 헌법ㆍ민사ㆍ형사 모의재판은 도서관 내 국제회의장에서 진행된다. |
법학과 학회실 (S1008) | '과방'이라고 불리는 곳으로, 법학과 학생 누구나 출입가능하다. 학회는 물론 선∙후배들의 만남의 장으로 이용되며, 학생회 임원이 최소 1명은 상주하고 있다. |
1.4. 교과과정
교과과정 Curriculum | |
학기 | 과목 |
전학년 | 4차산업혁명·융복합산업법 / 빅데이터와 법 |
1학년 1학기 | 민법입문 / 법논리학1 |
1학년 2학기 | 민법총칙 / 형법총론Ⅰ / 법논리학2 |
2학년 1학기 | 헌법Ⅰ / 채권총론 / 형법총론Ⅱ / 상법총칙 / 국제법Ⅰ / 법제사 / 사회적기업·협동조합법 |
2학기 2학기 | 헌법Ⅱ / 채권각론 / 물권법 / 형법각론 / 행정법Ⅰ / 회사법Ⅰ / 지적재산권법개론 / 국제법Ⅱ |
3학년 1학기 | 헌법Ⅲ / 민사소송법Ⅰ / 불법행위법 / 형사소송법 / 행정법Ⅱ / 지방자치법 / 회사법Ⅱ / 어음수표법 / 경제법 / 국제경제법 / 특허법Ⅰ / 저작권법Ⅰ / 상표법 / 노동법Ⅰ / 개별적근로관계법 / 법과사회 |
3학년 2학기 | 헌법재판제도 / 민사소송법Ⅱ / 민사특별법 / 담보물권법 / 민사집행법 / 형사정책 / 정부규제와 법 / 보험법 / 소비자보호법 / 특허법Ⅱ / 저작권법Ⅱ / 법사상사 / 입법학 / 노동법Ⅱ / 집단적노사관계법 |
4학년 1학기 | 헌법연습 / 친족상속법 / 민사소송법연습 / 형법연습 / 경찰행정법 / 기업법무 / 기업금융법 / 법경제학(교직) / 사이버지적재산권법 / 기술과법 / 고용복지의법과정책 / 세법Ⅰ / 국제거래법 |
4학년 2학기 | 공직선거법 / 민사법연습 / 형사소송법연습 / 행정법연습 / 상사법연습 / 자본시장법 / 경제법연습 / 부정경쟁방지법 / 시장과경쟁정책 / 국제지적재산권법 / 법철학 / 사회보장법 / 세법Ⅱ / 국제사법 / 영미법 / 법학취업세미나 |
1.5. 교수진
명예교수 Emeritus | |
이름 | 전공 |
김숙자 | 민사법(가족법) |
이기헌 | 형법총론, 형사정책 |
조병윤 | 헌법 |
현직교수 Professor | |
이름 | 전공 |
기현석 | 헌법, 공직선거법 |
김수정 | 민사법(민법총칙, 물권법, 채권법, 불법행위법, 친족상속법) |
김주영 | 헌법, 입법학, 기초법(법논리학, 법제사, 법사상사, 법철학) |
박영규 | 지적재산권법(저작권법) |
방정미 | 행정법 |
선정원[1] | 행정법 |
송재일 | 민사법(민법총칙, 물권법, 채권법, 친족상속법, 민사소송법), 국제사법 |
안수길 | 형사법(형법총론, 형사소송법) |
이병규 | 민사법(민사소송법), 지적재산권법(저작권법, 상표법), 부정경쟁방지법 |
이윤제 | 형사법(형법총론, 형법각론, 형사정책) |
이종훈 | 상사법(상법총칙, 회사법, 기업금융법), 세법 |
최세련 | 상사법(상법총칙, 보험법, 어음수표법, 해상법) |
홍명수 | 경제법(소비자보호법, 국제경제법), 법경제학, 보험법 |
1.6. 학생회
학생회 Student Council | |
2018년 | 제48대 법과대학 학생회 'DUET' |
2019년 | 제49대 법과대학 학생회 'DOING' |
2020년 | 제50대 법과대학 학생회 'CODE' |
2021년 | 제51대 법과대학 학생회 'LINK' |
2022년 | 제52대 법과대학 학생회 '연화' |
2023년 | 제53대 법과대학 학생회 '다온' |
2024년 | 제54대 법과대학 학생회 'With' |
1.7. 학회 및 동아리
학회 및 동아리에 관한 소식은 명지대학교 법과대학 네이버 카페[2]에서 확인할 수 있다. 학회 Society | |
형법연구회 | 형법학회 |
법우회 | 민법학회 |
법과사회 | 헌법학회 |
동아리 Club | |
에어로우 | 농구 동아리 |
히어로즈 | 법학과 대표로 응원제에 참가하는 응원단[3] |
멜로디(Melawdy) | 법학과 밴드 |
나눔애(愛) | 법학과 봉사동아리 |
미네르바 | 축구 동아리 |
하람 | 연극 동아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