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08 21:27:04

목메달

목라인에서 넘어옴
이 문서는
이 문단은
토론을 통해 목메달 관련 이미지의 등재 금지.로 합의되었습니다. 합의된 부분을 토론 없이 수정할 시 편집권 남용으로 간주되어 제재될 수 있습니다.
아래 토론들로 합의된 편집방침이 적용됩니다. 합의된 부분을 토론 없이 수정할 시 편집권 남용으로 간주되어 제재될 수 있습니다.
[ 내용 펼치기 · 접기 ]
||<table width=100%><table bordercolor=#ffffff,#1f2023><bgcolor=#ffffff,#1f2023><(>토론 - 목메달 관련 이미지의 등재 금지.
토론 - 사례는 제도권 언론에 1회 이상 보도된 경우에만 등재.
토론 - 4위와 목메달을 동일시하는 서술을 제거하되\
토론 - 합의사항4
토론 - 합의사항5
토론 - 합의사항6
토론 - 합의사항7
토론 - 합의사항8
토론 - 합의사항9
토론 - 합의사항10
토론 - 합의사항11
토론 - 합의사항12
토론 - 합의사항13
토론 - 합의사항14
토론 - 합의사항15
토론 - 합의사항16
토론 - 합의사항17
토론 - 합의사항18
토론 - 합의사항19
토론 - 합의사항20
토론 - 합의사항21
토론 - 합의사항22
토론 - 합의사항23
토론 - 합의사항24
토론 - 합의사항25
토론 - 합의사항26
토론 - 합의사항27
토론 - 합의사항28
토론 - 합의사항29
토론 - 합의사항30
토론 - 합의사항31
토론 - 합의사항32
토론 - 합의사항33
토론 - 합의사항34
토론 - 합의사항35
토론 - 합의사항36
토론 - 합의사항37
토론 - 합의사항38
토론 - 합의사항39
토론 - 합의사항40
토론 - 합의사항41
토론 - 합의사항42
토론 - 합의사항43
토론 - 합의사항44
토론 - 합의사항45
토론 - 합의사항46
토론 - 합의사항47
토론 - 합의사항48
토론 - 합의사항49
토론 - 합의사항50
||



1. 개요2. 유래3. 원인
3.1. 짠 보상3.2. 과도한 내셔널리즘3.3. 설레발과 비매너
4. 기타5.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올림픽이나 아시안 게임 등 우승자에게 메달을 수여하는 대회에서 4강이나 결선 등 우승권에 들어갔으면서 메달을 따지 못한 경우를 이르는 말이다.

이 단어는 발음상 ‘목 매달’이라는 발음과 유사하다는 점에 착안해 만들어졌다. 그래서 발음이 같은 한자인 에서 따와 나무 메달로 돌려 말하는 경우도 있다.

2. 유래

이미 1990년대 이전부터 1위는 금메달, 2위는 은메달, 3위는 동메달, 꼴찌는 목메달이라는 식의 우스갯소리 #가 있었을 정도로 유서깊은 표현으로, 해당 선수의 목을 매달 일 혹은 선수 자신이 목을 매달 만한 일이라는 것에서 유래한 표현이다. 메달의 이름이 재료에서 유래한 것 때문에 목()메달이기도 하다.

본디 단순히 메달을 따지 못 한 걸 홀하게 이르는 표현이었지만, ‘자업자득’의 의미를 지니게 된 것은 2008년 베이징 올림픽 야구 결정전이 계기다.

3. 원인

3.1. 짠 보상

목메달이라는 말이 열심히 4년 간 노력한 선수들에 대한 비하 발언일 수도 있지만 따지고 보면 선수보다는 한국 체육계의 문제라고 봐도 된다. 특히 올림픽 메달리스트나 아시안 게임 금메달 리스트에게 주어지는 병역혜택 때문에 이것이 매우 심각하다.

이 때문에 국군체육부대의 혜택도 받을 수 없는 일부 종목은 미필 남자 선수의 입장에서 보면 아시안게임에서 오직 금메달이 아니면, 은메달이나 동메달은 목메달과 다를 것이 없다고 하기도 한다.[1]

사실 이 경우는 스포츠 선수가 스스로를 자조해서 하는 말이지 진정한 목메달이라고 할 수는 없다. 그리고 어쩔 수 없는 게 이보다 더 기준을 느슨하게 하면 그건 특혜가 되어 버린다.

3.2. 과도한 내셔널리즘

한국의 경우, 90년대 무렵만 해도 올림픽이나 아시안게임 등에서 '메달을 따는 일'에 지나치게 집착하여 4위로 아쉽게 메달을 놓친 선수가 언론이나 대중 반응 등에서 몰상식한 비난을 당하는 경우가 종종 있었다. 이는 갓 신흥공업국 중에서 선두 그룹으로 두각을 드러내기 시작한 당시 한국의 상황에서 적지 않은 사람들에게 국위에 대한 목마름이 있었고, 이 때문에 국제적 스포츠 대회에서 메달을 따는 것을 국위선양의 기회로 여기는 정서가 강했기 때문이다.

단순하게 설명하자면 3위 안에 들어 메달을 따야 시상대 뒤에 태극기가 걸리고 한국의 이름을 세계에 널리 알릴 기회를 얻게 되는데 4위로 아깝게 그 기회를 놓쳐버렸다는 안타까움이 부조리한 비난으로 변질되었던 셈이다. 특히 한국이 '국제 사회의 별 관심을 받지 못하는 그저그런 듣보잡 개발도상국'에서 벗어나 만만치 않은 국력을 갖춘 신흥공업국이자 중견국으로써의 이미지를 세계에 각인시키는데 성공한 가장 중요한 계기 중 하나가 바로 '1988 서울 올림픽의 성공적인 개최+종합 순위 4위라는 놀라운 성적'이었기에 국가적 위상에 대한 집착이 '국제 스포츠 경기에서의 승리=국가의 위상 상승=애국'이며, 이에 따라 메달을 따지 못한 건 애국을 하지 못한 것이라는 도식으로 변화하여 부조리한 반응을 불러일으켰던 것이라 볼 수 있다.

물론 당시에도 이런 몰상식한 비난에 대한 자성 의견은 종종 제기되었지만, 메달 종류별 숫자로 국가별 순위를 매기던 당시 시스템에서 메달 집계에 수정치를 주지 못하는 4위는 꼴찌와 다를 게 없다고 비난받고, 동메달이나 은메달을 따도 금메달이 아니니 별 의미 없다고 비난받는 상황이 적지 않게 발생했던 것. 그나마 은·동메달 수상자들이 비난받는 현상은 1996 애틀랜타 올림픽 마라톤 이봉주 은메달 이후 서서히 해소되기 시작했고, 2010년대 이후 한국이 선진국으로써 확고한 위상을 갖게 되면서 국민들 역시 메달을 따서 국격과 위상을 높여야 한다는 강박관념에서 벗어나고, 과도한 국뽕에 대한 자성의 목소리가 높아지면서 많이 개선되었다.

3.3. 설레발과 비매너

당연하지만 입상을 못했다고 무조건 목메달이라고 부르지는 않는다. 일례로 아래 팀들에게 목메달이라는 얘기를 하지 않는다. 넘사벽으로 강한 상대들 사이에서 당연히 그 누구도 1승조차 하기 힘들 거라고 단정한 경우가 많았던 대회에서 선전한 것은 목메달로 볼 수 없다.

사실 스포츠 시합 등에서 단순히 입상하지 못한 선수에게 목메달 운운하는 것은 굉장히 몰상식한 소리며 오히려 역으로 까이는 게 정상이다. 애시당초 올림픽에 출전했다는 것 자체가 스포츠 선수로서 대단한 커리어고 일반인과는 넘사벽의 능력을 가지고 있다는 증거로 그 선수가 얼마나 열심히 노력을 했는지 보여주는 것이다. 비록 성적이 좋지 않았더라도 진정한 스포츠맨십은 성적을 따지지 않고 최선을 다한 선수들에게도 비난 대신 격려를 보내는 것이다.

패럴림픽의 경우 2018년 이전까지는 대한민국 국민이 관심도 두지 않았고 방치하기만 했지만, 2018 평창 동계패럴림픽부터는 대중들의 관심을 점차 받고 있는 추세다. 비록 방송사추태는 여전히 있었지만 말이다. 오히려 대한민국 국민이 이런 방송사의 추태에 항의를 했고 올림픽 선수와 동등하게 응원해주고 격려해줬으며 이제는 올림픽 메달에 딱히 관심을 두기 보다는 선수들을 격려하는 추세로 바뀌고 있다. 그런 의미에서 선수에게 격려가 얼마나 중요한 지와 큰 힘이 될 수 있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목메달이라는 말은 단순히 낮은 순위 그 자체를 가리킨다기보다는 대체로 본인이 장담한 만큼의 성적을 거두지 못했을 경우, 그 중에서도 단순히 자신의 포부를 드러내는 정도가 아니라 다른 선수나 국가를 깔보면서 쓸데없이 입을 놀리는 경우이거나, 정정당당한 승부를 하지 않고 꼼수를 부리거나, 미리 김칫국부터 들이켰다가[3][4] 망신을 당하는 경우를 가리킨다.

정리하자면 목메달로 욕을 먹는 이유는 저조한 성적만이 아니라 설레발과 비매너의 업보가 돌아오는 것이라고 볼 수 있다.

4. 기타

5. 관련 문서



[1] 이와는 별개로, 한국의 올림픽 포상금은 세계의 여러 국가들과 비교를 해 보면 비교적 높은 수준이다. 다른 나라의 경우 포상금 자체가 없거나 훨씬 적게 주는 나라가 수두룩하다. 예시로 명실상부한 선진국인 영국에서는 올림픽에서 금메달을 따도 겨우 기념우표 달랑 하나 만들어 주는 게 전부다.[2] 특히 이탈리아와 스페인은 차기·차차기 대회에서 차례로 우승을 거머쥐었기 때문에 충분히 강팀이라고 볼 수 있다.[3] 베이징 올림픽 야구에서 호시노 감독의 져주기 게임이 좋은 예시. 다만 꼭 져주기가 아니더라도 '우리 팀은 XX팀이 아니라 OO팀을 만났으니 조편성 운이 좋다고 망언을 하는 것도 여기에 포함된다. 애시당초 올림픽에서 상위 팀은 어디가 되었든 간에 강팀이며 상위평준화되어 있는 경우가 많으므로 A팀을 피해서 B팀을 만난다는 말 자체가 어불성설이다.[4] 또, 설령 정말로 그런 팀을 만났다고 해도 그걸 공개적으로 밝히는 것 자체가 상대 팀에 대한 큰 실례다. 무엇보다 스포츠맨 정신에 어긋난다.[5] 이와는 별개로 X Games에서 군번줄 모양으로 만든 메달을 수여한 적이 있다.[6] 최종 결선에서 16위 안에 들어도(16강 진출 포함) 잘했다는 소리를 듣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