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6-09 03:25:05

미라주 2000/운용국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미라주 2000
1. 개요2. 도입국
2.1. 유럽
2.1.1. 프랑스2.1.2. 그리스2.1.3. 우크라이나
2.2. 아시아
2.2.1. 인도2.2.2. 대만2.2.3. 아랍에미리트2.2.4. 카타르
2.3. 아프리카
2.3.1. 이집트
2.4. 아메리카
2.4.1. 브라질2.4.2. 페루
3. 도입 무산 국가
3.1. 인도네시아

1. 개요

미라주 2000의 운용국을 정리한 문서.

2. 도입국

2.1. 유럽

2.1.1. 프랑스

개발국. 미라주 2000D 86대와 2000N 75대 포함해 총 315대를 도입했다. 프랑스 항공우주군에 후계기인 라팔이 완전히 배치될 때까지 라팔과 함께 운용될 예정이다. 미라주 2000 시리즈 중 총 55대의 미라주 2000D는 미래 전장에서 운용 가능하게 2023년까지 4.5세대 수준으로 개량해서 운용할 계획이며, 모든 미라주 2000 기종의 최종적인 퇴역은 라팔의 최종형인 스탕다르 F4 사양이 완편되는 2030년으로 예정되어있다.

기체 자체의 능력이 워낙 좋았던 덕에 프랑스 항공우주군이 21세기에도 F-8 크루세이더쉬페르 에탕다르로 버티던 보다 열악한 프랑스 해군에게 라팔 배치 우선권을 빼앗기는 계기가 되기도 했다.

ASMP를 탑재해 핵폭격 전용기로 운용하던 미라주 2000N은 이후 라팔에 ASMP가 통합되자 ASMP 발사 임무를 인계한 뒤 2017년 퇴역했다.

2022년 6월 23일, 미라주 2000C형이 프랑스 공군에서 전량 퇴역하였다.#

2.1.2. 그리스

44대를 도입했다. 미라주 2000은 2007년까지 생산되었는데, 신규 생산분의 마지막 고객이 바로 그리스 공군이다.

2.1.3. 우크라이나

2024년 6월, 프랑스가 우크라이나 공군에 미라주 2000을 지원하고 조종사들을 훈련시킬 것이라고 에마뉘엘 마크롱 대통령이 공식 발표했다.# 여름부터 우크라이나 조종사들에 대한 훈련에 들어갈 것이며, 연말에 우크라이나에 배치하는 것이 목표라고 제시했다.

2.2. 아시아

2.2.1. 인도

50대를 도입했다.

1999년, 파키스탄과의 카길 전쟁에서 큰 활약을 해서 좋은 평가를 받자 인도는 미라주 2000을 추가 구매할 의사를 보였다. 인도 공군은 MiG-21 등 구형 전투기 수백 대의 대량 대체가 필요했고, 이에 다쏘가 미라주 시리즈의 생산을 종료하게되자 2004년 미라주 설계와 생산시설 전체를 인도에 판매하는 제안을 하였다. 하지만 이러한 인도 생산 제안은 무산되었다.

2021년 9월 20일, 인도 공군이 프랑스에서 퇴역한 미라주 2000 24기 도입을 체결하였다. 타임즈 오브 인디아의 소식통에 따르면 이 협정은 8월 31일 체결됐다. 도입하는 24대 중 13대가 사용 가능한 상태이며[1], 기본적인 유지 관리만 필요하다고 한다. 나머지 11대는 예비 부품 공급원으로 사용할 계획이라고 한다.#

2.2.2. 대만

파일:MIR-2000_Taiwan_1.png
미라지 2000-5EI/DI

대만은 중국이 Su-27을 도입하자 이에 대한 대응으로 미국에서 F-16A/B를 도입함과 동시에 프랑스와도 협상하여 미라지 2000-5를 도입한다. 이에 따라 최종적으로 단좌기 '미라지 2000-5EI'를 46대, 복좌기 '미라지 2000-5DI' 9대가 도입되었다.

2.2.3. 아랍에미리트

68대를 도입했다.

2.2.4. 카타르

미라주 2000-5EDA 9대와 미라주 2000-5DDA 3대를 도입했다. 퇴역 후 전량 인도네시아에 매각되었으나 이후 도입이 취소되었다.

2.3. 아프리카

2.3.1. 이집트

20대를 도입했다.

2.4. 아메리카

2.4.1. 브라질

미라주 2000C 10대와 미라주 2000B 2대를 도입했다. 2013년, 브라질 공군에서 퇴역하였다.

2.4.2. 페루

12대를 도입했다. 2024년 기준으로 MiG-29와 함께 페루 공군의 주력 기체로 운용 중이다.

3. 도입 무산 국가

3.1. 인도네시아

카타르에서 퇴역시킨 중고 미라주 2000 12대를 도입하고자 했으나, 이후 도입을 취소했다.


[1] 그 중 8대가 완전히 비행 가능하다고 한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89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89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