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의 공군 |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동아시아 | 대한민국 | 북한 | 중국 | 대만 | 일본(준군사조직) |
동남아시아 | 태국 | 싱가포르 | 필리핀 | 인도네시아 | 말레이시아 | |
서아시아 | 이란 | 이스라엘 | 튀르키예 | 사우디아라비아 | 아제르바이잔 | 카타르 | |
남아시아 | 인도 | |
동유럽 | 러시아 | 우크라이나 | 벨라루스 | 루마니아 | |
서유럽 | 영국 | 프랑스 | 네덜란드 | 벨기에 | |
중부유럽 | 독일 | 스위스 | 폴란드 | 체코 | 슬로바키아 | |
남유럽 | 이탈리아 | 스페인 | 포르투갈 | 그리스 | 몬테네그로 | 세르비아 | 슬로베니아 | |
북유럽 | 덴마크 | 노르웨이 | 스웨덴 | 라트비아 | |
아프리카 | 이집트 | 모로코 | 나이지리아 | 남아프리카 공화국 | 앙골라 | 차드 | 에티오피아 | |
아메리카 | 미국 | 캐나다 | 멕시코 | 브라질 | 칠레 | 페루 | |
오세아니아 | 호주 | |
※ 독립된 문서가 있는 공군만 링크. 그 외 각국 공군은 틀:세계의 군대 참고 | }}}}}}}}} |
우크라이나군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FFF00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
육군 | 해군 [[우크라이나 해군 항공대| 항공대 ]] | 공군 | ||||
특수작전군 | 해군 보병대 | 공수군 | ||||
국토방위군 | 무인장비군 | }}}}}}}}}}}} |
<colbgcolor=#32a0df><colcolor=#FFFF00> 우크라이나 공군 Повітряні сили Збройних сил України Воздушные силы Вооруженных сил Украины | ||
깃발 | 휘장 | |
창설일 | 1992년 3월 17일 | |
소속 | 우크라이나군 | |
병력 | 35,000명(2022년), 항공기 400여 대[1] | |
총사령관 | 중장 아나톨리 크리보노지코 (권한대행) | |
제1부사령관 | 중장 뱌체슬라프 샴코 | |
참전 | 코소보 전쟁 이라크 전쟁 미국-아프가니스탄 전쟁 2014년 크림 위기 돈바스 전쟁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 |
위치 | 우크라이나 빈니차 | |
링크 | | | |
[clearfix]
1. 개요
우크라이나의 공군이다.2. 역사
2.1. 우크라이나 인민 공화국
우크라이나 인민 공화국이 존재했던 1917년 ~ 1921년의 공군이 전신이다.우크라이나 중앙위원회에서는 우크라이나 공군 창설은 극도로 어려운 조건에서 이루어졌으며, 많은 내외부적인 요인과 군내에 국가의 대한 리더십이 부족한 상황이어서 창설을 꺼렸다. 특히 공군 관련 기술과 항공기의 부족, 볼셰비키의 반대, 소련의 침략으로 지속적으로 방해를 받았다. 하지만 1917년 12월 31일 중앙위원회에서는 공식적으로 항공 함대(당시는 공군이란 명칭보다는 육군 항공대, 해군 항공대처럼 조직했다.)창설을 승인하였고 빅토르 파울렌코(Віктор Павленко) 중령이 사령관으로 임명되었다. 우크라이나군 수뇌부는 볼셰비키의 영향력이 미치는 최전선에서 우크라이나 내륙으로 항공대를 재배치하였다.
1917년 창설되어 항공기 330여대를 보유했으며, 남서부(캅카스)와 루마니아 전선의 육군 항공대(항공기 250대)과 흑해 함대 소속 항공 함대(항공기 76대)가 있었다. 우크라이나 영토에 위치한 러시아 항공대는 주로 육군과 해군을 직접적인 지원과 특히 정찰, 폭격을 중점을 둔 다양한 목적의 항공부대가 있었다.
러시아 항공대는 주로 남부 우크라이나와 크림 반도에 주둔하며 광범위한 교육훈련기관을 갖추었지만, 정작 기관에서 훈련된 조종사와 훈련의 질이 전투에서 필요한 요구사항을 충족하지 못했다. 또한 전투기 조종사들은 엔진과 비행역학 같은 이론을 심각할 정도로 이해하지 못하였다. 1918년부터 프랑스와 오스트리아-헝가리, 독일에서 구입하여 볼셰비키와 공중전을 치르었다. 통신은 열기구를 사용하였다. 하지만 장기간 전쟁으로 항공기와 조종사가 줄어들었다. 또한 우크라이나 인민공화국 시기와 우크라이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시기에 조종사를 많이 양성하였다.
2.2. 우크라이나
소련이 해체된 이후 1992년 3월 17일 우크라이나의 참모총장의 지시에 따라서 소련 공군을 기반으로 우크라이나 공군을 재건하였다. 공군사령부는 빈니차에 있는데 제24공군본부가 기반이 되었다. 1992년 육군항공 4개, 공군사단 10개, 공군연대 49개, 개별비행중대 11개, 교육기관 특수기관에다가 군부대 600여 개, 항공기 2,800대, 군인 12만 명이 있었다. 우크라이나 초기에 항공기가 1100대나 되어 소련 붕괴 이후 러시아를 제외한 유럽 최강의 공군을 가졌었다. 또한 소련의 최신기 Tu-160, MiG-29, Su-27 비행장도 우크라이나 영토에 위치한 덕도 있었다. 우크라이나 방공군도 1992년 4월 5일에 소련의 방공군을 기반으로 창설되었고, 이후 공군에 흡수되었다. 하지만 우크라이나 영토에 주둔한 소련 공군의 일부는 우크라이나에 충성맹세(군선서)를 거부하고 러시아 영내로 이동하였다.1992년 5월 8일 ~ 11월 5일 우크라이나 공군 MiG-29가 미국과 캐나다를 103시간 207회 순회비행하였다. 이들의 임무는 미국과 캐나다에게 새로운 우크라이나를 대표하여 홍보하는 것이였다. 1993년 조지아 전쟁 당시에는 인도주의적 작전에 수송기를 파견했다. 1996년 8월 공군 역사상 처음으로 대규모 시험비행 전술훈련96을 하였다. 1997년 우크라이나 국영기업 UATC를 설립하였다. 8월 24일 우크라이나 독립기념일에 대규모 에어쇼를 열어 우크라이나 팔콘이 첫 공개 공연을 하였다. 1998년 Tu-160과 Tu-22M, Tu-95, Tu-142를 꽤나 보유했지만 Tu-160을 러시아에 판매하거나 1대만 남기고 2000년 초 폐기하였다. 현재 우크라이나에는 Tu-160은 1대가 있으며 폴타바 항공박물관에 전시되었다. 1992년을 기준으로 폭격기 137대, 지상공격기 90대, 전투기 610대, 정찰기와 공중급유기 87대, 지대공 미사일 발사대가 2400여대였다.#
2009년 9월 우크라이나 국방부 장관은 공군 항공기 운용가능성평가 중 항공기들이 운용가능이 하락추세였으나 여전히 공군 규모에 걸맞지 않는 예산, 군수 준비 부족으로 현역부적합 상태였다. 2011년 공군은 병력 4만 3100명에 전투기 208대, 수송기 39대를 보유하였으나 2012년에는 병력 4만 명에 전투기 160대, 수송기가 25개가 있었다.
2.2.1.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러시아가 우크라이나의 크림반도와 우크라이나 동부로 군사적 개입을 하였다. 이때 크림 반도에 있던 공군 전력의 상당수를 러시아에 빼앗겼다. 이에 공군은 초기에 교전보다는 군의 수송, 보급과 정찰 임무를 수행하였고, An-30B가 격추된 이후 공군도 무기사용이 허가되었다. 2020년대에는 월급도 터무니 없는 박봉이라 조종사들의 집단 전역과 항공기 유지 보수 문제가 동시에 터지는 중이다. 현재로선 러시아 공군에 맞설 능력을 상실했다.결국 미국이나 NATO 국가들이 중고 전투기를 공여하는 것이 가장 이상적인 방법이나 이마저도 여의치가 않다. 당장 미국은 NATO나 한국, 일본, 이스라엘 등의 신뢰도가 높은 우방 국가들에만 F-35, F-15 같은 하이엔드 기종을 판매한다. F/A-18의 경우 생산량 자체가 적어서 구하기 어렵다. 그래서 미국제 전투기 중 수량이 가장 많고 성능도 적당한 F-16 전투기 계열이 적절하지만 이 기종들마저도 공여할 여유가 없을 정도로 상황이 여의치 않다.[2] 2024년 현재 미 공군은 F-35와 F-22를 운용하면서도 여전히 F-15와 F-16을 대체하지 못하고 있고 F-15와 F-16을 개량하여 좀 더 쓰다가 2030년대 이후 6세대 전투기가 실전 배치된 이후에 퇴역할 예정이다.
그나마 현재 미 공군 노후 전투기 보관소의 F-16C 144대, F-16D 16대가 보유 중이라고 되어 있어서 이러한 F-16 계열 전투기를 공여받는 방법도 있겠지만 문제는 노후 전투기 보관소에 있는 F-16 계열이 몇 블록인지는 확인되지 않았고 기골 노후화 문제도 있어서 당장 투입하기 어렵다.
대공무기 지원을 늘려 지상방공망이라도 강화하면서 구 공산권 국가들이 운용하는 소련제 전투기와 부품들 위주로 공여하는 것이 현재로선 국제 사회가 우크라이나 공군을 도울 수 있는 최선이다.
돈바스의 국지전이 2022년 대규모 전면전으로 확대되자, 필사적으로 방어하였다.
구공산권과 서방국가들에게 항공기를 지원받고 있다.
우크라이나 공군은 전면전 확전 뒤부터 2023년까지 69대의 항공기를 상실했다고 주장하고 있다.# 개전 전 우크라이나 공군이 운영하던 전술기가 100대 남짓이었다는 걸 생각하면 개전 이전 전력의 60%가 넘는 손실을 입은 셈.
또한 방공 능력 역시 문제가 제기되고 있는데 최근 러시아의 공습으로 여러 대의 전술기를 날려 먹었음에도 불구하고 대응책을 찾지 못했다는 점이다.#
3. 항공우주력
현대 우크라이나군 항공병기 둘러보기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px -11px;" | 우크라이나 국군 (1991~현재) Збройні Cили України | ||||
<colbgcolor=#0056B9> 회전익기 | <colbgcolor=#0056B9> '''[[무장헬기| 경헬기 ]]''' | Mi-2MSB(-1/-V)육/M | Bo 105육/D | Ka-226해 | AS550 C3 패넥근위 | H145근위 | |||
''' 다목적 헬기 ''' | Mi-8(MSB-V/PS/T/MT)육 | Mi-9육 | Mi-8AMTSh육/C | Mi-17(-1V)육/D | Mi-171ED | Ka-32A11BC육/D | 시킹 HU.5해/D | H225근위 | Ka-29TB해/R | UH-60정보 | ||||
수송헬기 | Mi-26TR | Mi-6AR | ||||
공격헬기 | Mi-24(PU1/V/VP/P/K/RCh)육 | Mi-24W · Mi-25육/D | Mi-24(A/D)육 | ||||
대잠헬기 | Mi-14(BT/PL/PS)해 | Ka-27(PL/PS)해/R | Ka-25PL해/R | ||||
'''[[전투기| 전투기 ]]''' | '''[[2세대 전투기| 2세대 ]]''' | Su-15TMR | MiG-21(PF/PFM)R | |||
'''[[3세대 전투기| 3세대 ]]''' | MiG-25PDR | MiG-23(ML/MLD)R | MiG-21MR | ||||
'''[[4세대 / 4.5세대 전투기| 4(.5)세대 ]]''' | F-16(AM/BM) Block 20 MLUD | {미라주 2000-5}D | Su-27(S1M/P1M/UB1M) | MiG-29(A/S/UB · MU1/UBM1M · AS/UBSD) | T-10K-3R | ||||
공격기 | Su-24M | Su-25(K/UB→M1/UB1M) | MiG-27R | MiG-23BNR | Yak-28R | Yak-38M해/R | Su-25UTG해/R | ||||
폭격기 | Tu-160R | Tu-22(M/M2/M3)해/R | Tu-22KD해/R | Tu-16해/R | ||||
'''[[정찰기| 정찰기 ]]''' | 전술 | Su-24MR | An-30B | MiG-25(RB/RBS)R | |||
'''[[수송기| 수송기 ]]''' | 경량 | An-26(B/KPA) | An-26B-100해 | An-2T해 | Tu-134AK | An-72PR | An-24BR | An-32BD | |||
전술 | An-70 | An-12(BK/BP)R | ||||
전략 | Il-76MD | ||||
''' 지원기 ''' | '''[[공중급유기| 공중급유기 ]]''' | Il-78R | |||
'''[[조기경보기| 조기경보기 ]]''' | {사브 340 AEW&C}D | ||||
'''[[대잠초계기| 해상초계기 ]]''' | Be-12(PL/PS) 차이카해 | Il-38해/R | Tu-142MZ해/R | Be-12해/R | ||||
''' 의무후송기 ''' | An-26 '비타'R | ||||
'''[[무인기| 무인기 ]]''' | ''' SUAV ''' | 클래스 1 - MAV DJI 미니육 · 매빅육 · 팬텀육 | PD-100 블랙 호넷 나노육/D | RQ-11B 레이븐육/D클래스 1 - 초소형 ITEC 스키프육 | 스펙테이터-M1육 | 렐레카-100육 | 퍼니셔육 | A1-CM 퓨리아육 | ASU-1 발키리야육 | BpAK-MP-1육 | RQ-35 헤이드룬육/D | RQ-20 퓨마육/D | WB 플라이아이육/D | 바이락타르 미니육/D | 퀀텀 벡터육/D | 퀀텀 스콜피온육/D | 팽귄 C육/D | 샤크육 | 브라모르육/D | 밴시 제트 80+D클래스 1 - 소형 PD-1육 | PD-2육 | UJ-22 에어본육 | RQ-27 스캔이글육/D | 프리모코 원-150육/D | 루나-NG육/D | |||
''' UAV ''' | 클래스 2 - 전술형 An-BK-1 | 맬로이 T150D | Tu-141 | Tu-143 | ||||
''' UCAV ''' | 클래스 2 - 전술형 바이락타르 TB2해·공 | ||||
'''[[훈련기| 훈련기 ]]''' | 프롭 | KhAZ-30 | Yak-52 | |||
제트 | L-39(M/C/ZA) 알바트로스 | L-29 델핀R | Su-17UM3R | MiG-21UMR | ||||
VIP 탑승기 | ACJ319-115X | An-148-100B | An-74TK-300D | Yak-40M | Tu-154B-2R | Tu-134A-3R | Il-62MR | ||||
※ 윗첨자R: 퇴역 기종 ※ 윗첨자M: 개조 기종 ※ 윗첨자C: 노획 기종 ※ 윗첨자D: 공여받은 기종 ※ {중괄호}: 도입 예정 기종 ※ 윗첨자각군: 해당 군 및 국방정보국 운용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우크라이나군의 운용장비 | 항공병기 | }}} }}}}}} |
3.1. 전술기
기종 | 구분 | 제조국 | 보유 | 계획 | 기타 |
전투기/전폭기/공격기/폭격기 | |||||
Su-27 UB1M/UP1M/S1M/P1M | 전투기 | 소련 | 26~32대[3] | 10대+ 손실[4] | |
MiG-29 C/A/UB/MU1 | 전투기 | 소련 | 66~74대 [5] | 20대+ 손실, 28대 공여 | |
Su-24M/MR | 전폭기 | 소련 | 12~14대[6] | 11대+ 손실 | |
Su-25 UB/K/UTG/M1/UBM1 | 지상공격기/CAS | 소련 | 35대~37대[7] | 19대+ 손실, 18대 공여[8] | |
MiG-21LanceR | 전투기 | 소련 | 0대[9] | ||
F-16 | 전투기 | 미국 | 6대[10] | 1대 손실 |
전쟁 발발 당일 Su-27 1대가 루마니아로 대피하였다. 요격나온 F-16에게 에스코트를 받으며 착륙, 대피한 기체는 루마니아 공군이 맡았다가 일주일 뒤 모든 무장을 해제한 후 우크라이나가 탐내던 MiG-21 LanceR 2대의 감시를 받으며 돌아갔다.
2022년 3월 8일, 폴란드 정부는 우크라이나 지원을 위해 자국 공군이 MiG-29 28대를 주독일 미군에게 넘기겠다고 발표했다. 다만 폴란드는 직접 우크라이나에게 준다고 하지 않았고, 미국의 처분에 맡기겠다고 말했다. 하지만 미국은 폴란드가 우크라이나에 전투기를 제공하는 것이 자칫 러시아가 확전하는 빌미가 될 수 있다는 우려를 표하고, "폴란드가 보유한 항공기를 우크라이나에 넘길지는 궁극적으로 폴란드 정부가 내려야 할 결정"이라며 폴란드 공군의 미그기를 미군이 떠맡음을 거부했다. 다만 미국은 이와 관련하여 폴란드 정부와 계속 접촉 중이라고 밝혔다. 섣부른 언론 발표로 일이 파토가 난 후 폴란드 정부는 관련 발표를 꺼리고 있어 이후 진척 상황에 대한 언론 보도는 없다. 하지만 비공식 루트에 따르면 폴란드 공군의 MiG-29가 분해되어 우크라이나로 제공되었다고 한다. 이후 2022년 7월, 폴란드 국방부는 노후 소련제 전투기를 퇴역시키고 이를 대체할 목적으로 한국 KAI의 FA-50 48대를 도입하기로 했다고 발표했다.
2022년 4~5월경 불가리아가 자국의 Su-25 8~14대를 분해하여 우크라이나에 전달하였음이 확인되었다.
2022년 6월 22일과 7월 25일 슬로바키아는 자국이 보유한 MiG-29 11대와 탱크를 우크라이나에 공여하는 방안에 대해 검토 중이라고 발표했다. F-16V 14대를 인도받는 2024년까지 폴란드와 체코가 영공을 보호하기로 합의한 후 인도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그러나 야로슬라프 나드(Jaroslav Nad) 슬로바키아 국방부 장관은 전투기를 공여하기 위해서는 NATO 동맹국들로부터 광범위한 동의를 얻어야 한다며 조심스러운 태도를 보였다. # #
2022년 6월, 미국 하원에서 F-15, F-16 등 서구 전투기 조종 및 유지보수 훈련을 우크라이나군 조종사 및 정비사들에게 제공하는 법안이 나왔고, #2022년 7월 14일 하원을 최종 통과했다. ## 이제 대통령 서명만 남은 상태이다. 7월 20일, Charles Q. Brown 미 공군참모총장은 미국과 (나토) 동맹국들이 최근 우크라이나 조종사 훈련 계획 검토에 착수했다고 언급했으며, 또한 서방 전투기를 우크라이나에 공여할 가능성도 있다고 언급했다. # 브라운 총장은 우크라이나 조종사 훈련은 과거 소련 기체에서 서구 기체로 전환한 경험이 있는 동맹국들이 특히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전투기 공여가 성사된다면 우크라이나는 유럽에서 최초로 F-15를 보유하는 나라가 될 수도 있으나, F-16도 못 구해다 주는 마당에 현실성은 높지 않다.
2022년 7월 체코에서는 스웨덴에서부터 임대해 운영하는 JAS 39 그리펜 14대를 우크라이나에 양도하는 방안을 스웨덴과 협의 중에 있다고 하였다.
현재 우크라이나가 우크라이나군이 사용 가능한 전투기로 효과를 보게 하는 게 중요하다는 말을 미 국방부 관계자가 했다는 보도가 있었다. 이로서 당장 F-16를 공여하지는 않을 것으로 보인다.#
또한 2022년 미국의 전투기 공여는 미국산이 아니란 보도가 나왔다. 라팔, 유로파이터 타이푼, 그리펜, 미라주 계열 전투기 중 하나일 듯하다.
그러나 최근 F/A-18E/F가 우크라이나에 공여된다는 소문이 있다. 다만 우크라이나는 서방제 대신 러시아제 무기에 특화된 군 무기체계라서 서방제가 공여되기에는 어려운 게 현실이다.
최근 우크라이나 공군이 서방제 전투기를 선발한다고 하는데, 기종은 유럽제나 미국산일 거라는 당연한 소리만 나왔다.
결국 폴란드에 미사일이 떨어진 이후에 나토가 MIG-29, F-16, 아이언돔 방공시스템, 패트리어트 미사일을 공여하는 방안을 재고하기 시작했다는 기사가 나왔다.# 이 중 패트리어트 미사일은 2022년 12월경 지원이 현실화되었다.
네덜란드가 F-16 공여 의향이 있다고 했는데, F-35를 도입하면서 남겨진 F-16이 대상이 될 것이다.
우크라이나 측에서 '우린 F-16을 받을 거다'라는 희망사항을 밝혔다.
프랑스가 전투기 훈련을 지원할 가능성을 검토하는 중이고, 네덜란드에 이어 폴란드도 F-16 공여 가능성을 언급했다.
영국이 전투기 훈련을 지원함은 물론# 공여 의사를 밝혔다는 보도가 있었다.# 이에 파나비아 토네이도가 아니냐는 얘기까지 도는 중이다. 하지만 훈련은 지원하지만 공여는 하지 않는다는 후속 보도가 나왔다.
그리고 우크라이나가 네덜란드에게 F-16의 공여를 요청하였다.
폴란드가 F-16 공여를 번복하기 시작하였다.
그리고 유로파이터 타이푼 훈련이 시작되었다는 이야기가 돌았지만 후속 소식은 나오지 않았다.#
파나비아 토네이도 IDS나 A-11의 공여를 이탈리아에서 검토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폴란드에서 F-16 훈련을 지원한다고 한다.
우크라이나 측이 MiG-29 공여도 좋지만 F-16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현재 공여와는 별개로 F-16 정비공 훈련을 하고 있으며 소수의 조종사들이 시뮬레이터 훈련까지 마쳤다고 한다. 아마 전체 훈련까지 6개월 이내로 마칠 수 있을 거라고 한다.
그리고 슬로바키아가 MiG-29 13대 전기, 폴란드가 MiG-29 4대를 공여하였다. 폴란드가 그 이후 10대를 추가 공여할 예정이라고 한다.
네덜란드가 F-16 공여 관련해 파트너들과 협상 중이라고 한다. 다만 실제 공여 결정에는 미국, 영국, 덴마크의 동의 또한 필요한 상황이라고 했다. 친우적 성향이 강한 국내 밀리터리 커뮤니티에서는 F-16AM/BM이 아니냐며 불평불만을 쏟아냈는데, 애초에 네덜란드가 가진 F-16은 그것밖에 없었으니 당연한 결말.
한편 F-16 공여가 크게 도움을 주지 않는다고 전직 F-16 조종사가 밝혔다. 전력에 도움을 줄 수는 있지만 게임 체인저는 아니라고 한다.#
영국에서 최초의 우크라이나 조종사 10명이 F-16 조종에 대한 기초 비행 훈련과 시뮬레이터, 영어 교육을 마치고 프랑스로 이동시킨다는 뉴스가 나왔다.# 거기다 영국이 공개한 사진에선 이들이 영국제 초등훈련기 G115를 타는 모습이 있는데, 동/서간 항공기 운용법 차이가 크다고 해도 굳이 초등훈련기부터 태우는 것도 의문점이라고 했는데, 이들 중 절반이 평생 비행기를 타 본 적 없는 초짜 사관생도들이어서 그렇다고 한다.
7월 31일, 네덜란드에서 F-16 전투기 6기가 처음으로 우크라이나로 인도됐다.#
젤렌스키 대통령이 F-16 도입 사진을 공개했는데, 네덜란드가 아닌 덴마크 공군의 F-16에 우크라이나 공군 라운델을 부착한 형태의 기체들을 공개하여, 우선 최초 운용분은 덴마크 공군 분량으로 추정된다. (덴마크 공군의 일부 F-16은 Have Glass V 형태의 단일 회색 도장을 시도한 적 있는데 그 형태로 이러한 형태 도색은 미군과 덴마크군, 그리고 요르단군만 현재 운용 중인 상태다. 또한 네덜란드 공군 F-16AM은 수직미익에 드래그 슈트가 있는데 공개된 사진에는 없는 형태다.)
#
겨우 받은 소수의 F-16 중 한 대가 도입된 지 얼마 안 된 시점에 추락했고, 덕분에 올릭시이 메스라는 최고의 조종사로 여겨졌던 조종사가 사망했다.#
3.2. 지원기
기종 | 구분 | 제조국 | 보유 | 계획 | 기타 |
특수항공기 | |||||
Su-24MR | 정찰기 | 소련 | 10대 이상 | ||
An-30B | 정찰기 | 우크라이나 | 3대 | ||
L-39 M/C | 훈련기 | 체코슬로바키아 | 32~47대 | ||
Khaz-30 | 훈련기 | 우크라이나 | 4대 | ||
Be-12 | 대잠초계기 | 소련 | 2대 | ||
사브 340 AEW&C | 공중조기경보기 | 스웨덴 | 2대 | 스웨덴 공여 | |
Tu-141 | UAV | 소련 | 50대 | ||
Tu-143 | UAV | 소련 | 66대 | ||
A1-CM | UAV | 우크라이나 | 40대 이상 | ||
AN-BK-1 | UAV | 우크라이나 | 데이터 없음 | ||
RQ-11 Raven | UAV | 미국 | 72대 | ||
Bayraktar TB2 | UAV | 터키 | 12대+ | 기존 12대에서 터키로부터 더 많은 물량이 입고되었다.# | |
BpAK-MP-1 | UAV | 우크라이나 | 33대 | ||
Vector | UAV | 독일 | 1대 이상 |
3.3. 헬리콥터
기종 | 구분 | 제조국 | 보유 | 계획 | 기타 |
헬기 | |||||
Mi-2 MSB/MSB-V | 다목적헬기 | 소련, 우크라이나 | 3대 | ||
Mi-8 MT/MSB/MSB-V (Mi-17) | 다목적헬기 | 소련, 우크라이나 | 81대 | 4대 | 크로아티아 25대 공여 |
Mi-24 P/B/VP/PM/PU1,2/V/K | 공격헬기 | 소련 | 34대 | 25대 | 북마케도니아 12대, 체코 24대 공여 등 |
Mi-9 | 지휘헬기 | 소련 | 4대 | ||
Mi-8MTYu | 수면 수색용 헬기 | 소련 | 1대 | # | |
Ka-32 | 다목적헬기 | 소련 | 6대 | 포르투갈 공여 | |
SH-3 시킹 | 대잠헬기 | 영국 | 3대 | 6대 | 영국, 독일 공여 |
UH-60 | 수송헬기 | 미국 | 2대 | 1대 공여주체 불명, 1대 전 세계에서 모인 후원금을 모아 자원봉사자들이 전달 |
3.4. 수송기
기종 | 구분 | 제조국 | 보유 | 계획 | 기타 |
수송기 | |||||
An-24 | 여객기 | 우크라이나 | 3대 | ||
An-26 | 중형수송기 | 우크라이나 | 22대 | ||
An-70 | 대형수송기 | 우크라이나 | 1대 | ||
IL-76MD | 대형수송기 | 소련 | 0대 | ||
Tu-134AK | 여객기 | 소련 | 1대 | ||
An-32B | 중형수송기 | 소련 | 2대 | 크로아티아 공여 |
3.5. 방공 장비
기종 | 구분 | 제조국 | 보유 | 계획 | 기타 |
우크라이나 공군의 방공장비 | |||||
S-125 | 중거리 지대공 미사일 | 소련, 우크라이나 | 24대 | S-125-2D1 개량형 | |
S-300V1 | 장거리 지대공 미사일 | 소련 | 8대+ | 내전 이후 재취역 | |
S-300PT/PS/PMU | 장거리 지대공 미사일 | 소련 | 250대[11] | ||
9K37 부크-M1 | 중거리 지대공 미사일 | 소련 | 72대 | ||
2K12 쿠프(-3D,-M) | 중거리 지대공 미사일 | 소련, 우크라이나 | 42대 | 내전 이후 재취역 | |
9K330 TOR | 단거리 대공 미사일 | 소련 | 16대 | 내전 이후 재취역 | |
IRIS-T SLM[12] | 중거리 지대공 미사일 | 독일 | 5개 포대 | 7개 포대 | - |
MIM-23 호크 | 중거리 지대공 미사일 | 미국 | 14대 | 6대 | 스페인, 미국 공여 |
아스파이드 2000 | 중거리 지대공 미사일 | 이탈리아 | 5+대 | 스페인, 이탈리아 공여 | |
NASAMS | 단-중거리 지대공 미사일 | 미국, 노르웨이 | 6대 | 13대 | 미국, 캐나다, 노르웨이, 리투아니아 공여 |
RIM-7 시스패로우 | 단거리 지대공 미사일 | 미국 | 미사일 ?대 | 미국 공여, 9K37 부크 플랫폼 사용 추정 | |
SAMP/T | 장거리 지대공 미사일 | 프랑스, 이탈리아 | 1개 포대 | 1개 포대 | 프랑스, 이탈리아 공동 공여 |
MIM-104 패트리어트 | 장거리 지대공 미사일 | 미국 | 5개 포대 | 3개 포대 | 미국, 독일, 네덜란드, 루마니아 공여 |
2000년대 초반까지 방공군이 독자적인 군종이었으나 이후 공군에 통합됐으며 소련 붕괴 이후 자체적으로 개량하여 S-125M는 신형 미사일 사용시 거리 45 km, 교전거리 고도 25 km에 목표 4개와 동시교전할 수 있는 성능이다.
2022년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중 러시아군의 공습으로 우크라이나 공군은 S-300 발사차량 최소 49대, 부크-M1 발사차량 9대를 잃었음이 확인되었다.
4. 편제
(항공 부대)* 제7전술항공여단(Su-24M(R), 스타로코스탼티니우, 흐멜니츠키)* 제15수송항공여단(보리스필 국제공항)* 제25수송항공여단(구 멜리토폴)* 제39전술항공여단(Su-27, 오제르네, 지토미르)* 제40전술항공여단 "키이우의 유령"(MiG-29, 바실키우, 키이우)* 제114전술항공여단(MiG-29, F-16 추정, 이바노프란키우스크)* 제203훈련항공여단(L-39 등, 추후이우)* 제204전술항공여단(MiG-29, F-16, 루츠크)* 제299전술항공여단(Su-25, 쿨바키노, 미콜라이우)* 제383무인항공여단(바이락타르 TB2 등, 흐멜니츠키)* 제456수송항공여단(빈니차)* 제831전술항공여단(Su-27, 미르호로드, 폴타바)
(대공미사일 부대)* 제96대공미사일여단(패트리어트 미사일)* 제138대공미사일여단(패트리어트 미사일)* 제160대공미사일여단* 제201대공미사일여단* 제208대공미사일여단* 제11대공미사일연대* 제156대공미사일연대* 제210대공미사일연대* 제223대공미사일연대* 제301대공미사일연대* 제302대공미사일연대* 제540대공미사일연대
(무선 기술 부대)* 제1무선기술여단* 제14무선기술여단* 제19특수목적무선요격여단* 제138무선기술여단* 제164무선기술여단
(통신부대)* 제31통신연대* 제43통신연대* 제57통신연대* 제76통신연대* 제101통신연대* 제182통신연대(전자전 부대)* 제17전자전대대* 제1194전자전대대* 제2204전자전대대
(공군 지상군)* 공군소총병여단* 제28비행장 공병대대* 제352비행장 공병대대
5. 관련 문서
- 군사력
- 무기 관련 정보
- 2002년 우크라이나 르비우 국제공항 공군 에어쇼 참사
- 키이우의 유령: 도시전설
- 스테판 타라발카: 전쟁 영웅
- 올렉산드르 옥산첸코: 전쟁 영웅
- 미콜라 올렉시추크: 전 사령관
[1] 단, 이 수량은 헬기, 무인기등 뜰 수 있는 항공기는 전부 다 포함한 수량이다.[2] 국방부에서는 사실무근이라고 밝혔지만, 당장 대한민국 공군도 2014년 3월에 보도된 기사에 의하면 노후화 된 F-4 팬텀 II 전투기 계열과 KF-5 제공호를 포함한 F-5 전투기 계열의 퇴역으로 줄어들 전투기 수량을 보충하고 전력 공백의 최소화하기 위한 여러 방안들 중에 미군의 중고 F-16을 임대할 계획도 있던 것으로 보였는데 이후 2015년 기사에 의하면 미 공군도 F-22 전투기가 애초 계획에 비해 턱없이 모자란 수량만 생산되어 이 영향으로 F-15E가 그 공백을 메우고 있고 F-16 전투기 역시 F-35의 전력화가 늦어진 영향으로 전투기를 임대가 쉽지 않을 것이라고 밝힌 상황이라서 임대 방안은 사실상 실패하였다.[3] 소련 해체 당시 74대를 물려받았으나 현재는 대다수를 비축하고 있으며 일부는 미국한테 테스트 용도로 넘어갔다.[4] 2024년 11월을 기준으로 최소한 10대 가량을 손실했다. 2016년 기준으로 우크라이나 공군이 비축 기체까지 포함해서 소유하고 있던 Su-27은 57대인데, 현재는 비축 처리된 기체까지 합쳐서 50여대 안팎이 남았을 것이라고 한다.#[5] 소련 해체 당시 수백 대(1992년을 기준으로 220여대#)를 물려받았으나 예산 부족, 부품 공급 중단, 기체 노후화, 부정부패로 인한 해외 판매 등으로 이 정도 수량을 운용 중이고, 비축한 15대-20대까지 합치면 60-70여 대를 보유했다고 추정된다. 물론 정확한 수량은 확인이 불가능하다.[6] 개전 당시에는 24대가 운용 가능한 상태였고, 최소한 47대가 우크라이나 전역에 비행불가 상태로 비축되어 있었다.#[7] 다른 전술기와 마찬가지로 보유 수량은 많은 편이지만 부품과 예산이 부족하여 가동률은 낮다. 개전 당시 30대가 현역이었다.[8] 불가리아 14대, 북마케도니아 4대[9] 루마니아 공여 예정이었으나 2023년 5월 최종 퇴역 이후인 2024년 11월 현재에도 감감무소식이다.[10] 덴마크 공여[11] 밀리터리 밸런스 2021년 판에 따르면 모든 파생형을 통틀어서 250대를 보유하였다고 하니 방공망 수준은 대단했던듯하다. 후에 2014년 크림 합병으로 발사대 34대를 잃었고,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중 최소 발사차량 49대가 파괴되었다.[12] 독일 지원 물자(최소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