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안토노프 항공(Авіалінії Антонова) | |
IATA | - |
ICAO | ADB |
항공사 호출부호 | ANTONOV BUREAU |
허브공항 | 호스토멜 공항 |
보유 항공기 수 | 9(+6)[1] |
모회사 | 안토노프 |
홈페이지 | |
[clearfix]
1. 개요
|
"No Other Name Carries More Weight" 어느 이름도 (우리보다) 더 많은 무게를 싣지 못한다. 안토노프 항공의 공식 슬로건 |
인천국제공항에도 매우 적은 횟수로 방문하고 있다.
2.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인한 피해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중 발생한 호스토멜 공항 전투로 인해 항공사의 기함이었던 An-225를 포함해 거의 모든 보유 항공기들이 손상을 입거나 파괴되는 손실을 입었다.[4]때문에 항공사의 운송 역량이 급격히 줄어들어 전쟁이 끝난 이후에도 앞으로의 전망이 매우 불분명해진 상황이다.전쟁으로 인해 파괴 또는 손상된 안토노프 항공 소속 기체들의 모습
3. 보유 기종
|
안토노프 항공의 아기 불곰 삼형제. |
안토노프 항공 소속 기체들의 평균 기령은 2022년 기준으로 32년이다. 특수 화물과 대형 화물을 위주로 운영한 항공사인 만큼 주로 대형 화물기나 특수 개조된 항공기들을 주로 운용했다.
3.1. 현재 운항 중인 기종
- 안토노프 An-124-100(M) 5대
3.2. 과거 운항 기종
- 안토노프 An-22 1대[손상][]유일한 우크라이나 소속이자 현재까지 비행이 가능한 전체 4대의 비행기들 중 한대인 An-22A 기체 (등록기호 UR-09037).]
- 안토노프 An-124 1대[손상][10]An-124-100M-150의 유일한 기체 (등록기호 UR-82009).]
- 안토노프 An-132 1대[손상]
- 안토노프 An-12 3대 [퇴역][손상][14]
- 안토노프 An-178 1대 [퇴역][16] - 우크라이나 본사에 위치해 있던 항공기들 중 다른 장소에 있어 유일하게 화를 면한 기체이다.[17]
-
안토노프 An-225 1대[파괴][]유일한 An-225 기체 (등록기호 UR-82060).] 안토노프 An-261대 [퇴역][파괴]안토노프 An-74 1대[퇴역][파괴]
3.3. 주요 사진
|
UR-82009, An-124-100M-150[손상] |
UR-09307, An-22A[손상] |
|
[1] 퇴역 및 보존 중인 기체들 포함.[2] IATA 코드는 GML이고, 화물 전용 공항이다.[3] 현재는 전쟁으로 인해 파괴되었다. 문서 참조.[4] 당시 해외로 파견 나가있던 An-124 5대와 운 좋게 생존한 An-178 1대를 제외한 보유기종의 약 3분의 2가 비행이 불가한 상태가 되었다.[5] 특히 An-225와 An-22는 딱 한 대씩밖에 없으니 애지중지하지 않을 수가 없었다.[6] 사실 An-22는 현재까지 총 4대가 비행이 가능한 상태이지만, 그 중 3대를 소련 해체 이후부터 대적하던 숙적이 운용하고 있는지라(...)[손상]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인해 경미한 손상을 입음, 현재 운항 불가.[] [손상] [10] An-124-100의 최대 중량을 늘린 최신 개량형인[손상] [퇴역] [손상] [14] 1대 화재로 인한 손상, 현재 운항 불가.[퇴역] [16] An-148의 군용 화물기 사양인 An-178의 프로토타입이다.[17] 2019년 이후부터 안토노프 본사와 함께 붙어있는 키이우 스비아토신스키 지역의 스비아토신 공항에 보관 중#. 사실 이 기체도 키이우 도심 가까이에 보관되어 있었기 때문에 키이우 전투가 우크라이나군의 패배로 끝났거나 러시아군이 직접 포격 등을 가했다면 역시 화를 피하지 못했을 것이다.[파괴] [] [퇴역] [파괴]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인해 발생한 호스토멜 공항 전투 도중 공습으로 인해 파괴.[퇴역] [파괴] [파괴] [손상] [손상] [파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