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8-12 21:52:21

싱가포르 공군

파일:싱가포르 육군기.png 파일:싱가포르 해군기.svg 파일:싱가포르 공군기.svg
싱가포르 육군
SA
싱가포르 해군
RSN
싱가포르 공군
RSAF

<colbgcolor=#fff> 싱가포르 공군
Republic of Singapore Air Force (RSAF)
新加坡共和國空軍 | 新加坡共和国空军
Angkatan Udara Republik Singapura
파일:싱가포르 공군기.svg 파일:싱가포르 공군 휘장.svg
깃발 엠블럼
창설일 1975년
소속 싱가포르군
병력 8,000명
참전
사령관 소장 켈빈 콩
웹사이트 파일:싱가포르 공군 휘장.svg

1. 개요2. 상세3. 전력4. 관련 문서5.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싱가포르공군.

2. 상세

싱가포르군의 모든 항공기는 싱가포르 공군에서 운용한다.

상당수의 국가에선 육군 항공대에서 운용하는 공격헬기와 해군 항공대에서 운용하는 해상초계기도 싱가포르군은 공군이 맡는다. 공군이 국가의 모든 군용 항공기를 독식하는 것은 러시아 항공우주군/우크라이나 공군구소련 공군 그리고 구소련의 영향이 짙은 조선인민군 공군도 똑같다. 구 공산권과 달리 제1세계 국가지만 군 규모가 작아서 불가피하게 구소련의 통합 항공 운용방식을 벤치마킹한 것이다.

섬나라지만 조호르 제방을 통해 말레이시아와 육지로 연담되고 북쪽 해협은 좁은 반면 남쪽의 말라카 해협은 넓은 싱가포르의 특이한 특성 상 사실 싱가포르군의 메인은 공군이다. 공군이 해상초계기를 운영하기 때문이다. 싱가포르인들도 가장 좋아하는 군대로 공군을 많이 뽑는다. 시내에서는 잊을 만 하면 초계비행하며 빌딩 숲 위로 고공을 비행하는 F-15 전투기의 굉음을 들을 수 있다. 심지어 공군기지가 가까운 동쪽 칼랑 및 베독 일대에서는 공군 소속 수송기공중급유기, 해상초계기 등이 파야레바 비행장에 이착륙하려 저공비행하는 모습도 흔히 볼 수 있다.[1]

주요 기지는 파야 레바 공군기지(Paya Lebah Air Base) 및 싱가포르 창이 공항, 틍가 공군기지(Tengah Air Base)[2]이다. 창이는 인천국제공항, 나리타 국제공항/하네다 국제공항 등 한국과 일본의 주요 국제공항과 달리 민군 겸용으로 이 공항 활주로는 촬영할 수 없다. 그리고 공항 청사에서 공군 군복을 입은 사람들을 흔히 볼 수 있다.

싱가포르 공군은 크게 지상 방공포 전력과 항공전력을 갖고 있다. 공군의 육상전력으로는 한국군은 육군이 운용하는 자주방공포가 있으며 항공전력은 F-15, F-16등 최첨단 전투기들과 C-130 수송기, 공격헬기를 비롯한 각종 헬리콥터 및 드론 전력 등이 있다. 나라가 작아 군 규모도 작아서 항공전력은 모두 공군이 전문적으로 운용하는 것이다. 그리고 해군이 해안선 방어[3]를 전담하듯 공군도 고도와 무관하게 방공임무를 전담해 타 국가는 육군이나 해군이 전담하는 저고도 방어[4]도 공군이 모두 전담해 공군에 자주대공포가 존재한다.[5]

1968년 영국 공군에 항공 방어를 의존하던 상황에 난데없이 영국이 1971년까지 수에즈 운하에서 철수한다는 발표를 하는 바람에 위기감을 느껴 그해 9월 1일 싱가포르는 싱가포르 방공사령부(SADC)를 창설한다. 이는 7년 후인 1975년 싱가포르 공화국 공군(Republic of Singapore Air Force, RSAF)으로 개칭하였다.

싱가포르는 도시국가란 특성 때문에 기지가 부족해 미국, 영국, 프랑스, 호주, 태국, 대만 등에 이를 대여하여 훈련용으로 쓴다. 이런 국외 전력이 적의 후방을 공격하거나 싱가포르 본토가 적에게 완전히 장악되었을 때 최후의 발악용으로 쓰인다는 주장이 있다. 그러나 이는 싱가포르 공군의 전술기 100대 중 24대에 불과한 수량이며 이마저도 전부 미국 본토에 있는 상태라 인접국에게 유의미한 공격을 가하려면 싱가포르와 가까운 우방국들의 협조가 필수적일 것이다.[6]

또한 곡예비행팀 블랙 나이트를 운영하고 있었다. 싱가포르 공군 곡예비행팀은 매년 8월 10일 싱가포르 독립기념일(National Day)에 싱가포르 전 지역을 비행하며 에어쇼를 벌이며 이를 3개월 전부터 연습해서 도심에서 전투기 소음을 자주 들을 수 있다.[7] 블랙 나이트 팀은 싱가포르의 적은 인구로 인한 만성적인 병력난을 이유로 2015년 이후로 비행팀이 해체된 상태이지만 이후 일반 비행대대들 중에 행사 지원부대가 차출되어서 공군의 곡예비행은 여전히 지속되고 있다.[8]

사실 인도네시아에서 친서방 성향의 수하르토가 집권하고 말레이시아와는 우호 관계로 긴밀해지면서 굳이 싱가포르가 저렇게 보복전에 집착할 이유가 없을 것 같지만, 현재 싱가포르는 명백히 중국 인민해방군을 노리고 있다. 시진핑 집권 후 노골적으로 중국이 태평양 진출을 위해 아세안 회원국들을 압박하고 있기에 그렇다.

그런만큼 싱가포르가 그나마 공격 목표로 삼을 수 있는 곳은 중국 최남단 하이난성중국 해군이 보유하고 있는 남중국해 스프리틀리 제도 상 기지 정도인데 사실 스프리틀리 제도면 몰라도 주변 동맹국인 말레이시아, 브루나이호주, 미 공군의 도움이 없는 독자적인 대 중국 보복전은 힘들다.

우선 하이난성 같은 경우엔 남쪽의 열대 지방이라 지도로만 보면 막연히 가까워 보이는 것이지 엄연히 2,000km 넘게 떨어진 거리[9]라 싱가포르 공군이 혼자서 진입할 수 없다.

더군다나 하이난섬은 스프래틀리 군도와 달리 중국의 육지 부분 영토이므로 괜히 공격했다가 본토 공격으로 간주해 더 큰 보복을 당할 경우엔 싱가포르 입장에서 매우 골치가 아파진다.[10]

따라서 싱가포르 입장에서 단독으로 벌일만한 가장 현실적인 방안은 남중국해 상 중국 해군 기지를 향한 기습 정도일 것이고, 정 중국 하이난성을 공격하고 싶다면 라부안, 쿠칭[11]말레이시아 공군의 기지나 똑같이 남중국해에 면한 동맹국인 브루나이의 공군기지를 사전에 대여하든지 급유/엄호 등에서 동맹군인 미합중국 공군 등의 협조가 필수적일 것이다.

동남아시아 국가 군대와 달리 F-15 /F-16 패키지 운영에 F-35 도입, 공중급유기로 A330 MRTT을 도입하는 등 전반적으로 대한민국 공군과 구조가 비슷하며, 실제로 교류가 잦은 편이다.

1990년에 상기 사진과 같은 붉은 사자라운델로 채택되었다. 사자는 싱가포르의 국수(國獸)로 사자 머리에 물고기 몸을 한 머라이언(Merlion)이라는 마스코트가 싱가포르의 국가 상징이라서 라운델 등 여기저기에 나라 상징으로 새겼다. 사자 문양은 대한민국에서의 무궁화 문양과 같다.

기술군 특성 상 타국 공군처럼 여군 비중이 아주 높으며 창이공항에는 공군 군복을 입고 돌아다니는 여군을 볼 수 있고 공군기지인 파야레바 비행장이 가까운 북쪽의 이슌, 셈바왕[12] 및 틍가 공군기지 근처인 초아추캉과 주롱웨스트 등 서부 등에서는 해군기지가 있는 북쪽처럼 출퇴근하거나 잠시 밥 먹으러 나온 여군들을 볼 수 있다. 지원병과로 주로 입대하는 싱가포르 여군의 특성 상 정비나 항공관제 등 기술 수요가 많은 공군에 여군이 가장 많다.[13]

3. 전력

파일:싱가포르 공군 라운델.svg 현대 싱가포르군 항공병기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0px;"
싱가포르군 (1965~현재)
Singapore Armed Forces | Angkatan Bersenjata Singapura
<colbgcolor=#EE2536> 회전익기 <colbgcolor=#EE2536> '''[[무장헬기|
경헬기
]]'''
AS350 B 에큐워이R | SA.316B 알루에트 IIIR
'''
다목적 헬기
'''
H225M 카라칼 | AS332 M1 슈퍼 퓨마 | 벨 212R | UH-1(B/H) 이로쿼이/휴이R | AB 205AR
수송헬기 CH-47(CR/SD/F) 치누크
공격헬기 AH-64SG 아파치
대잠헬기 S-70B 시호크
'''[[전투기|
전투기
]]'''
'''[[2세대 전투기|
2세대
]]'''
헌터 (FGA.74 · FR.74A/B)R
'''[[3세대 전투기|
3세대
]]'''
F-5(E/F) → F-5S 타이거 IIR
'''[[4세대 / 4.5세대 전투기|
4(.5)세대
]]'''
F-16(C/D/D+) 블록 52 파이팅 팰콘 | F-15SG 스트라이크 이글 | F-16(A/B) 블록 15 OCUR
'''[[5세대 전투기|
5세대
]]'''
{F-35(A/B) 라이트닝 II}
공격기 A-4(S/S-1) → A-4SU 슈퍼 스카이호크R | 스트라이크마스터 Mk.84R
'''[[정찰기|
정찰기
]]'''
전술 RF-5E 타이거아이R
'''[[수송기|
수송기
]]'''
경량 포커 50 UTA | SC.7-3M-400 스카이밴R
전술 C-130H 허큘리스
'''
지원기
'''
'''[[공중조기경보통제기|
조기경보기
]]'''
G550 CAEW | E-2C 호크아이R
'''[[공중급유기|
공중급유기
]]'''
KC-30A | KC-135R 스트라토탱커R | KC-130(B/H)
'''[[대잠초계기|
해상초계기
]]'''
포커 50 MPA "인포서"
'''[[무인기|
무인기
]]'''
'''
SUAV
'''
클래스 1 - 소형
RQ-27 스캔이글 | ADS 오비터 4 | 타드리안 마스티프R
'''
UAV
'''
클래스 2 - 전술형
헤르메스 450 | IAI 서쳐R | IAI 스카우트R
클래스 3 - MALE급
헤르메스 900 | 헤론-1
'''
훈련기
'''
프롭 PC-21 | 세스나 172R | SF.260MSR
제트 M-346A 마스터 | TA-4(S/S-1) → TA-4SUR | 제트 프로보스트 T.52R | 헌터 T.75(A)R | T-33AR
헬기 EC120B 콜리브리
※ 윗첨자R: 퇴역 기종
※ {중괄호}: 도입 예정 기종
※ 윗첨자: 해당 군 운용 (육군/해군/공군), 표기 없을 시 공군
}}}}}}}}}


파일:1000020094.jpg

파일:1000020083.jpg

싱가포르 공군의 전술기
이름 종류 제조국 운용 비축 추가 비고
F-35A 전투기 미국 - - 8기
F-35B 전투기 미국 - - 12기
F-15SG 전투기 미국 40기 - -
F-16C/D Block 52+ 전투기 미국 60기 - -
파일:1000020093.jpg
싱가포르 공군의 지원기
이름 종류 제조국 운용 비축 추가 비고
G550 AEW 공중조기경보통제기 미국 / 이스라엘 4기 - -
포커 50 해상초계기 네덜란드 5기 - -
KC-130B/H 공중급유기 미국 5기 - -
KC-30A 공중급유기 유럽 6기 - -
파일:1000020095.jpg
싱가포르 공군의 수송기
이름 종류 제조국 운용 비축 추가 비고
C-130H 전술수송기 미국 5기 - -
포커 50 수송기 네덜란드 5기 - -
파일:1000020096.jpg
싱가포르 공군의 헬리콥터
이름 종류 제조국 운용 비축 추가 비고
AH-64D 공격헬기 미국 17기 - -
CH-47SD 수송헬기 미국 26기 - -
H225 수송헬기 프랑스 - - 16기
AS332 수송헬기 프랑스 32기 - -
S-70B 대잠헬기 미국 8기 - -
파일:1000020097.jpg
싱가포르 공군의 훈련기
이름 종류 제조국 운용 비축 추가 비고
M-346 고등훈련기 이탈리아 12기 - -
PC-21 훈련기 스위스 19기 - -
EC120 훈련기 프랑스 5기 - -

4. 관련 문서

5. 둘러보기

세계의 공군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동아시아 파일:대한민국 공군 마크.svg 대한민국 | 파일:북한 공군 상징.png 북한 | 파일:중공 공군 상징.png 중국 | 파일:대만 공군 엠블럼.svg 대만 | 파일:항공자위대 마크.svg 일본(준군사조직)
동남아시아 파일:태국 공군 엠블럼.svg 태국 | 파일:싱가포르 공군 휘장.svg 싱가포르 | 파일:필리핀 공군 엠블럼.svg 필리핀 | 인도네시아 | 말레이시아
서아시아 파일:이란 공군 엠블럼.svg 이란 | 파일:이스라엘 공군 엠블럼.svg 이스라엘 | 파일:튀르키예 공군 상징.svg 튀르키예 | 사우디아라비아 | 파일:아제르바이잔 공군 상징.png 아제르바이잔 | 카타르
남아시아 파일:인도 공군 상징.png 인도
동유럽 파일:러시아 항공우주군 휘장.svg 러시아 | 파일:우크라이나 공군 엠블럼.svg 우크라이나 | 파일:벨라루스 공군 및 방공군 엠블럼.svg 벨라루스 | 루마니아
서유럽 파일:220px-Logo_of_the_Royal_Air_Force.svg.png 영국 | 파일:프랑스 항공우주군 로고.svg 프랑스 | 파일:네덜란드 공군 상징.png 네덜란드 | 벨기에
중부유럽 파일:독일 공군 로고.svg 독일 | 파일:스위스 공군 엠블럼.svg 스위스 | 파일:폴란드 공군 엠블럼.svg 폴란드 | 파일:체코 공군의 엠블럼.png 체코 | 슬로바키아
남유럽 파일:Coat_of_arms_of_the_Italian_Air_Force.png 이탈리아 | 스페인 | 파일:포르투갈공군국장.png 포르투갈 | 그리스 | 파일:아제르바이잔 공군 상징.png 몬테네그로 | 파일:세르비아 공군 및 방공군 엠블럼.svg 세르비아 | 슬로베니아
북유럽 덴마크 | 파일:노르웨이 공군 엠블럼.svg 노르웨이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40px-Flygvapnet_vapen_bra.svg.png 스웨덴 | 라트비아
아프리카 이집트 | 파일:모로코 공군 상징.png 모로코 | 파일:나이지리아 공군 상징.png 나이지리아 | 남아프리카 공화국 |파일:faa2.png 앙골라 | 차드 | 에티오피아
아메리카 파일:US air-force-logo.png 미국 | 파일:캐나다 공군 엠블럼.png 캐나다 | 파일:멕시코 공군 상징.png 멕시코 | 파일:브라질공군문양.png 브라질 | 파일:칠레 공군 로고.png 칠레 | 페루
오세아니아 호주
※ 독립된 문서가 있는 공군만 링크. 그 외 각국 공군은 틀:세계의 군대 참고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color=#e81b2c><colbgcolor=#fff>상징<colcolor=#000,#fff>국가 · 국기 · 머라이언
정치 정치 전반 · 싱가포르 대통령 · 싱가포르 총리 · 싱가포르 정부(공무원) · 싱가포르 국회 · 탐오조사국
외교 외교 전반 · 싱가포르 여권 · 영연방 · ASEAN· TPP · IPEF · APEC · 영미권 · 말레이권 · 중화권 · 미국-싱가포르 관계 · 영국-싱가포르 관계 · 호주-싱가포르 관계 · 한국-싱가포르 관계 · 대만-싱가포르 관계 · 중국-싱가포르 관계 · 홍콩-싱가포르 관계 · 일본-싱가포르 관계 · 말레이시아-싱가포르 관계 · 인도네시아-싱가포르 관계 · 인도-싱가포르 관계 · 싱가포르 비자
경제 경제 전반 · 싱가포르 달러 · 아시아의 네 마리 용 · 테마섹 · 싱가포르 거래소 · OCBC · 싱가포르개발은행· 싱가포르 텔레콤 · 싱가포르 포스트 · 블루힐릭스
국방 싱가포르군(육군 · 해군 · 공군 · 징병제) · 싱가포르 경찰청 · 싱가포르 주재 미군 · 싱가포르 주재 영국군 · 파야 레바 공군기지 · 셀레타 공항
교육 교육 · 싱가포르 국립대학 · 난양이공대학 · 싱가포르 경영대학 · 싱가포르 사회과학대학
행정구역 행정구역 전반(중구사회발전이사회 · 동북사회발전이사회 · 서북사회발전이사회 · 동남사회발전이사회 · 서남사회발전이사회)
문화 언어 · 종교 · 사회 · 요리(싱가폴 슬링) · 싱가포르 국립 경기장 · 싱가포르 축구 국가대표팀· 싱가포르 그랑프리 · 중국어(표준 중국어 · 호키엔어 · 광동어 · 객가어) · 영어 · 싱가포르식 영어 · 마인어 · 타밀어 · 미디어코프 · CNA · 연합조보 · 싱가포르 영화 · 싱가포르 엑스포 · 한자(간체자 · 번체자)
인물 리콴유 · 리셴룽 · 로렌스 웡
교통 싱가포르 창이 공항 · 셀레타 공항 · 항공사(싱가포르항공 · 스쿠트 항공 · 젯스타 아시아) · 싱가포르 항만공사 · 싱가포르 MRT(싱가포르 LRT) · 말레이 철도 · SMRT · SBS Transit · Land Transport Authority· 우드랜즈 역
관광 관광
민족 싱가포르인(중국계 싱가포르인 · 말레이계 싱가포르인 · 인도계 싱가포르인 · 베트남계 싱가포르인)
기타 싱가포르 주택개발청
}}}}}}}}} ||


[1] 그 덕에 칼랑과 카통, 베독 등 동부 일대에는 고도제한이 빡세게 걸려있다.[2] 틍가(Tengah)는 말레이어 지명으로 말레이어의 특성상 Teng은 텡이 아닌 틍으로 발음된다. 말라카(Melaka)도 원래는 믈라카로 발음된다.[3] 정확히는 군항 방어를 말한다. 민항 등 일반 해안선은 싱가포르 경찰 해안경비대가 경계한다.[4] 적 낙하산 부대나 경비행기, 드론, 혹은 저공비행하는 전투기 등을 격추시키는 임무를 뜻한다.[5] 한국군의 경우 대한민국 육군 방공 병과가 천마/비호 자주대공포를 운용한다. 한국군은 육군이 저고도, 공군이 중/고고도를 전담하는 것으로 이분되고 해안선 저고도 방공은 해군이 맡아서 대한민국 해병대 포병여단에 방공대대가 존재한다.[6] 같은 동남아시아에선 반공전선으로 묶인 말레이시아브루나이가 있으며 조금 멀리가면 대한민국, 일본, 대만, 호주 등이 있다. 이들 모두 싱가포르 공군에 비행장 및 급유 등을 지원해줄 수 있다. 특히 대만의 타이중 공군기지는 싱가포르 공군도 대여하여 사용하는 곳이다.[7] 참고로 싱가포르 도심지역은 비행금지구역으로 원래 항공기 진입을 엄금하며 진입 시 적기로 간주하고 격추 대상이 된다. 싱가포르를 오가는 국제선 항공기들은 그래서 마리나 베이 남쪽 먼 바다로 우회해서 다닌다. 조호르바루에서 이착륙하는 일부 말레이시아 국내선은 싱가포르 영공에 진입하지 않게 비행경로를 엄청 꺾어서 다닌다. 반대로 싱가포르를 오가는 국제선 항공기들도 싱가포르의 좁은 공역 때문에 자칫 무단으로 인도네시아나 말레이시아 영공에 진입할 위험이 있어 관제 시 매우 주의한다.[8] 덕분에 5월 말~8월 초 사이 싱가포르에 가면 전투기 소음을 자주 들을 수 있다.[9] 서울(인천)~오키나와/타이베이(타오위안) 항로가 2,000km 정도 나온다. 인천-타이베이 비행시간이 2시간 10분 정도니까 먼 거리는 아니지만 공군 전투기가 우방국의 급유/엄호 등의 지원이 없이 독자적 군사행동을 할 만한 거리는 절대 아니다.[10] 중국 인민해방군 로켓군의 주력 준중거리 탄도탄인 DF-21은 싱가포르까지 사거리가 닿으며, 핵 탑재까지 가능하므로 도시국가인 싱가포르 입장에선 엄청난 위협이다.[11] 라부안과 쿠칭 등이 속한 동말레이시아는 남중국해 연안이다.[12] 이름과 달리 파야레바 비행장은 진짜 파야레바가 아닌 이슌이나 셈바왕과 가깝다. 정작 파야레바에서는 바로가는 버스도 없다.[13] 당연히 자녀가 있는 애엄마들도 많아서 공군기지 근처 동네에서는 본인 출근길에 자녀를 유치원/학교에 라이드해주고 출근하는 여군 장병들도 꽤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