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의 연구발주중인 합동특수작전사령부에 대한 내용은 합동특수작전사령부(대한민국) 문서 참고하십시오.
||<tablebordercolor=#00518f><tablewidth=100%><bgcolor=#00518f> 미군의 특수작전부대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
[[미합중국 합동특수작전사령부| 합동특수작전사령부 ]] JSOC / ✯✯✯ | <colbgcolor=#fcfaf5,#2d2f34> 1st SFOD-D | DEVGRU | 24th STS | ISA | |
[[미합중국 육군특수작전사령부| 육군특수작전사령부 ]] USASOC / ✯✯✯ | 그린 베레 | 육군 레인저 | SOAR | |
해군특수전사령부 NSWC / ✯✯ | 해군특전단 | 제4해군특전단 | |
공군특수작전사령부 AFSOC / ✯✯✯ | 제24특수작전비행단 | |
해병특수작전사령부 MARSOC / ✯✯ | 레이더연대 | }}}}}}}}} |
미합중국 합동특수작전사령부 Joint Special Operations Command JSOC | |
<colbgcolor=#f5f8fa,#b0c4de><colcolor=#000,#fff> 창설 | 1980년 11월 12일 |
분류 | 특수작전사령부 |
국가 | [[미국| ]][[틀:국기| ]][[틀:국기| ]] |
소속 | 미합중국 특수작전사령부 |
본부 | 노스캐롤라이나 주, 포트 브래그 |
규모 | 약 4,000명 추정[1] |
사령관 | 프랭크 M. 브래들리 (해군 중장) |
사령부 주임원사 | OOO O군원사 |
[clearfix]
1. 개요
1980년에 창설된 미합중국 합동특수작전사령부는 1등급(Tier 1)의 특수임무부대(SMU) 및 합동특수작전부대(JSOTF)를 지휘하고 각종 특수전 관련 사항 등을 다루는 기능 사령부이며, 지휘 계통은 미합중국 특수작전사령부(USSOCOM)를 따른다.2. 상세
이는 1980년 이란에서 실패로 종결된 독수리 발톱 작전(Operation Eagle Claw)의 영향을 받아 찰스 베크위스(Charlie Beckwith) 대령의 제안을 통해 1980년에 창설되었다.JSOC의 주요 역할은 전세계적으로 투입되는 1선 부대들의 지휘 외에도 각종 특수전과 관련된 전술과 장비를 연구하고 이들의 합동 훈련을 지휘한다. 또한 작전 실행 중에 통신의 혼선을 방지하기 위해 JSOC 예하의 합동통신부대(JCU)에서 표준화시킨 절차를 따른다.
본부는 미합중국 육군 공수부대와 특수부대의 성지라 불리는 미국 노스캐롤라이나 주 포트 브래그(Fort Bragg) 근처의 포프 필드(Pope Field) 비행장 내에 주둔하고 있다.
JSOC에서 특정 임무의 시행은 모두 부대 내에서 자체적으로 판단하여 그 여부를 직접 결정하며[2], 모든 전술적 결정은 사령부가 아닌 현장 지휘관 및 오퍼레이터들에게 일임된다. 특정 임무의 속행, 연기는 모두 현장에 직접 나가있는 오퍼레이터들이 스스로 결정하고, 아무리 상급 지휘관이라도 그 임무에 관해서는 참견할 권한이 없다. 이는 오퍼레이터의 전문성을 지휘부가 신뢰하기 때문이다.
일반인들은 잘 모르지만, JSOC을 포함한 SOCOM의 인원 전반이 미 대통령 위험지역 순방 시에 항상 함께한다. 단순 경호는 시크릿 서비스가 존재하는데, 굳이 이들까지 따라와서, 그 것도 경호지원이랍시고 언론에 노출조차 안 되게 와서 무얼 할지는 대충 짐작 가능하다. 특히 분쟁 진행지역의 경우 더더욱 그러하다. 이들은 단순히 군사분야를 넘어서 경제, 국내외 치안 유지, 해외 정치/첩보 공작 및 군사외교 등 굉장히 많은 분야에 있어 관여한다.[3] 관련 예시를 하나 보고 싶다면 책 'CIA의 비밀전쟁(원제 'The Way of the Knife')'의 관련 내용을 정리한 글을 읽어보는게 도움이 될 것이다.
미합중국 특수작전사령부의 SMU(Special Mission Unit)인만큼, 5개의 눈 소속 국가 소속 특수작전부대인 영국 특수작전부대, 캐나다 특수작전전력사령부, 호주군 특수작전사령부, 뉴질랜드 특수작전구성사령부와 극도로 긴밀하게 협력한다. 특히 캐나다 특수작전전력사령부의 경우 미합중국 합동특수작전사령부 소속 티어 1 부대와 아프간 전쟁 당시 유일하게 연합작전했던 외국 부대이다.
2.1. 예하부대
- 특수임무부대(Special Mission Unit) - 1선 또는 1급(Tier 1)으로 분류되는 최정예 특수전 부대들은 주로 높으신 분들이 의뢰하는 미군의 극비 작전(Highly classified activities)을 주로 수행하며, 대중에 잘 알려져 있는 긍정적인 성과로는 고가치 표적인 사담 후세인의 생포, 오사마 빈 라덴과 아부 바크르 알바그다디의 암살이다.
- 미합중국 육군
- (통칭) 델타 포스[4]
- 제75레인저연대 직할 수색중대(75th Ranger Regiment's Regimental Reconnaissance Company)
- (통칭) Intelligence Support Activity
- 미합중국 해군
- 미합중국 공군
- 합동통신부대 / Joint Communication Unit
- 직할 정보여단 / JSOC Intelligence Brigade
- 항공전술평가단 / Aviation Tactics and Evaluation Group
- 합동항공부대 / Joint Aviation Unit
- 신호정보부대 / Signal Intelligence Unit
- 기술정보부대 / Technical Intelligence Unit
2.2. 역대 사령관
미합중국 합동특수작전사령관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rowcolor=#fff> 초대 | 제2대 | 제3대 | 제4대 |
육군 Richard Scholtes | 육군 Carl W. Stiner | 육군 Gary E. Luck | 육군 Wayne A. Downing | |
<rowcolor=#fff> 제5대 | 제6대 | 제7대 | 제8대 | |
육군 William F. Garrison | 육군 피터 슈메이커 | 육군 Michael A. Canavan | 육군 Bryan D. Brown | |
<rowcolor=#fff> 제9대 | 제10대 | 제11대 | 제12대 | |
육군 Dell L. Dailey | 육군 스탠리 매크리스털 | 해군 윌리엄 H. 맥레이븐 | 육군 조셉 보텔 | |
<rowcolor=#fff> 제13대 | 제14대 | 제15대 | 제16대 | |
육군 Raymond A. Thomas III | 육군 Austin S. Miller | 공군 Scott A. Howell | 육군 브라이언 펜턴 | |
<rowcolor=#fff> 제17대 | ||||
해군 Frank M. Bradley | }}}}}}}}} |
사진 | 이름 | 기간 | 계급 | 복무 | 비고 |
리처드 숄테스 (Richard Scholtes) | 1980년 12월~1984년 8월 | 육군 소장 | 퇴역 | ||
칼 W. 스타이너 (Carl W. Stiner) | 1984년 8월~1987년 1월 | 육군 소장 | 퇴역 | ||
게리 E. 럭 (Gary E. Luck) | 1987년 1월~1989년 12월 | 육군 소장 | 퇴역 | USASOC 사령관 역임 | |
웨인 A. 다우닝 (Wayne A. Downing) | 1989년 12월~1991년 8월 | 육군 소장 | 퇴역 | USSOCOM 사령관 역임 USASOC 사령관 역임 | |
- | 윌리엄 F. 게리슨 (William F. Garrison) | 1991년 8월~1994년 7월 | 육군 소장 | 퇴역 | 모가디슈 전투 지휘 |
피터 J. 슈메이커 (Peter J. Schoomaker) | 1994년 7월~1996년 8월 | 육군 소장 | 퇴역 | USSOCOM 사령관 역임 USASOC 사령관 역임 | |
- | 마이클 A. 캐너번 (Michael A. Canavan) | 1996년 8월~1998년 8월 | 육군 소장 | 퇴역 | |
브라이언 D. 브라운 (Bryan D. Brown) | 1998년 8월~2000년 10월 | 육군 소장 | 퇴역 | USSOCOM 사령관 역임 USASOC 사령관 역임 | |
- | 델 L. 데일리 (Dell L. Dailey) | 2000년 10월~2003년 9월 | 육군 중장 | 퇴역 | USDOS 테러대응국장 역임 |
스탠리 A. 매크리스털 (Stanley A. McChrystal) | 2003년 9월~2008년 8월 | 육군 중장 | 퇴역 | ||
윌리엄 H. 맥레이븐 (William H. McRaven) | 2008년 8월~2011년 5월 | 해군 중장 | 퇴역 | USSOCOM 사령관 역임 | |
조셉 L. 보텔 (Joseph L. Votel) | 2011년 5월~2014년 8월 | 육군 중장 | 퇴역 | USCENTCOM 사령관 역임 USSOCOM 사령관 역임 | |
레이먼드 A. 토마스 3세 (Raymond A. Thomas III) | 2014년 8월~2016년 3월 | 육군 중장 | 퇴역 | USSOCOM 사령관 역임 | |
오스틴 S. 밀러 (Austin S. Miller) | 2016년 3월~2018년 9월 | 육군 중장 | 퇴역 | 국제안보지원군 사령관 역임 | |
스캇 A. 하월 (Scott A. Howell) | 2018년 9월~2021년 7월 | 공군 중장 | 퇴역 | ||
브라이언 P. 펜턴 (Bryan P. Fenton) | 2021년 7월~2022년 8월 | 육군 중장 | 현역 | USSOCOM 사령관 역임 | |
프랭크 M. 브래들리 (Frank M. Bradley) | 2022년 8월~ | 해군 중장 | 현역 |
2.3. 활동 이력
- 1979년 독수리 발톱 작전(Operation Eagle Claw)
- 1983년 긴급 분노 작전(Operation Urgent Fury)
- 1989년 정당한 명분 작전(Operation Just Cause)
- 1990년 사막의 폭풍 작전(Operation Desert Storm)
- 1991년 안식 제공 작전(Operation Provide Comfort)[5]
- 1993년 고딕 뱀 작전(Operation Gothic Serpent)
- 1994년 민주주의 유지 작전(Operation Uphold Democracy)[6]
- 1999년 연합군 작전(Operation Allied Force)
- 2001년 항구적 자유 작전(Operation Enduring Freedom)
- 2003년 이라크 자유 작전(Operation Iraqi Freedom)
- 2011년 넵튠의 창 작전(Operation Neptune Spear)
- 2014년 내재적 결의 작전(Operation Inherent Resolve)
- 2019년 케일라 뮐러 작전(Operation Kayla Mueller)
- 2020년 바그다드 국제공항 공습[7]
[1] 지원인력 포함한 사령부 전체 인원이다.[2] 대표적으로 델타포스의 경우 매우 높은 곳이 아닌 이상 이들에게 특정 임무의 수행을 강요할 수 없고, 본인들이 자체적인 전략분석 셀을 통해 임무 수행의 합리성을 판단한다.[3] 관련 분야에 무지한 한국인들의 입장 및 작전역량이 몹시 제한적인 한국 특수부대의 특성을 고려해 비유한다면, 한국 버전으로는 707특임대+정보사/국정원 관련 부서라고 봐도 무방할정도로 엄청나게 광범위한 작전 범위 및 권한과 재량권을 자랑한다.[4] 정식 명칭은 1급 군사기밀로 분류[5] 걸프전쟁의 여파로 핍박받는 쿠르드족에게 물자를 지급하고 보호하기 위한 작전이다.[6] 쿠데타로 집권한 아이티의 군부 축출을 위해 개입한 작전이다.[7] 알리 하메네이의 심복인 카셈 솔레이마니가 사살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