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4-23 02:56:17

박지현(2000)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if 넘어옴1 != null
''''''{{{#!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원주 DB 프로미 소속이었던 前 농구 선수}}}에 대한 내용은 [[박지현(1979)]]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박지현(1979)#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박지현(1979)#|]]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원주 DB 프로미 소속이었던 前 농구 선수: }}}[[박지현(1979)]]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박지현(1979)#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박지현(1979)#|]]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 }}}[[]]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박지현의 수상 이력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KBL 챔피언 결정전 우승 반지[1]
2020 2023 2024

{{{#!wiki style="margin: -5px -10px"<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83090><tablebgcolor=#083090> 파일:한국여자농구연맹 로고.svgWKBL
역대 신인왕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0px"
{{{#1f2023,#ddd
<rowcolor=#fff> 1999 시즌 2000 시즌 2002 시즌 2003 시즌 2004 시즌
변연하
삼성생명 / 포워드
강윤미
금호생명 / 센터
박은진
금호생명 / 포워드
곽주영
금호생명 / 포워드
정미란
금호생명 / 포워드
<rowcolor=#fff> 2005 시즌 2006 시즌 2007 시즌 2007-08 시즌 2008-09 시즌
정진경
신세계 / 센터
김정은
신세계 / 포워드
하은주
신한은행 / 센터
배혜윤
신세계 / 센터
박혜진
우리은행 / 가드
<rowcolor=#fff> 2009-10 시즌 2010-11 시즌 2011-12 시즌 2012-13 시즌 2013-14 시즌
킴빌리 로벌슨
삼성생명 / 가드
윤미지
신한은행 / 가드
이승아
우리은행 / 가드
양지영
삼성생명 / 포워드
김이슬
하나외환 / 가드
<rowcolor=#fff> 2014-15 시즌 2016-17 시즌 2017-18 시즌 2018-19 시즌 2019-20 시즌
신지현
KEB하나은행 / 가드
박지수
KB스타즈 / 센터
이주연
삼성생명 / 가드
박지현
우리은행 / 가드
허예은
KB스타즈 / 가드
<rowcolor=#fff> 2020-21 시즌 2021-22 시즌 2022-23 시즌 2023-24 시즌 2024-25 시즌
강유림
하나원큐 / 포워드
이해란
삼성생명 / 포워드
박소희
하나원큐 / 가드
키아나 스미스
삼성생명 / 가드
홍유순
신한은행 / 포워드
}}}}}}}}}}}}}}} ||

{{{#!wiki style="margin: -5px -10px"<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83090><tablebgcolor=#083090> 파일:한국여자농구연맹 로고.svgWKBL 2020~2025
라운드 MVP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0px"
{{{#1f2023,#ddd
<rowcolor=#fff> 1R 2R 3R 4R 5R 6R
2020-2021 시즌
박지수
KB스타즈 / 센터
박지현
우리은행 / 가드
박지수
KB스타즈 / 센터
김단비
신한은행 / 포워드
강이슬
하나원큐 / 포워드
2021-2022 시즌
박지수
KB스타즈 / 센터
김단비
신한은행 / 포워드
박지수
KB스타즈 / 센터
박혜진
우리은행 / 가드
진안
BNK썸 / 센터
2022-2023 시즌
김단비
우리은행 / 포워드
김소니아
신한은행 / 포워드
김단비
우리은행 / 포워드
김소니아
신한은행 / 포워드
진안
BNK썸 / 센터
2023-2024 시즌
박지수
KB스타즈 / 센터
박지현
우리은행 / 가드
2024-2025 시즌
김단비
우리은행 / 포워드
김소니아
BNK썸 / 포워드
김단비
우리은행 / 포워드
}}}}}}}}}}}}}}} ||

{{{#!wiki style="margin: -5px -10px"<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83090><tablebgcolor=#083090> 파일:한국여자농구연맹 로고.svgWKBL 2020~2025
베스트 5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0px"
{{{#1f2023,#ddd
<rowcolor=#fff> 가드 포워드 센터
2020-2021 시즌
박지현
우리은행
신지현
하나원큐
김소니아
우리은행
김단비
신한은행
박지수
KB스타즈
2021-2022 시즌
박혜진
우리은행
신지현
하나원큐
김단비
신한은행
강이슬
KB스타즈
박지수
KB스타즈
2022-2023 시즌
박지현
우리은행
이소희
BNK썸
김단비
우리은행
김소니아
신한은행
배혜윤
삼성생명
2023-2024 시즌
박지현
우리은행
허예은
KB스타즈
김단비
우리은행
김소니아
신한은행
박지수
KB스타즈
2024-2025 시즌
허예은
KB스타즈
키아나 스미스
삼성생명
김단비
우리은행
김소니아
BNK썸
배혜윤
삼성생명
}}}}}}}}}}}}}}} ||

}}} ||
대한민국의 농구 선수
<nopad> 파일:박지현_23우뱅.png
박지현
Park Ji-hyun
출생 2000년 4월 7일 ([age(2000-04-07)]세)
국적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신체 신장 183cm[2]체중 68kg
포지션 가드[3]
학력 선일초등학교 (졸업)
숭의여자중학교 (졸업)
숭의여자고등학교 (졸업)
프로 입단 2018-19 시즌 드래프트 (1라운드 1순위, 우리은행)
소속 아산 우리은행 위비-우리WON (2018~2024)
뱅크스타운 브루인스 (2024 / 호주)
토코마나와 퀸즈 (2024 / 뉴질랜드)
아줄마리노 마요르카 팔마 (2025~ / 스페인)
가족 관계 부모님, 오빠 박지원
응원가
이전 응원가 [ 펼치기 · 접기 ]
쥬얼리 - Superstar
영탁 - 폼미쳤다

1. 개요2. 선수 경력
2.1. 아마추어 시절2.2. 프로 경력
2.2.1. 우리은행 시절2.2.2. 해외 리그 도전
2.3. 국가대표 경력
3. 시즌별 성적4. 플레이 스타일5. 여담6. 역대 프로필 사진7. 관련 문서

1. 개요

대한민국농구 선수.

2. 선수 경력

2.1. 아마추어 시절

중학교 시절부터 굉장한 유망주로 평가되었다. 2016 FIBA U17 대회에 출전하여 16.5점[4] 7.7리바운드 2.8어시스트 3.3스틸[5] 0.7블락을 기록했다. 가드이면서 팀 내 최장신으로 코트 전방위에서 활약했으나 신장의 열세 때문에 전패로 탈락했다.

고1 때인 97회 전국체전에서 10cm 이상 큰 고3의 박지수를 맞상대하며 활약해 박지수가 입학한 이후 3년 동안 무패로 거의 모든 여고부 대회를 휩쓸던 분당경영고를 꺾는 파란을 일으켰으나, 결승에서 혼자 28점을 퍼부은 이주연인성여고에게 패하며 은메달에 그쳤다.

고2 때부터는 독보적인 기량으로 여고부를 평정하며 숭의여고의 무적시대를 이루어냈고, 고3 때도 자신이 출전하지 않았던 대회를 제외한 모든 대회들에서 압도적인 활약을 하며 숭의여고의 전승 우승을 이끌었다.

2017년 고2 시절, 주말리그 왕중왕전, 전국체전에서 우승한다. 주말리그 MVP를 수상한다.

2018년 고3 시절, 춘계, 연맹회장기, 전국체전에서 우승한다. 춘계, 연맹회장기에서 MVP를 수상한다.

2018-2019 우리은행 여자프로농구 신입선수 선발회에서 4.8%(1/21) 확률을 뚫고 1순위에 당첨된 아산 우리은행 위비에 입단하였다.

2.2. 프로 경력

2.2.1. 우리은행 시절

파일:woori1.png

2019년 1월 16일 인천도원체육관에서 열린 인천 신한은행 에스버드와의 경기에서 2쿼터 4분 33초를 남겨두고 출전해 프로무대 첫 데뷔를 했다. 최종기록은 10분 출전 7득점(2점 1/1 3점1/1 자유투2/2)1어시스트 1스틸 2턴오버.

2019년 2월 27일 인천도원체육관에서 열린 인천 신한은행 에스버드와의 경기에서 개인 최다 득점을 기록하며 팀의 승리를 이끌었다. 33분 20초 출전 21득점 8리바운드 4어시스트.

2019년 3월 4일 용인실내체육관에서 열린 용인 삼성생명 블루밍스와의 경기에서 프로 입단 후 처음으로 풀타임을 소화하면서 팀 승리의 1등 공신이 되었다. 40분 출전 13득점 8리바운드 7어시스트.

2019년 3월 8일 아산이순신체육관에서 열린 OK저축은행 읏샷과의 경기에서 개인 최다 리바운드를 기록하며 팀의 승리를 이끌었다. 40분 출전 16득점 13리바운드 2어시스트.

2019년 3월 11일 2018~2019시즌 정규리그 시상식에서 기자단 투표 101표 중 96표를 얻어내며 스타 신인선수상을 수상하였다. 2018~2019시즌 박지현은 정규리그 15게임에 출전해서 게임당 평균 19분6초 출전 8.0점 3.7리바운드 1.7어시스트를 기록하였다.

2019-2020 시즌에는 한층 더 많은 롤과 기회를 부여받으며 가드-포워드로 기용되었다. 최종기록은 8.37득점 5.56 리바운드 3.44어시스트. 다만 3점슛 성공률이 22.7%에 그치며 여전히 보완해야할 과제임을 보여줬다.

2019-2020 시즌 이후 드래프트를 통해 WNBA 진출을 시도했지만 2020년 4월 17일 진행된 신인드래프트에서 지명되지 못하며 WNBA 진출에 실패했다.

2021년 1월 28일 삼성 생명과의 경기에서 비록 패배했지만 25득점을 올리는 준수한 활약을 했다

2020-2021 시즌 정규리그 30게임 전경기에 출전해서 평균 36분 44초 출전 15.37점 10.40리바운드 2.93어시스트를 기록하였다.

2021-2022 시즌은 슬럼프를 보이면서 1월9일 경기 전까지 평균 9.1득점 으로 부진했으나 kb스타즈전 팀 해결사 역할을 하면서 33득점을 기록하면서 최다득점을 갱신하였다. 그런데 정작 팀은 3쿼터 초반 큰 점수차를 극복하지 못하고 78:79로 패했다.

2022-2023 시즌 2라운드 하나원큐전에서 프로 데뷔 첫 트리플더블을 기록했다.

22-23시즌에는 21-22시즌의 부진을 완벽하게 털어버렸다. 5라운드 기준 평균 득점 5위, 리바운드 5위,어시스트 4위 ,공헌도 전체 2위등 김단비가 영입되어 세부적인 스텟의 감소는 있으나 어시스트 능력이 발전하면서 원래도 막기 어려운 선수였으나, 정말 막을 수 없는 선수가 되었다. 김단비와 함께 시즌 우승의 일등공신이라고 봐도 과언이 아닐정도.

22-23시즌 챔프전 2차전에서 19득점에 11리바운드로 활약하며, 경기 MVP로 뽑혔다. 3쿼터에 연속 득점을 넣으며, 경기를 터트려 버렸다. BNK의 이소희를 완전히 속이는 멋진 페이크에 이은 드라이브인을 보여주기도 했다.##[6] 3쿼터에 세리머니도 많이 하고, 템포를 끌어올리자 위성우 감독이 "야, 캄 다운(Calm down) 좀 하세요. 캄 다운 좀 해. 잘 하고는 있는데, 네가 조율을 해야지. 언니들은 어떻게 쫓아다녀."라며, 진정시켰다.#

2.2.2. 해외 리그 도전

2023-24시즌, 통산 세 번째 WKBL 우승을 차지한 박지현은 커리어 최초로 FA 자격을 획득했다. 규정상 원소속팀인 우리은행이 3억 원 이상의 조건을 제시할 경우 이를 수용해야 하므로, 대부분 잔류를 기정사실로 여겼다. 그러나 박지현은 이를 뒤엎고 깜짝스럽게 해외 진출 의사를 밝혔다. WKBL과 시즌이 겹치지 않는 WNBA가 아닌 유럽 리그 진출을 목표로 했으며, 이에 우리은행 역시 선수의 의사를 존중해 FA 계약 대신 임의해지 형식으로 풀어주기로 결정했다.

WKBL 규정상 임의해지 이후 3시즌이 지나면 모든 구단과 협상할 수 있게 된다는 점에서, 향후 우리은행이 아닌 다른 팀과 계약할 가능성까지 열어두는 셈었는데, 구단은 “선수의 도전을 응원한다”며 흔쾌히 결정을 수용했고, 결과적으로 박지현은 2024-25시즌 WKBL을 떠나 해외 리그에서만 뛰게 되었다.

첫 번째 해외 행선지는 유럽이 아닌 호주 2부 리그 NBL1이었다. 박지현은 2024년 5월 9일, NBL1 소속 뱅크스타운 브루인스와 3개월 단기 계약을 체결했다. 유럽 리그 진출을 앞두고 체력과 실전 감각을 끌어올리기 위한 선택이었는데 NBL1은 7월에 정규시즌을 마치고 8월에 플레이오프가 열리는 짧은 일정의 리그로, 박지현에게는 부담 없이 몸을 만들기에 적합했기 때문. 총 12경기에 출전해 평균 19.42득점을 기록, 팀 내 득점 1위이자 리그 전체에서는 46위에 이름을 올렸다.

호주에서의 시즌을 마친 뒤 2024년 8월 1일, 뉴질랜드 여자 농구 리그(Tauihi Basketball Aotearoa)의 토코마나와 퀸즈(Tokomanawa Queens)[7]와 계약을 체결하며 두 번째 해외 팀에서의 생활을 시작했다. 신생 리그인 뉴질랜드 리그는 창설 3년 차에 불과했지만, 박지현은 출전 시간을 보장받을 수 있는 팀을 우선으로 고려했고, 다수의 오퍼 끝에 토코마나와를 선택했다. 해당 리그는 총 5개 팀만이 참가하며, 정규시즌은 10월 개막 후 12월에 종료되는 짧은 구조다. 박지현은 뉴질랜드에서 한 시즌을 소화한 뒤, 새해가 되면 다시 유럽 진출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토코마나와 퀸즈는 박지현 외에도 수준급 외국인 선수를 다수 영입해 눈길을 끌었다. 특히 2023 WNBA 드래프트 1라운드 9순위로 시애틀 스톰에 지명돼 올루키 팀에 선정된 조던 호스턴이 함께 합류했고, WNBA 경험이 있는 아르헨티나 출신 플로렌시아 샤가스, 뉴질랜드 국가대표 스텔라 벡, 칼라니 퍼셀 등도 함께 뛰었다. 박지현은 호스턴과 함께 주전 백코트를 맡아 활약했고, 리그 평균 15.4득점으로 전체 득점 7위를 기록했다. 특히 2점 야투율은 61.1%로 리그 1위에 올랐고, 22개의 스틸(공동 4위), 리그 3위에 해당하는 출장 시간 등 전반적인 기량과 활용도에서 높은 평가를 받았다.

이후 2025년, 스페인 2부 리그 소속 아줄마리노 마요르카 팔마(Azulmarino Mallorca Palma)와 입단 계약을 체결하며 마침내 유럽 무대에 입성하게 되었다.

2.3. 국가대표 경력

2016년, 만 16세의 나이로 FIBA U17 세계선수권대회에 발탁되며 처음으로 태극마크를 달았다. 생애 첫 국제무대였지만, 당시 한국은 15위로 대회를 마감하며 다소 아쉬운 성적을 거뒀다. 그러나 같은 해 열린 FIBA U18 아시아선수권대회에서는 팀 내 막내로 참가해 더 강렬한 인상을 남겼다. 한국은 12년 만에 일본을 꺾으며 쾌조의 출발을 알렸지만, 4강에서 다시 만난 일본에게 패하며 최종 3위에 머물렀다. 박지현은 일본전에서 19득점을 올리며 가능성을 증명했다.

이듬해인 2017년에는 FIBA U19 세계선수권대회에 참가했다. 박지수가 빠진 팀에서 박지현은 최장신 선수로, 포지션 구분 없이 전천후로 뛰었다. 결과적으로 전력 열세를 극복하진 못했지만, 박지현은 17세의 어린 나이로 팀 내 전 부문 1위(득점·리바운드·어시스트·스틸 등)를 기록하며 팀의 중심 역할을 수행했다. 특히 유일한 승리였던 이집트전에서는 27득점 13리바운드 5어시스트로 맹활약했고, 국내 팬들 사이에서는 “이쯤 되면 성인대표팀 뽑아야 한다”는 반응이 쏟아졌다.

결국 2018년, 박지현은 자카르타·팔렘방 아시안게임을 통해 처음으로 성인대표팀에 발탁됐다. 다만 당시에는 큰 비중을 부여받지 못했고, 경기 내 존재감 역시 제한적이었다. 그럼에도 팀은 은메달을 획득하며 값진 경험을 얻었다. 같은 해 열린 U18 아시아선수권에서는 팀의 확실한 에이스로 활약했다. 호주를 상대로 17득점 6리바운드 5어시스트 2스틸을 기록하며 승리를 이끌었고, 최종 4위를 차지해 세계선수권 출전권을 확보했다. 이후 참가한 FIBA 여자농구 월드컵에서도 대표팀에 이름을 올렸지만, 출전 시간은 또다시 극히 제한적이었다.

2019년에는 FIBA 아시아컵에서는 6경기에서 평균 5.2득점 4리바운드 1.8어시스트를 기록했고, 팀은 4위를 차지했다. 그러나 진정한 하이라이트는 다시 열린 FIBA U19 세계선수권대회였는데 박지현은 이 대회에서 압도적인 퍼포먼스를 선보이며 한국을 9위에 올려놓았다. 3승 4패라는 성적은 한국 여자농구 유소년 역사상 손꼽히는 성과였으며, 박지현은 대회 전체 득점 1위, 스틸 1위, 출전시간 1위, 경기 효율성 4위를 기록하는 등 절대적인 영향력을 보였다. 특히 미국과의 조별예선에서는 26득점을 올리며 세계 최강팀을 상대로도 인상적인 활약을 펼쳤다.

2021년 여름, 박지현은 도쿄올림픽에 출전하며 처음으로 올림픽 무대를 밟았다. 대표팀 막내로 참가했지만, 세 경기에서 평균 8.3득점 4리바운드 2어시스트를 기록하며 눈에 띄는 존재감을 보였다. 특히 세르비아전에서는 17득점 7리바운드 5어시스트를 기록하며 한국의 분전 중심에 섰고, 야투 성공률도 50%에 달해 팬들 사이에서 깊은 인상을 남겼다. 팀은 아쉽게도 조별리그 전패로 10위에 머물렀지만, 박지현 개인에게는 확실한 성장을 증명한 무대였다.

이후 2021년 FIBA 아시아컵, 2022년 FIBA 월드컵 예선 토너먼트 등 국제 대회에 연속으로 출전했다.

3. 시즌별 성적

WKBL 성적
시즌 소속팀 경기수 필드골 3점슛 자유투 득점 리바운드 어시스트 스틸 블록슛
2018-19 우리은행 15 23/59
(38.98%)
19/37
(51.35%)
17/23
(73.91%)
120 56 25 10 1
2019-20 27 68/156
(43.59%)
20/88
(22.73%)
30/46
(65.22%)
226 150 93 38 22
2020-21 30 129/295
(43.73%)
43/149
(28.86%)
74/122
(60.66%)
461 312 88 51 37
2021-22 29 113/215
(52.56%)
22/91
(24.18%)
75/106
(70.75%)
367 201 91 42 12
2022-23 29 130/235
(55.32%)
37/109
(33.94%)
72/88
(81.82%)
443 257 130 35 12
2023-24 28 131/249
(52.6%)
38/124
(30.6%)
107/138
(77.5%)
483 261 109 52 16
WKBL 통산
(6시즌)
158 594/1209
(49.1%)
179/598
(29.9%)
375/523
(71.7%)
2,100 1,237 536 228 100
호주 NBL1 성적
시즌 소속팀 경기수 필드골 3점슛 자유투 득점 리바운드 어시스트 스틸 블록슛
2024 뱅크스타운 브루인스 12 74/185
(40%)
28/89
(31.46%)
57/73
(78.08%)
233 101 59 32 6

4. 플레이 스타일

농구계 전체의 큰 기대를 받고 있는 초특급 유망주.

학창 시절부터 우월한 신체사이즈와 운동능력, BQ로 주목받아왔던 선수이다. 특히 183cm의 가드, 즉 오버사이즈 가드는 모든 농구인들이 이상적인 형태로 보는 유형이기 때문에 더더욱 관심을 기울일 수 밖에 없었다.

가드, 포워드, 센터 모든 포지션을 소화할 수 있으며, 프로 입단 이후 주로 가드 포지션으로 뛰고 있다. 뛰어난 드리블에 기반한 아이솔레이션 능력이 특히 돋보인다. 아직까지 제대로 평가되고 있지는 않으나 수비 또한 뛰어나다. 특히 고교 시절부터 빠른 손질은 물론이고 상대의 패스루트를 읽고 차단하는 능력이 뛰어났는데, 역시나 프로 데뷔 2시즌째부터 높은 스틸 스탯을 기록했고, 3시즌째에는 스틸 1위를 차지했다.

피지컬, 운동능력, 기술, 시야, 패스 등 전반적인 능력이 뛰어나지만, 상대적으로 슛 성공율이 기대치 만큼 높지 못하고, 자유투가 다소 약한 편이다. 프로 3시즌 통산 3점슛 성공률은 29.9%이고, 자유투 성공률은 63.4%로 낮다. 플레이오프 기록을 포함하면 통산 3점슛 성공율은 30%를 넘기 때문에 일각에서 주장하듯이 3점슛이 나쁜 선수는 아니다. 하지만, 22-23시즌 3점슛 성공률 34%, 자유투 성공률 82%를 기록하며, 슈팅 정확도에서 큰 발전이 있었다. 야투율은 무려 55%로 가드임을 감안하면 정말 놀라운 수치를 기록하고 있다.[8]

볼 핸들러 역할을 할 때, 가장 빛나는 선수이기 때문에 같은 팀의 박혜진과 볼 핸들러 역할을 나누어 하고 있다. 박혜진도 이제 나이가 있기 때문에 이 편이 더 좋다고 한다. 프로 입단 후에는 위성우 감독의 조련 하에 오프 더 볼 움직임을 개선했고, 커터로서도 위력적인 모습을 보인다. 다만, 스팟업 슈터로서의 능력은 아직 부족하다.

2022-23 시즌 평균 4 어시스트 이상으로 커리어 하이를 기록하며 패스 능력도 좋아졌다. 위성우 감독은 이를 확실히 패스에 눈을 떴다고 표현했다.

원래도 막기 어려운 선수였으나 패스 능력까지 장착해 막을 수 없는 정도의 선수로 발전했다. 이제는 정말 야니스 아데토쿤보가 되었다.

==# 올림픽 출전 이력 #==
'''파일:팀 코리아 워드마크.svg'''
<rowcolor=#fff> 포인트 가드 슈팅 가드 스몰 포워드 파워 포워드 센터
1 신지현 9 박지현 3 강이슬 2 한엄지 11 배혜윤
4 윤예빈 13 김정은 🅲 19 박지수
5 안혜지 23 김단비 31 진안
7 박혜진
남자 농구의 경우 출전권을 획득하지 못했기 때문에 국가대표로서는 여자 농구만 출전, 따라서 이 틀에는 여자 선수만을 정리한다.

5. 여담

6. 역대 프로필 사진

국가대표
<nopad> 파일:2020 박지현.jpg <nopad> 파일:박지현 항저우.jpg
2020 도쿄 올림픽 2022 항저우 아시안 게임

7. 관련 문서


[1] 2019-20 시즌 챔피언 결정전은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영향으로 인한 시즌 조기 종료로 인해 미개최했으나 공식적으로 우승이 인정했으므로 기술.[2] 고교 입학 때는 178cm이었고 현재 183cm까지 성장했다.[3] 고등학교 시절 공격에서는 메인 볼 핸들러로서 특정한 포지션에 구애받지 않고 가드, 포워드, 센터 포지션을 모두 넘나드는 전방위적인 활약을 했고 수비에서는 주로 센터를 맡았다. 프로에 들어와서는 포인트 가드 역할을 주로 맡아 줌과 동시에 때때로 슈팅 가드 역할도 수행해 주고 있다.[4] 대회 1위[5] 2위[6] 핸드 오프 플레이를 할 것처럼 해서 이소희가 3점 라인 쪽으로 붙게 만든 후, 반대편 림으로 빠르게 돌파해버렸다.[7] 수도 웰링턴을 연고로 한다.[8] 슈팅이 발전했는지 여부에서 가장 중요한 지표 중 하나는 자유투 성공률이다. 아무런 방해요인 없이 선수의 슈팅 정확도를 정확히 보여주기 때문이다. 유망주를 평가할 때도 자유투 성공률을 중요하게 본다. 이 지표가 좋으면 다른 슈팅도 개선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대표적으로 카와이 레너드를 뽑을 때, 스퍼스 스카우트진이 이 점을 중요하게 봤다.[9]수원 KT 소닉붐[10] 우리은행은 우승이 확정되면, 위성우 감독을 구타하는 전통이 있다.[11] 한명재 캐스터,김일두 해설위원[12] 무려 4.8% 확률로 뽑았다. 정말 생각도 못했을 것 같다.[13] 이때 핑크스타 감독으로 변신한 김단비로부터 야, 야! 박지현, 위성우가 수비 구멍이잖아. 1대 1 해! 위성우 수비 못하잖아. 1대 1 하라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