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9-23 15:44:33

박차날개기러기

박차날개기러기(혹부리기러기)
Spur-winged goose
파일:Plectropterus gambensis.jpg
학명 Plectropterus gambensis
(Linnaeus, 1766)
분류
<colbgcolor=#fc6> 동물계(Animalia)
척삭동물문(Chordata)
조강(Aves)
하강 신악하강(Neognathae)
상목 닭기러기상목(Galloanserae)
기러기목(Anseriformes)
오리과(Anatidae)
아과 박차날개기러기아과(Plectropterinae)
박차날개기러기속(Plectropterus)
박차날개기러기(P. gambensis)
멸종 위기 등급
파일:멸종위기등급_최소관심.svg

1. 개요2. 서식지3. 생김새4. 생태5. 독6. 먹이7. 천적

1. 개요

기러기목 오리과에 속한 물새. 별개로 아과부터 박차날개기러기아과 박차날개기러기속 박차날개기러기로 1속 1종으로 고립적으로 분류된다. 흔히 식용기러기로 불리는 대만오리와 마찬가지로 명칭과 달리 좁은 의미의 기러기인 기러기속에는 속하지 않는 셈이다.

우리나라에서는 혹부리기러기라고 부른다. 학명은 나비의 날개에서 유래했다고 한다.

2. 서식지

아프리카 사하라 사막 이남에 있는 텃새이다. 주로 습지에 많이 분포한다.

3. 생김새

야생의 기러기 중 가장 크다. 75~115cm에 도달한다. 몸의 색깔은 검은색, 흰색, 붉은색이 조합되어 있다. 다리의 비늘 색은 붉은 색이다.

4. 생태

50마리 정도의 대규모 집단 생활을 한다. 둥지는 빈 구멍이나 갈대수풀 사이에 만든다.

5.

가장 큰 특징은 산해경에 기록된 짐새나 뉴기니의 피토휘속처럼 독을 가진 새라는 점이다. 피토휘와 유사하게 독을 품은 먹이를 먹어 체내에 독을 축적한다. 그래서 이 새의 고기를 먹을 경우 중독사할 수 있다고 한다. 다만 주식이 독충이라 항시 독을 품은 피토휘와 달리 가뢰과의 딱정벌레를 많이 잡아먹은 일부 개체만 독이 있다.

종종 박차날개기러기를 근거로 짐새의 실존 가능성을 주장하는 의견이 있는데 아프리카 습지가 주요 서식지인 박차날개기러기의 특성상 나일악어, 흰점배무늬수리등 잠재적인 천적이 있어 일부 개체가 독을 축적하도록 진화할 이유가 있는 박차날개기러기와는 달리 독사가 주식이라는 점이나 독수리를 닮았다는 언급이 있어 맹금류로 추정되는 짐새는 최상위 포식자라 천적으로부터 보호하기위해 독을 축적하도록 진화할 이유가 없어 단순비교가 힘들다.

6. 먹이

먹이는 물고기, 곤충, 수생식물 등으로 잡식성이다.

7. 천적

천적은 마사이사자, 아프리카표범, 아프리카비단뱀, 흰점배무늬수리, 황갈색수리, 검은등자칼, 케이프여우, 카라칼, 서벌, 나일악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