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2-06 20:01:59

딱정벌레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딱정벌레(동음이의어)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생물 목록에 대한 내용은 딱정벌레목 생물 목록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딱정벌레
Beetle
학명 Coleoptera
Linnaeus, 1758
분류
<colbgcolor=#fc6> 동물계 Animalia
절지동물문 Arthropoda
곤충강 Insecta
딱정벌레목 Coleoptera
하위 분류
[ 펼치기 · 접기 ]
원딱정벌레아목 Archostemata
식균아목 Myxophaga
식육아목 Adephaga
풍뎅이아목 Polyphaga

1. 개요2. 외부 형태
2.1. 머리2.2. 가슴2.3. 다리2.4. 날개2.5. 배
3. 유충과 번데기의 특징4. 대한민국의 딱정벌레 연구자5. 기타6. 분류
6.1. 원딱정벌레아목(Archostemata)6.2. 식균아목(Myxophaga)6.3. 식육아목(Adephaga)6.4. 풍뎅이아목(다식아목, Polyphaga)
7.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넓은 의미로는 절지동물문 곤충강 중 하나인 딱정벌레목 곤충의 총칭, 좁은 의미로는 딱정벌레목 식육아목 딱정벌레아과 곤충들의 총칭이다. 날개의 질감 때문에 초시류 또는 갑충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앞날개는 딱딱하고 가죽질로 된 딱지날개이며 그 속에 얇은 막으로 된 뒷날개가 있음이 특징. 곤충 중 상당히 많은 종을 차지한다. 지금껏 인류가 발견한 동식물 등 모든 종을 일렬로 놓는다면, 10번에 1번씩은 딱정벌레가 나올 정도다. 그만큼 대단히 성공적으로 지구의 환경에 적응한 곤충이다.[2]

2. 외부 형태

2.1. 머리

머리의 형태는 입이 아래로 향하고 있는 하구식 또는 입이 앞으로 향하고 있는 전구식이다. 겹눈은 발달하여 원형, 타원형, 부정형이 있고 극소수이지만 눈이 분할된 것도 있으며, 동굴에 사는 종이나 기생하는 종은 겹눈이 없기도 한다. 더듬이는 여러 모양이 있는데 이들 차이는 분류 동정에 많이 이용된다. 촉각 마디 수는 보통 10~11마디이지만 일부 종의 경우 1마디인 것에서 27마디로 다양하다. 이들 형태는 센털 모양, 실 모양, 부채모양, 염주 모양, 곤봉상, 구간상, 거치상, 슬상, 새엽상 등이 있다. 입은 전형적인 씹는입으로 큰턱이 잘 발달해 있다.

2.2. 가슴

위에서 보이는 것은 앞가슴등판과 작은방패판은 보통 작은 삼각형 형태로 전흉배판 중앙 바로 뒤, 즉 딱지날개 기부 사이에 위치해 있지만 종종 원형이나 심장형을 띠고 있고, 숨겨져 보이지 않기도 한다 앞가슴등판에는 털이 없거나 약한 털이 나 있고 때로는 점각홈, 융기부, 가시, 돌기, 기타 장식물로 구성되어 있다. 가슴에 있는 봉합선이나 절편 모양, 앞다리와 가운뎃다리의 밑마디 주변 절편 등은 분류 동정에 중요하다.

2.3. 다리

대부분의 딱정벌레에게 전절은 밑마디와 넓적다리마디 사이에 바로 놓여 있지 않고 한쪽 편에 있다. 육식아목은 뒷다리 도래마디가 꽤 크며 중앙으로 강하게 갈라져서 넓적다리마디가 도래마디에 맞닿아 보인다. 발목마디는 5마디류, 4마디류, 3마디류로 나눌 수 있다. 이것은 앞다리 가운뎃다리, 뒷다리의 발목마디 수를 각각 나타내며 발목마디의 수가 서로 다른 경우를 다른마디류,같은 경우를 같은마디류 라고 한다. 발목마디의 발톱은 대부분 단순하지만 센가시가 있거나 갈라져있다

2.4. 날개

딱정벌레의 앞날개는 변이가 심하다. 대부분이 배를 완전히 덮지만 때로는 1마디 이상의 배마디가 노출되어 있는 경우도 있다. 앞날개에는 여러 무늬, 점각, 종선, 돌기 등이 다양하게 생성되어 있다. 딱지날개 기부에서 외부로 각유 형성한 견각과 앞날개 옆 테두리에서 내부로 굽어있는 전측편이라는 특징이 있다. 반날개의 경우 횡맥이 없다. 병대벌레는 하나의 맥이 환부로 뻗어있고 중앙 두 개의 맥이 아주 분명한 환부를 만든다.

2.5.

본래 마디는 9~10마디이고 각각 마디엔 등판과 복판이 있으며 양옆은 많은 경우 옆편에 해당하는 막질부로 연결되어 있다. 배의 끝마디는 가끔 앞날개에 노출되어 다른 것보다 크고 단단하여 미절판을 이룬다. 바로 그 앞마디는 전미절판이다.

배의 형태에는 네가지가 있다. 뒷다리 및마디가 뒷가슴에 유합되어 움직일 수 없으며 배의 제1가시복판을 완전히 분리하는데 제1가시복판은 그 다음 1마디에 유합되어 있고 그들 사이에 있는 봉합선이 불분명한 육식아목형과 배의 제2복판이 완전히 경화하여 제3마디의 복판과는 경계가 분명한 전복형, 배의 제2마디가 측편이고 측면의 작은 절편이 복판인 반복형과 배의 제2마디 측편이 제3절 측편과 유합되어 있고 복판이 막질이며 보이지 않는 은복형이 있다.

식성이 다양하여 소화관의 형태나 발달 정도도 다양하나 말피기씨 소관은 4~6개뿐이다. 신경계의 집중화 현상도 3쌍의 흉신경절과 7, 8쌍의 복신경절을 갖는 원시형부터 두 종류의 신경절이 모두 융합한 진화형까지 다양하다.

3. 유충과 번데기의 특징

파일:애벌레.png
딱정벌레목 유충의 형태는 매우 다양하며 육식아목과 다식아목 일부에서 보이는 좀꼴유충형, 잎벌레과와 쑤시렁이과에서 보이는 쐐기벌레형, 다식아목의 풍뎅이과 사슴벌레과 바구미과에서 보이는 굼벵이형, 방아벌레과, 거저리과에서 보이는 구데기형, 잎벌레과의 일부에서 나타나는 이끼벌레형(또는 쐐기벌레형)과 납작진흙벌레과에서 보이는 소라형이 있다. 가뢰처럼 과변태를 하는 경우도 있다.
파일:딱정벌레 번데기.png
수시렁이과 곤충의 번데기
번데기는 대부분 나용의 형태밖에 없다. 딱정벌레목의 번데기는 대부분이 땅속에서 번데기가 되지만 일부는 식물체 내, 유충 껍질 속에서 용화[3]되기도 한다.

여담으로, 천적인 개구리에게 일부러 먹힌 뒤 역으로 잡아먹는 딱정벌레 유충도 발견되었다. 더 놀라운 건 이렇게 유충부터 성충까지 모두 개구리를 공격해 잡아먹는 딱정벌레가 한국에도 있다. 이름은 큰노랑테먼지벌레.[4]

4. 대한민국의 딱정벌레 연구자

곤충 중 가장 유명하고 종류가 많은 만큼 수많은 연구자들이 존재하는데 대표적으로 딱정벌레류는 김진일 교수 (성신여자대학교), 박종균 교수 (경북대학교 생태환경관광학부), 사슴벌레, 장수풍뎅이류는 장영철 관장 (충우곤충박물관 관장), 김은중 연구원, 황정호 연구원, 안승락 박사(국립중앙과학관)[5], 하늘소류는 이승모 교수, 황상환 (한국의 하늘소 저자), 장현규, 이승현, 최웅 씨 (하늘소 생태도감 저자) 등이 있다.

5. 기타

딱정벌레는 페름기에 처음 출현했으며 이 등장한 백악기신생대에 급격히 진화했고 대멸종 두 번을 용캐 버텨 살아남아 번성했다.

곤충 가운데 가장 종류가 많다. 알려진 것만 해도 35만여 종으로 전체 곤충 가운데 40%에 달하고, 아직 발견되지 않는 것들까지 합해 추정하면 500~800만 종이 된다고 여긴다. 종류가 많은 만큼 크기, 습성, 색깔 등이 매우 다양하다. 몸 길이가 종류에 따라 0.25 mm에서 17.8 cm까지 차이가 난다. 모양도 원형, 원통형, 뿔이 달린 것, 판 모양, 호리병 모양 등 가지각색이다. 극지나 바다 위를 제외하면 지구상 어디에서나 볼 수 있다.

무당벌레나 길앞잡이, 장수풍뎅이 등 흔히 볼 수 있는 둥그스름한 벌레는 거의 다 딱정벌레목에 속한다. 몸의 외피가 딱딱한 껍질이라 갑충(甲蟲)이라고도 불린다. 아무튼 지구상에서 종류가 가장 많은 곤충군이라 잭 홀데인이라는 진화생물학자는 '신에 대해서 무엇을 알게 되었냐?' 하는 질문에 '글쎄요, 신은 딱정벌레를 병적으로 좋아하셨나봐요.'라고 대답했을 정도였다.[6]

일부[7]를 제외한 대부분의 딱정벌레들[8]은 취선이 있어서 손으로 잡으면 노린재마냥 시큼하고 고약한 냄새가 나는 방어물질 혹은 맛이 없는 독성 물질을 분비한다. 거저리가 대표적. 길앞잡이 역시 미약하지만 냄새를 풍길 수 있고 반딧불이는 이 악취가 먼지벌레에 버금가기 때문에, 멋모르고 손으로 잡은 아이들이 반딧불이의 악취를 맡고 고통스러워하기도 한다.

유명한 딱정벌레 덕후로는 찰스 다윈, 파브르 등이 있다. 곤충 매니아들 역시 딱정벌레 매니아들이 대부분이다. 다윈은 젊은 시절에 딱정벌레를 채집하다가 한 마리 더 잡으려고 손에 들고 있던 한 마리를 입에 물었는데 하필 그 때 입에 물린 벌레가 취선에서 역겨운 물질을 뿜어버리는 바람에 끔찍한 쓴맛을 보고 다 놓친 에피소드도 있다.

일본에서 만화의 신으로 추앙 받는 데즈카 오사무는 자신의 본명(手塚 治)에 벌레 충()을 붙인 필명 치충(治虫)을 썼는데, 딱정벌레목(オサムシ)에서 따온 필명이라고 한다.

동글동글한 외모 덕분인지 곤충 동호인들에게는 나비와 함께 가장 인기가 많고 특히 장수풍뎅이사슴벌레곤충 동호인뿐만 아니라 곤충에 대해 별 관심이 없는 사람들에게도 모기바퀴벌레같은 해충들과는 달리 인식이 좋다.[9] 하지만 딱정벌렛과에 속하는 곤충들[10]은 육식을 하는데다 악취가 나는 방어물질을 분비하기 때문에 매니아가 아니면 좋아하는 사람은 드문 편이다.

딱정벌레 중에서 쇠똥구리는 고대 이집트에서 신성시되었을 정도로 좋은 대접을 받았다.

학명이 눈 없는 히틀러 벌레(Anophthalmus Hitleri)라는 딱정벌레가 있는데 이름을 바꾸려는 시도가 몆번있었으나 정치적인 이유로 재명명하면 다른 학명들도 바꿀 게 한두가지가 아니라고 해서 그대로 쓰고 있다.

6. 분류

6.1. 원딱정벌레아목(Archostemata)

파일:archostemata.jpg
성충은 앞가슴배측판도랑(전흉배측판구)과 뒷날개 가로방을 가지며, 뒷다리 밑마디(기절)는 가슴에 고정되어 움직일 수 없다. 유충은 꼬리돌기가 없고, 다리는 5마디이며 1~2개의 발톱이 있다. 범세계적으로 분포하나 현존 종은 곰보벌레과 등의 4과에 30종 미만이며, 대다수가 곰보벌레과에 속한다.

국내에서는 곰보벌레 1종만이 알려졌는데, 담회갈색~갈색으로서 11~13 mm 남짓한 좁고 긴 평행형이며, 머리에는 혹돌기 3쌍, 딱지날개에는 점각열 9줄이 있고 제 1, 5, 7간실은 튀어나왔다.

6.2. 식균아목(Myxophaga)

성충은 앞가슴배측판도랑(전흉배측판구)이 있고, 뒷날개에는 가로방과 끝이 꼬인 긴 털뭉치가 있다. 수서성인 유충은 큰턱에 어금니 부분이 있다. 범세계적으로 약 20종이 4과로 분류된다. 사실상 이들은 성충의 뒷날개나 유충의 특징이 원갑충아목과 식육아목의 중간형 또는 혼합형이 많아 반날개계열 또는 다식아목으로 취급한다.

국내 서식은 지금까지도 발견되지 않는 것으로 보건대, 국내에서는 살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

6.3. 식육아목(Adephaga)

더듬이는 보통 실모양 또는 그 비슷한 것에 가깝다. 뒷다리의 기절들이 서로 붙어있어 뒷다리 움직임에 제한이 좀 있다.[11] 제1배마디는 뒷마디밑다리오금(hind coxal cavity)에 의하여 중앙에서 분할되며, 측부는 보통 매우 작은 중앙부에서 분리되고 있다. 앞쪽의 3배판은 결합하여 움직이지 않는다. 유충의 꼬리돌기가 분절된 점 외에는 원딱정벌레아목과 특징이 같다.

세계적으로 9과 4만여종이 알려졌고, 육서성은 딱정벌레상과, 수서성은 물방개상과가 있으며, 대부분의 유충이나 성충이 모두 강한 포식성이다. 국내에서 등줄벌레류는 등줄벌레과에 1종(등줄벌레)만, 딱정벌레류는 길앞잡이과, 먼지벌레과, 강변먼지벌레과 등의 7과 약 460종만 기록되었다. 약 80%는 돌이나 검불 밑의 땅에서 생활하는데 매우 잘 걸어 다니며, 딱정벌레속은 나비류 유충, 달팽이, 지렁이 등을 잡아먹는 것이 자주 관찰된다. 어떤 종은 양쪽 딱지날개가 합쳐졌고, 뒷날개는 퇴화하였다.

6.4. 풍뎅이아목(다식아목, Polyphaga)

파일:amobpteryx1.png
제1배마디는 뒷다리밑마디오금에 의하여 완전히 분할되지 않고 적어도 후연이 인정된다. 뒷가슴배판 사이로 배 제1마디 배판이 길쭉하게 뒷다리 기절 사이로 파고 들어가 있어 기절의 움직임을 자유롭게 한다.

현존 딱정벌레의 90%, 약 30만종이 이 아목에 속한다. 한국산 딱정벌레목은 총 100과 이상, 풍뎅이아목은 거의 90과가 된다.

7. 둘러보기

곤충의 분류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2em"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곤충강
단관절구류 돌좀목
쌍관절구류 무시아강 좀목
유시아강 고시하강 하루살이목, 잠자리목
신시하강 외시상목 메뚜기계열 강도래목, 대벌레목, 망시상목, 메뚜기목
무시귀뚜라미붙이목, 민벌레목, 집게벌레목, 흰개미붙이목
노린재계열 노린재목, 다듬이벌레목, 총채벌레목
내시상목 벌목
무옆허군 그물날개상목 그물날개군 풀잠자리목, 뱀잠자리목, 약대벌레목
딱지날개군 딱정벌레목, 부채벌레목
긴날개군 치장날개상목 날도래목, 나비목
정자펌프군 파리목, 밑들이목, 벼룩목
}}}}}}}}} ||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6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6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1] 시계방향으로 사슴벌레과의 일종, 장수풍뎅이의 일종, 바구미류, 풍뎅이류, 먼지벌레류이다.[2] 다만 개체수로 보면 지구상에서 가장 많은 곤충은 목, 그 중에서도 개미다.[3] 위용이라고 한다. 파리목의 곤충들이 이러한 경우이다.[4] EBS 다큐멘터리 '곤충 밀리미터의 세계'에서도 소개되었다. 이 벌레는 유충시기에는 개구리 몸에 붙어 체액을 빨아먹고 살고, 성충은 직접 포식하고 다닌다. 사냥 방법이 실로 무서운데, 등을 물어 척수를 파괴해 하반신을 마비시켜 못 뛰게 만든 뒤 산채로 잡아먹는다.[5] 김은중 연구원과 안승락 박사는 잎벌레 도감을 집필하기도 했다.[6] "신이 모든 동물을 창조했다는 게 사실이라면 신은 딱덕후딱정벌레에 굉장히 집착하시는 모양이다"라고 찰스 다윈이 말했다는 설도 있다.[7] 풍뎅이과, 사슴벌레과, 비단벌레과, 바구미과, 하늘소과, 방아벌레과, 물땡땡이과, 빗살수염벌레과.[8] 딱정벌렛과, 거저리과, 가뢰과, 반날개과, 무당벌레과, 반딧불이과, 물방개과, 물맴이과, 잎벌레과, 일부 하늘소과.[9] 이 둘의 대중 인식을 직접 비교해보자면, 충왕전 때 황제전갈장수풍뎅이의 싸움에서 장수풍뎅이가 뿔과 왼쪽 눈, 얼굴 반인 왼쪽, 오른쪽 다리가 잘리는 중상을 입자 해당 경기는 학대논란과 함께 엄청난 비난을 받았다. 링크의 댓글 참고. 반면 대표적 해충인 바퀴벌레를 두고는, 링크 건 영상에 달린 댓글에서도 나오듯, 앞의 장수풍뎅이 VS 황제전갈과 비슷한 상황임에도 불구하고 사람들은 전혀 다르게 반응했다.#[10] 홍단딱정벌레, 멋쟁이딱정벌레, 우리딱정벌레, 폭탄먼지벌레, 먼지벌레, 길앞잡이 등.[11] 이는 밑의 풍뎅이아목에는 해당하지 않는다. 풍뎅이류와 다른 딱정벌레 분류군을 구분할 수 있는 중요한 분류 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