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임즈 워크숍| 게임즈 워크숍의 미니어처 게임 ]] | ||||
{{{#!wiki style="margin:0 -11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주요 미니어처 게임 ] {{{#!wiki style="margin: -5px 0 -10px" | [[Warhammer 40,000| 워해머 40,000 ]] | [[Warhammer: Age of Sigmar| 에이지 오브 지그마 ]] | ||
[[Warhammer: The Horus Heresy| 호루스 헤러시 ]] | [[Warhammer: The Old World| 워해머: 올드 월드 ]] | |||
[[네크로문다(미니어처 게임)| 네크로문다 ]] | [[미들어스 전략 전투 미니어처 게임| 가운데땅 전략 전투 게임 ]] | }}}}}}}}} | ||
{{{#!wiki style="margin:0 -11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기타 미니어처 게임 ] {{{#!wiki style="margin: -5px 0 -10px" | 워해머 40,000 연계 미니어처 게임 | |||
[[Warhammer 40,000: Kill Team| | [[Blackstone Fortress| | [[컴뱃 아레나| | [[스페이스 마린 어드벤처| | |
호루스 헤러시 연계 미니어처 게임 | ||||
[[Legions Imperialis| | [[에어로나우티카| | [[아뎁투스 타이타니쿠스| | ||
에이지 오브 지그마 연계 미니어처 게임 | ||||
[[Warhammer Underworlds| | [[Warhammer Age of Sigmar: WarCry| | [[Warhammer Quest: Cursed City| | ||
블러드 보울 관련 미니어처 게임 | ||||
[[Warhammer: Blood Bowl| | [[Warhammer: Blitz Bowl| | }}}}}}}}} |
1. 개요
J.R.R. 톨킨의 반지의 제왕과 호빗을 배경으로 만들어진 미니어처 게임이다. 워해머 40000과 워해머 에이지 오브 지그마 시리즈를 만든 게임즈 워크숍이 제작하였다.2. 특징
반지의 제왕 및 호빗 작품에 나오는 세력들을 팩션으로 하여 제작된 미니어처 게임이다. 게임즈 워크숍이 반지의 제왕 및 호빗 영화와 원작에대한 판권을 보유하고 있어서 영화뿐만이 아닌 책에서 나오는 세력들 역시 구현이되어있다. 다만 2024년 말 개정이 발표된 이후 영화에 나오지 않은 세력들은 아직 새로운 개정룰을 받지 못하였다.현재 2024년 기준의 룰을 기반으로 본다면 자유구성이 사라지고 영화 및 영상 매체가 기반인 아미리스트 형식만 남아있기에 본인이 구매하려는 모델들을 저령하게 구매할 방법을 찾고 이를 바탕으로 아미를 짜는 것이 좋을 것이다.
3. 미니어처
반지의 제왕 미니어처들은 기본적으로 조형이 매우 잘 뽑힌 편이다. 특히 영화에 나왔던 세력이나 네임드들은 영화판을 기준으로 디자인된 조형이 많고 이들은 대부분 호평을 받는 편.
현재 반지의제왕의 알반병 플라스틱 모델중 이전에 나온 모델들은 통짜형태를 띄는 경우가 많다. 조립이 간편하기에 미니어처 게임에 처음 입문하고 또 조립을 어렵게 생각하는 사람들에게는 반가운 소식중 하나이다. 하지만 새로 나오는 모델들의 경우는 일반병들도 분할조립의 방식읠 다시 띄고 있다.
그리고 반지의 제왕은 아직 주석, 파인캐스트, 포지월드 모델들이 다수 존재하는 편이다.
gw의 메인 게임인 워해머 40000과 워해머 에이지 오브 지그마 등지에서 주석은 퇴출된지 오래고 파인캐스트도 점차 사라지고 있으며, 에오지의 경우는 포지월드 모델을 죄다 레전드로 보내버렸지만 반지의 제왕은 아직은 해당 비중이 적지않은 편이다.
대표적으로 곤도르에서 사용이 가능한 백색탑의 보로미르는 주석모델, 모르도르의 사우론은 파인캐스트 모델, 동부인은 영웅진이 전부 파인캐스트 혹은 포지월드이다. 이로인해 입문을 준비할때 본인이 준비하려는 팩션이 어떤 재질이 위주인지 파악하는 것도 중요할 것이다.
골때리는 경우도 있는데 대표적으로 돌 암로스의 백조 기사단은 기병은 플라스틱이지만 하마버전은 포지월드제라서 제대로 굴리려먼 두 가지를 모두 구매해야한다. 반지의 제왕에서는 기병이 말에서 내리는 룰이 있기 때문.
뿐만아니라 본사 직구인 모델이 많다보니 국내에서 반지의 제왕 미니어처 게임을 입문하는 것은 다른 gw 게임과 비교하면 조금 어려울 수도 있다.
원작이 있기 때문에 워해머 처럼 없던 모델을 새로 만들어 밸런스를 뒤흔드는 일은 거의 일어나지 않는 편이다.
4. 룰
반지의 제왕은 게임방식이 다양하다.국내에서 주로 도는 건 650~700포인트 규모의 정규전으로 스타터 세트등으로 간편히 입문하기 좋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대규모 방진 게임인 워 오브더 링같은 게임도 존재한다.
세세한 룰로 보면 상당히 독특한데, 가령 사격을 한다면 장애물이 있는지 확인하고 만일 장애믈이 있다면 명중굴림 후 장애물에 걸리지 않는지 장애물 굴림도 해야한다.
근접전에서는 먼저 듀얼 굴림을 통해 전투에서 누가 이겼는지 판단하고 진 상대는 1인치 뒤로가고 이긴 상대는 접근해서 데미지판정 굴림을 한다.
미들어스 미니어처 게임에서 꽃이라고 부를만한 병종은 바로 기병이다. 이 게임에서 기병은 이동거리도 거리지만 보병인 상대에게 차지하기되면 어택수가 1증가하고 듀얼에서 이기면 상대를 '넉더 그라운드'상태로 만들어서 어택수 보너스를 받을 수 있다.
만일 랜스를 든다면 운드롤 주사위값에 1만큼 추가할수도 있어서 여러모로 이득이다.
룰이 직관적인편에 가깝고 상식적으로 생각하면 이해가 되는 것들이 제법 있어서 크게 어렵지는 않지만 한글로 공식번역이 되어있지 않다는 점은 알고 있을 것.
5. 팩션
반지의 제왕 팩션
선 | 반지원정대 | 샤이어 | 레인저 | 누메노르 | 미나스 티리스 | 봉국 | 죽은자들의 군대 | 아노르노 | 로한 | 리븐델 | 로스로리엔 | 팡고른 | 안개산맥 | 카하짓 둠 |
악 | 모르도르 | 모리아 | 아이센가드 | 이스터링 | 서펜트 호드 | 앙그마르 | 바랏두르 | 움바르 해적 | 샤키의 도적 | 던랜드 |
호빗 팩션
선 | 소린의 가신단 | 스로로의 군대 | 철산 | 에레보르 리클레임 | 강변마을군대 | 강변마을 생존자들 | 가리슨 오브 데일 | 리븐델 | 할스 오브 스란두일 | 라다가스트의 동맹 | 백색의회 |
악 | 아조그 군단 | 아조그의 사냥꾼 | 돌굴두르 | 고블린 타운 | 트롤 | 어둠숲의 깊은곳 주민들 | 스마우그 |
6. 역대 스타터
2018년에 공개되었던 펠렌노르 평원 스타터 세트
로한과 죽은자들의 군대, 그리고 모르도르로 구성된 세트이다.
현재는 단종되어서 일부 샵에서만 구할 수 있다.
2022년에 공개된 오스길리아스 전투 컨셉 스타터 세트 등으로 오스길리아스를 방어하는 곤도르 군대와 이실리엔 순찰대 그리고 모르도르 부대로 구성되어있다.
해당박스의 발매로 파라미르, 마드릴, 뎀로드 세명이 플라스틱화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