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0-05 12:26:02

베르베르어파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민족
베르베르인 · 투아레그족 · 하라틴인 · 사흐라위인 · 관체족
언어
베르베르어 · 투아레그어
국가 / 지역
파일:리비아 국기.svg 리비아 · 파일:모로코 국기.svg 모로코 · 파일:모리타니 국기.svg 모리타니 · 파일:사하라 아랍 민주 공화국 국기.svg 사하라 아랍 민주 공화국 (미승인국) · 파일:알제리 국기.svg 알제리 · 파일:카나리아 제도 기.svg 카나리아 제도 (속령) · 파일:튀니지 국기.svg 튀니지 · 파일:니제르 국기.svg 니제르 · 파일:말리 국기.svg 말리
신화
베르베르 신화 · 베르베르주의
}}}}}}}}} ||

아프리카아시아어족
Afroasiatic Languages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2px -12px; letter-spacing: -0.5px;"
<colbgcolor=#8e912a> 셈어파 <colbgcolor=#8e912a><colcolor=#FFF> 동셈어군 아카드어 · 에블라어
북서셈어군 아람어(서신아람어 · 투로요어 · 아시리아 신아람어 · 칼데아 신아람어 · 만다야어 · 시리아어 · 사마리아 아람어 ) · 가나안어(히브리어 · 사마리아 히브리어 · 페니키아어 · 퓨니크어) · 아모리어
남서셈어군 아랍어 ( 아랍어 방언 · 이집트 아랍어 · 하사니야어 · 차드 아랍어 · 수단 아랍어 · 주바 아랍어 · 중앙아시아 아랍어 · 마그레브 아랍어 ) · 몰타어
남부셈어군 사바어 · 하드라마우트어 · 라지흐어 · 소코트라어 · 메흐라어 · 하라시스어 · 그으즈어 · 암하라어 · 티그리냐어 · 티그레어
이집트어파 콥트어 · 고전 이집트어
베르베르어파 누미디아어 · 관체어 · 카빌어 · 리프어 · 실하어 · 샤위아어 · 투아레그어 · 제나가어 · 시와어 · 가다메스어 · 타마지트어
차드어파 하우사어 · 론어 · 볼어 · 바데어 · 부라어 · 투막어
쿠시어파 소말리어 · 오로모어 · 아파르어 · 베자어
오모어파 월라이타어
  • 표시가 된 것은 사멸된 어군 혹은 언어
}}}}}}}}}
파일:berber language.png

1. 개요2. 사용3. 문자

[clearfix]

1. 개요

ⵏⴰⵎⵓⵡⵉⴽⵉ, ⴰⵙⴻⴽⵍⵓ ⵏ ⵜⵎⵓⵙⵏⵉ ⴰⵢ ⴷ-ⵜⴻⵜⵜⵉⵎⵖⵓⵔⴻⵎ ⴰⴽⴽ.
나무위키, 여러분이 가꾸어 나가는 지식의 나무.
베르베르어: ⵜⴰⵎⴰⵣⵉⵖⵜ (Tamazight)
영어: Berber languages

일부 서아프리카북아프리카 일대에서 쓰이는 아프리카아시아어족의 한 어파.

보통 베르베르어라고 하지만 정확히는 베르베르어파의 여러 언어들을 일컫는 말로, 대표적으로는 모로코타마지트어(Tamazight)와 실하어(Tašlḥiyt), 리프어(Tarifit), 알제리카빌어(Taqbaylit)와 샤위야어(Tacawit), 그리고 사하라 사막에 사는 투아레그족이 쓰는 투아레그어파(Tamasheq)의 언어들이 있다. 지금은 소멸한 관체족들의 관체어도 베르베르어파에 속해 있다.

모로코의 경우 2004년 통계에 의하면 베르베르어 화자는 750만여 명으로 모로코 인구의 30% 정도였으나, 실제로는 최대 60-80%에 달하는 사람들이 베르베르어를 사용한다는 추정도 있다. 알제리 역시 인구의 약 30%가 베르베르어를 사용하고 있다. 그 외에 말리, 니제르 등의 국가에서도 투아레그족이 베르베르어를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총 베르베르어 화자 수는 마그레브 지역의 2000만여 명 + 투아레그족 100만여 명 정도로 총 2100만명 정도로 추산된다.

마그레브 아랍어가 베르베르어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 본래 마그레브 지역의 토착민이 베르베르인이고, 현재의 마그레브 지역 거주민들도 아랍화된 베르베르인아랍인과 베르베르인의 혼혈이 대다수이므로 어찌보면 당연한 일이기도 하다.

2. 사용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320px-Amz-plake_province_Tiznite.jpg
티피나그 문자(가운데)가 쓰인 모로코의 도로 표지판.
아랍어(위)와 프랑스어(아래)가 병기되어 있다.
원래 베르베르어를 사용하는 지역에서는 아랍어가 공용어로 사용되어 글로 잘 쓰이지 않았으나, 전통적으로 티피나그(Tifinagh)라고 하는 문자가 베르베르어를 표기하기 위해 사용되었다. 원래 티피나그는 아랍 문자처럼 자음만 표기하는 아브자드였으나, 20세기 들어 개량된 신 티피나그(Neo-Tifinagh) 문자의 경우 모음 기호가 추가되어 알파벳에 속한다. 한편 로마자아랍 문자 역시 베르베르어를 표기하는 데 사용되었으며, 로마자의 경우 티피나그보다 컴퓨터 등지에서 입력이 편하기 때문에 자주 쓰인다. 공식적으로는 모로코에서는 티피나그 문자를 표준으로 지정하고 있는 반면, 말리니제르에서는 로마자를 표준으로 지정하고 있다.

발음상으로는 아랍어처럼 인두음구개수음 등 발음하기 난감한 자음들이 많이 존재하고, 자음 연속이 심한 편이다.

다르지만 연관이 어느 정도 강한 언어파로는 셈어파가 있다. 베르베르어는 베르베르어파(일명 함어파)[1]로 알려져 있고 최근에는 함어보다는 "베르베르어"로 더 많이 표기된다. 삼성 핸드폰 언어설정 등에선 베르베르어로 자신들의 언어를 일컫는 Tamazight를 옮긴 타마지트어로 나오기도 한다.

베르베르 문자 ⵣ는 키릴 문자 Ж, 홍콩 MTR 로고와[2] 닮았다.

랑데뷰라는 노래의 베르베르어 버전.
ⴰⴽⵛⴰⴳⵄⴰⵖ ⴰⵢⵏⴷⵉⵏ ⵟⵓⵔⴰ
ⵀⴰⵔⵣⴰⵖⴽ ⴰⵍⵇⴰⵢ ⴹⴰⵅⴰⵍ
ⵓⵍⵉⵡ
ⵢⵉⵡⵄⴰⵔ.. ⵇⴰⵔⵉⵀ..
ⴰⵛⴽⵓ, ⴰⴽⵛⴰⴳⵄⴰⵖ ⴰⵢⵏⴷⵉⵏ
ⵙⵉⵡⴰⴽ ⵉⵀⴰⵎⵍⴰⵖ.. ⵓⵔⵊⴰⵖⴽ..
ⴰⵛⴽⵓ ⵟⵓⵔⴰ, ⴰⴽⵛⴰⴳⵄⴰⵖ
ⴰⵜⵙⵔⵓⵀⴰⴹ..
ⵏⴰⵎⵍⴰⵍ ⵉⴹⴰⵍⵉ
ⵟⴰⵍⵉⴹ ⴹⵉⵟⴰⵔⴳⵉⵟⵉⵡ,
ⵟⵓⵙⵉⴹⴷ ⵖⵓⵔⵉ
ⵙⵟⴰⵡⴰⵔⵏⴰⵏⵜ ⴹⵉⵎⴰⵜⵉ
ⴳⴰⵍⵏⵉⴽ ⵟⴰⵙⴰⵇⵙⴰⵢⴰⴹ,
''ⵟⵀⴰⵎⴰⵍⴹⵉⵢⵉ?
ⵟⵓⵔⵊⴰⴹ? ⵢⴰⵍⴰⵙ ⵡⵖⵉⵖ
ⴰⴹⵉⵉⵖ ⵙⵉⴹⵉⵙⵉⴽ, ⵜⵙⵉⵍⴰⴽ
ⵓⵔⵢⵉⵛⴰⵊⴰⴰⴹⵔⵓⵀⴰⵖ... ''
ⵓⵔⴰⵣⵔⵉⵖ ⵎⴰⵟⴰⵛⴼⵉⴹ ⴼⴰⵍⵉ.
ⵟⴰⴱⵉⴹ ⴰⵔⴽ ⵍⴰⵀⵎⴰⵍⴰⵡ.
ⵡⵉⵛⵇⴰ, ⵎⵓⵔ ⵟⴰⵣⵔⵉⴹ.
ⵟⵓⵔⴰ ⴰⵜⵙⴰⵔⴳⵓⵖ ⴰⵛⵎⵓⵎⴰⵀ,
ⵙⵡⴰⴹⴰⵖ ⴰⵖⵉⵍⵉⴼ, ⵉⵏⴰⴽⵎⴰⵍ
ⴰⵍⴼⴰⵔⵀⵉⵡ.
ⵟⵀⴰⵎⴰⵍⴹⵉⵢⵉ ⵎⵉⵜⵙ
ⵟⴰⵣⵔⵉⴹ ⴹⴳⵉ, ⴰⵛⴽⵓ
ⵀⴰⵎⵍⴰⵖⴽ ⴰⵢⴰⵏⴷⵉⵏ..
ⴰⴽⵀⴰⵔⵣⴰⵖ ⵢⴰⵍⴰⵙ, ⵓⵔⵊⵉⵏ
ⴰⴽⴰⵊⴰⵖ ⴰⵜⵙⵔⵓⵀⴰⴹ.
ⴰⵍⵄⴰⵎⵔⵉⵡ.. ⴰⵟⴰⵢⵔⵉⵡ..
ⵉⵏⵉⴷ ⴰⵏⵉⵍⵉ ⵉⵍⴰⵡⴹⴰ
ⵍⵡⴰⵀⵉⴹ.
ⴰⵎⵏⵉⵢⵉ.
ⴰⵜⴼ ⵉⴼⴰⵙⵏⵉⵡ.
ⵓⵔⴹⴰⵍⴰⵇ ⵉⵢⴼⴰⵙⵏⴰⵏⴰⵖ
ⴹⴰⵖⴰⵏ.

3. 문자

티피나그 문자
ⵜⴼⵏⵗ / Tifinagh
ⴿ



[1] 과거에는 함어파라고 하면 베르베르어와 더불어 동부의 쿠시어파, 소말리어, 에티오피아어도 가리켰으나 베르베르어와는 다르기에 현재는 구분이 된 상태이다.[2] 닮은 수준이 아니라 아예 똑같이 생겼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