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1-01 18:57:39

변태준

{{{#!wiki style="margin:0 -10px -5px"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25%; min-height:2em"
{{{#!folding [ 태동기 ]
{{{#!wiki style="margin:-5px 0 -5px"
스타크래프트 프로게이머 등장
Villert [ruby(빅터 마틴,ruby=eVERLAST)] [ruby(김태형,ruby=rainbow)] [ruby(신주영,ruby=Honest)]
[ruby(웨인창,ruby=SoSo)] [ruby(이기석,ruby=SSamJang)]
[ruby(톰 캐드웰,ruby=Zileas)] [ruby(기욤 패트리,ruby=Grrr...)]
★ [ruby(기욤 패트리,ruby=선사의 군주)] ★
한국 중심 리그 형성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25%; min-height:2em"
{{{#!folding ⠀[ 낭만시대 ]⠀
{{{#!wiki style="margin:-5px 0 -5px"
{{{#!wiki style="margin: -16px -11px;" [ruby(김정민,ruby=정석)]
랜덤의 황제
최인규
[ruby(최진우,ruby=무한확장)] [ruby(국기봉,ruby=생각하는 히드라)] [ruby(강도경,ruby=저그대마왕)] [ruby(봉준구,ruby=살아있는 뮤탈)] [ruby(임성춘,ruby=한방러쉬)] ★ [ruby(기욤 패트리,ruby=마법사)]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ruby(김정민,ruby=귀족)] [ruby(최인규,ruby=마우스 오브 조로)] [ruby(변길섭,ruby=불꽃테란)] ★ [ruby(임요환,ruby=환상의 테란)] ★ [ruby(변성철,ruby=헝그리 저그)] [ruby(강도경,ruby=저그 대마왕)] [ruby(기욤 패트리,ruby=푸른 눈의 전사)] [ruby(김동수,ruby=농사꾼)] }}}
{{{#!wiki style="margin: -16px -11px;" [ruby(김동수,ruby=가림토스)]
★ [ruby(임요환,ruby=황제)] ★ [ruby(홍진호,ruby=황신)]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ruby(임요환,ruby=황제)] ★ [ruby(홍진호,ruby=폭풍)] [ruby(박정석,ruby=무당스톰)] }}}
{{{#!wiki style="margin: -16px -11px;" [ruby(서지훈,ruby=퍼펙트테란)]
[ruby(임요환,ruby=황제)] ★ [ruby(이윤열,ruby=천재)] ★ [ruby(홍진호,ruby=폭풍)] [ruby(박정석,ruby=영웅)] }}}
{{{#!wiki style="margin: -16px -11px;" [ruby(서지훈,ruby=퍼펙트테란)] [ruby(임요환,ruby=황제)] ★ [ruby(이윤열,ruby=황태자)] ★ [ruby(박정석,ruby=영웅)]
[ruby(홍진호,ruby=폭풍)] [ruby(조용호,ruby=목동저그)] [ruby(박경락,ruby=공공의 적)] }}}
{{{#!wiki style="margin: -16px -11px;" [ruby(임요환,ruby=황제)] ★ [ruby(이윤열,ruby=천재)] ★ [ruby(홍진호,ruby=폭풍)] [ruby(조용호,ruby=목동저그)] [ruby(박경락,ruby=삼지안)]
[ruby(강민,ruby=몽상가)] [ruby(박정석,ruby=영웅)] [ruby(박용욱,ruby=악마)] }}}
{{{#!wiki style="margin: -16px -11px;" [ruby(홍진호,ruby=폭풍저그)] [ruby(조용호,ruby=목동저그)] [ruby(강민,ruby=꿈의 군주)] [ruby(박정석,ruby=영웅)] [ruby(박용욱,ruby=악마)]
[ruby(임요환,ruby=테란의 황제)] [ruby(이윤열,ruby=천재테란)] ★ [ruby(최연성,ruby=괴물테란)]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ruby(임요환,ruby=황제)] [ruby(이윤열,ruby=천재)] ★ [ruby(최연성,ruby=괴물)] ★ [ruby(홍진호,ruby=폭풍저그)] [ruby(조용호,ruby=목동저그)] [ruby(강민,ruby=몽상가)] [ruby(박정석,ruby=영웅)] [ruby(박용욱,ruby=악마)]
[ruby(변은종,ruby=실버벨)] [ruby(박태민,ruby=운영의 마술사)] [ruby(박성준,ruby=투신)] }}}
{{{#!wiki style="margin: -16px -11px;" [ruby(임요환,ruby=황제)] ★ [ruby(최연성,ruby=괴물)] ★ [ruby(홍진호,ruby=폭풍저그)] [ruby(조용호,ruby=목동저그)] [ruby(강민,ruby=몽상가)] [ruby(박정석,ruby=영웅)] [ruby(박용욱,ruby=악마)]
[ruby(이윤열,ruby=머신)] [ruby(박태민,ruby=운영의 신)] [ruby(박성준,ruby=투신)] }}}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25%; min-height:2em"
{{{#!folding ⠀[ 본좌쟁투 ]⠀
{{{#!wiki style="margin:-5px 0 -5px"
테란 패권 종결
{{{#!wiki style="margin: -16px -11px;" [ruby(임요환,ruby=황제)] [ruby(이윤열,ruby=천재)] [ruby(최연성,ruby=괴물)] [ruby(한동욱,ruby=아트테란)] [ruby(조용호,ruby=목동저그)] [ruby(홍진호,ruby=폭풍)] ★ [ruby(박성준,ruby=박본좌)] ★ [ruby(강민,ruby=몽상가)] [ruby(박정석,ruby=영웅)]
[ruby(박지호,ruby=스피릿)] [ruby(오영종,ruby=사신)] [ruby(송병구,ruby=총사령관)] }}}
{{{#!wiki style="margin: -16px -11px;" [ruby(이윤열,ruby=천재)] [ruby(최연성,ruby=괴물)] [ruby(한동욱,ruby=아트테란)] ★ [ruby(조용호,ruby=목동저그)] ★ [ruby(마재윤,ruby=마에스트로)] [ruby(박성준,ruby=투신)] [ruby(강민,ruby=몽상가)] [ruby(박지호,ruby=스피릿)] [ruby(오영종,ruby=사신)] [ruby(송병구,ruby=총사령관)] }}}
{{{#!wiki style="margin: -16px -11px;" [ruby(이윤열,ruby=천재)] [ruby(최연성,ruby=괴물)] [ruby(박성준,ruby=투신)] [ruby(송병구,ruby=총사령관)]
★ [ruby(마재윤,ruby=마본좌)] ★ [ruby(강민,ruby=광통령)] }}}
{{{#!wiki style="margin: -16px -11px;" [ruby(이윤열,ruby=천재)] [ruby(최연성,ruby=괴물)] [ruby(박성준,ruby=투신)] [ruby(강민,ruby=몽상가)] [ruby(송병구,ruby=총사령관)]
★ [ruby(마재윤,ruby=본좌)] ★ [ruby(김택용,ruby=기적의 혁명가)] }}}
{{{#!wiki style="margin: -16px -11px;" [ruby(이영호,ruby=최종병기)] [ruby(박성균,ruby=독사)] [ruby(박성준,ruby=투신)] [ruby(김택용,ruby=혁명가)] [ruby(송병구,ruby=총사령관)]
★ [ruby(마재윤,ruby=마에스트로)] ★ [ruby(김준영,ruby=대인배)] [ruby(이제동,ruby=파괴신)] }}}
{{{#!wiki style="margin: -16px -11px;" [ruby(이영호,ruby=최종병기)] [ruby(박성균,ruby=독사)] [ruby(박성준,ruby=투신)] [ruby(마재윤,ruby=마에스트로)] [ruby(김준영,ruby=대인배)] [ruby(이제동,ruby=폭군)] [ruby(김구현,ruby=조커)] [ruby(허영무,ruby=야전사령관)]
★ [ruby(김택용,ruby=혁명가)] ★ ★ [ruby(송병구,ruby=총사령관)]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ruby(박성균,ruby=독사)] [ruby(박성준,ruby=투신)] [ruby(김준영,ruby=대인배)] [ruby(김택용,ruby=혁명가)] [ruby(송병구,ruby=총사령관)] [ruby(김구현,ruby=붉은 셔틀의 곡예사)] [ruby(허영무,ruby=허느님)]
[ruby(이영호,ruby=최종병기)] ★ [ruby(이제동,ruby=폭군)]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ruby(정명훈,ruby=국본)] ★ [ruby(이영호,ruby=최종병기)] ★ [ruby(이제동,ruby=폭군)] [ruby(김준영,ruby=대인배)] [ruby(김택용,ruby=기적의 혁명가)] [ruby(송병구,ruby=무결점의 총사령관)] [ruby(김구현,ruby=구질라)] [ruby(허영무,ruby=올마이티)] [ruby(도재욱,ruby=괴수)] }}}
{{{#!wiki style="margin: -16px -11px;" [ruby(이영호,ruby=최종병기)] [ruby(정명훈,ruby=국본)] [ruby(이제동,ruby=폭군)] [ruby(김명운,ruby=쥬인배)]
★ [ruby(김택용,ruby=비룡)] ★ ★ [ruby(송병구,ruby=공룡)] ★ [ruby(허영무,ruby=운룡)] [ruby(김구현,ruby=적룡)] [ruby(도재욱,ruby=괴룡)] [ruby(윤용태,ruby=뇌룡)] }}}
{{{#!wiki style="margin: -16px -11px;" [ruby(이영호,ruby=최종병기)] [ruby(정명훈,ruby=테러리스트)] ★ [ruby(이제동,ruby=폭군)] ★ [ruby(김택용,ruby=혁명가)] [ruby(송병구,ruby=총사령관)] [ruby(허영무,ruby=잠룡)] [ruby(김구현,ruby=적룡)] [ruby(윤용태,ruby=뇌제)]
[ruby(김윤환,ruby=브레인)] [ruby(김정우,ruby=불사조)] [ruby(김명운,ruby=퀸의 아들)] }}}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25%; min-height:2em"
{{{#!folding ⠀[ 황혼기 ]⠀
{{{#!wiki style="margin:-5px 0 -10px"
{{{#!wiki style="margin: -16px -11px;" [ruby(윤용태,ruby=전투의 신)]
[ruby(김택용,ruby=비수)] [ruby(송병구,ruby=총사령관)] [ruby(이영호,ruby=GOD)] [ruby(이제동,ruby=폭군)] }}}
{{{#!wiki style="margin: -16px -11px;" [ruby(김명운,ruby=퀸의 아들)] [ruby(신동원,ruby=하이엔드)]
[ruby(허영무,ruby=올마이티)] [ruby(정명훈,ruby=초갓)]}}}
같이 보기: KeSPA 랭킹 | 스타크래프트 프로게이머 라인 | 김장임박 | 신이염 | 본좌론 | 스타크래프트 라이벌 매치 | 로열로더 | 가을의 전설 | 6.20 황색혁명 | 광삼패 | 1.23 정전사건
}}}}}}}}}}}} ||

1. 개요2. 활약상3. 여담

[clearfix]

1. 개요

스타크래프트 1 시절의 e스포츠 용어 중 하나.

스타크래프트 프로게이머저그로 한 시대를 풍미했던 실버벨 변은종, 운영의 마술사 박태민, 투신 박성준을 칭하는 말.

조진락의 뒤를 이어서 등장한 이들은 2004~2006년이윤열, 최연성을 앞세운 테란의 전성시대 때 저그의 강력한 버팀목 역할을 했던 선수들이다. 처음 단어가 정립된 것은 스타리그 역대 최소의 저그 출전자가 나온 Gillette 스타리그 2004에서 이 3명만 스타리그 진출자로 남았을 때. 프로토스의 재앙인 박성준 1명을 제외하면 의외로 토막 기질들이 있다.

2. 활약상

변태준의 양대 개인리그 경력
이름 온게임넷 스타리그 MSL
본선 횟수 본선 횟수
변은종 0 0 2 8회 0 0 1 8회
박태민 0 0 2 10회 1 0 1 7회
박성준 3 2 0 15회 0 0 0 8회
사실 이 단어는 조진락에 비해 유명세가 떨어지는데, 박태민은 2000년 WCGC(WCG의 전신)에서 금메달을 수상한 적이 있는 박성준, 변은종보다 데뷔 시기가 앞섰던 게이머였으며, 조용호홍진호가 2006년까지 개인리그[1]에서 꾸준히 활동했고, 마준동의 마모씨가 이미 우승자였던 데다 박성준은 마준동이 활약하던 2008년에도 개인리그 우승을 달성했던 게이머였다.

그리고 애시당초 변은종이 투명라인임은 둘째치고 나머지 2명하고 같이 묶이기에는 레벨 차이가 많이 난것도 사실인 이유도 있다. 거기에 변은종은 박성준과 박태민에게 상대전적으로 매우 크게 밀렸다.[2] 그로 인해 박태민 - 박성준 둘만을 지칭하는 양박저그라는 말이 더 널리 쓰였지만 팀단위 리그에서만큼은 오히려 변은종이 그 둘보다 더 뛰어난 모습을 보여주기도 했고[3][4] 확실히 당시 여타 저그보다는 뛰어난 편이라 명맥을 이어갔다.

개인리그 우승은 박성준이 Gillette 스타리그 2004에서 가장 먼저 달성했지만, 개인리그 본선은 박태민이 2001 코카콜라배 온게임넷 스타리그에서 가장 먼저 진출했으며, 개인리그 4강은 변은종이 NHN 한게임배 온게임넷 스타리그 03~04에서 4위를 차지하면서 이 둘보다 가장 먼저 입성하였다.

우승 경력은 조진락보다 진화되어 2명이 개인리그 우승을 따냈고, 모두 테란을 상대로 우승을 한 경력이 있다. 박태민은 양대리그에서 역대급으로 빡센 일정의 당신은 골프왕 MSL에서 이윤열을 상대로 7전 4선승제에서 승리하며 우승을 차지하였고, 박성준은 EVER 스타리그 2005에서 이병민을 상대로 우승을 차지했다. 변은종은 4강권은 유지했지만, 다전제에서의 약점[5]을 극복하지 못한 채 아쉽게도 우승은 단 한 번도 이루지 못하고 은퇴했다. 또한 박태민의 경우 김정우와 함께 공식전(개인리그+프로리그) 최다 연승(15연승) 기록도 보유하고 있다.

변태준의 특이사항으로는 일단 박성준과 박태민 두 선수 모두 각 방송사의 최초 저그 우승자라는 기록을 가지고 있다는 점이다.[6] 또한 박성준은 온게임넷 스타리그에서는 본선 진출 총 15회로 역대 2위이자 저그 중에서는 1위 기록을 가지고 있고 우승 3회, 준우승 2회로 온게임넷 스타리그에서 가장 높은 커리어를 보유함과 함께 통산 다승 4위(98승)를 기록하였지만, MSL에서는 본선 진출 총 8회에 4강 이상을 간 적이 없었고, 박태민은 MSL 성적이 우승 1회, 4강 1회, 스타리그 성적이 4강 2회로 누적 커리어에서는 MSL이 더 높은 편이지만 본선 진출 횟수는 MSL이 총 7회, 스타리그가 총 10회로 본선 진출 기록만큼은 스타리그가 훨씬 더 좋았고 하부리그(챌린지리그, 듀얼 토너먼트) 포함 스타리그 최다 연승(11연승) 기록까지 보유하고 있는 것도 흥미로운 부분이다. 변은종은 스타리그와 MSL 모두 각각 총 8회 진출로 온게임넷은 4강 2회, MSL은 4강 1회로 어느 한 쪽에 성적이 쏠리지는 않은 편이었다.

변태준 간의 스타크래프트: 브루드 워 기준 상대 전적 리스트.
(공식전/비공식전 포함, 왼쪽의 선수가 앞으로)
변은종 박태민 박성준
변은종 4:4/4:8 1:2/3:7
박태민 4:4/8:4 9:6/9:6
박성준 2:1/7:3 6:9/6:9

3. 여담

현재 변태준의 근황을 살펴 보자면 변은종은 2008년에 은퇴하였고, 박태민은 해설자로 전환, 스2로 전환하며 현역으로 남았던 박성준도 은퇴하면서 이제 변태준 현역은 한 명도 남지 않게 되었다.

저그의 다음 세대로 마에스트로 마주작, 대인 김준영, 폭군 이제동으로 이루어진 마준동이 등장했고, 마준동의 다음 세대이자 마지막 세대는 3김저그다.

이 중 양대리그 결승, WCG 그랜드파이널 진출 경험이 없는 변은종을 제외한 나머지 2명은 e스포츠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


[1] 조용호는 CYON MSL 2005 우승, 신한은행 스타리그 2006 시즌 1 준우승, 홍진호도 신한은행 스타리그 2006 시즌 1에서 3위를 기록하며 개인리그에서의 마지막 불꽃을 태웠다.[2] 박성준과는 상대전적이 비공식전 포함 3:7로 더블 스코어 이상으로 매우 크게 밀렸고, 박태민과도 상대전적이 4:8로 더블 스코어로 매우 밀렸다.[3] 그러나 박성준과 박태민이 팀 단위 대회에서 부진했다고 보기는 어렵다. 박성준은 SKY 프로리그 2005 전기리그에서 다승왕, SKY 프로리그 2006 후기리그 결승전 MVP를 수상하였고, 박태민도 SKY 프로리그 2005 전기리그 결승전 MVP를 수상한 경험이 있다. 반면 변은종은 프로리그에서 두 선수와 다르게 개인상을 수상한 기록이 없었다. 그래도 팀리그에서는 다승왕 1회, 역대 다승 기록 1위를 기록하였다.[4] 또한 팀 단위 대회 우승 커리어도 양박 두 선수가 변은종한테 전혀 밀리는 것이 아닌 게 박성준은 프로리그 우승 1회, 준우승 1회, 통합챔피언전 우승 1회를 기록하였고, 박태민은 프로리그 우승 4회, 그랜드파이널 우승 1회, 통합챔피언전 준우승 1회, 팀리그 우승 3회, 준우승 1회를 기록하였으니... 반면 변은종의 팀 단위 대회 성적은 프로리그 우승 1회, 준우승 2회, 통합챔피언전 준우승 1회, 팀리그 준우승 1회가 최고 성적이고, 심지어 저 프로리그 우승 1회와 통합챔피언전 준우승 1회도 사실상 변은종이 전력 외 판정을 받았던 시기인 2007 시즌 때 달성한 것이다.[5] 5전제에서 얼마나 약했냐면 전패였을 뿐만 아니라 6번 모두 1번의 예외도 없이 모두 0:2 스코어 상황까지 갔었다.[6] 박성준은 온게임넷 스타리그 최초의 저그 우승자이며, 박태민은 MSL 최초의 저그 우승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