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보루(ボール), 담배를 세는 단위 명사
대개 담배 10갑을[1] 한 보루라고 한다. 영어 단어 'board'의 옛 일본식 표기인 'ボールド'(보루도)[2]가 줄어 '보루'(ボール)가 됐다고 한다.[3]미국과 영국에서는 “Carton“이라는 단어를 사용한다.
2. 현장 용어
걸레를 보루라고 부른다. 일본어로 면걸레를 보로(ぼろ: 襤褸)라고 한 게 유래라고 한다. 보통 헌옷, 특히 하얀색 상의가 주로 쓰인다.3. 堡壘, 군사 시설
1차적 의미는 성, 요새 등과 같은 군사 시설이지만, 실제로는 '삶의 보루', '최후의 보루', '마지막 보루' 등 "마지막으로 지켜야 할 것"이라는 의미로 자주 쓰인다. 잃으면 안 될 최후 지점이라는 의미에서는 마지노선과도 용법이 비슷하지만, 마지노선은 '경계선'의 의미가 강하다면 보루는 그 경계선 안쪽의 영역을 지칭하는 의미가 강하다.
영어 대역어로는 'bastion'이 흔히 제시된다(ET-house 능률 한영사전). '최후의 보루'라는 은유적 의미도 동일하게 'the last bastion' 식으로 쓰인다. 반대로 'redoubt'의 대역어로 보루가 자주 제시된다(옥스퍼드 영한사전).
3.1. 보루(bulwark), 월드 오브 워크래프트 티리스팔 숲~서부 역병지대의 지역
티리스팔 숲 최동단, 서부 역병지대로 이어지는 길목에 있는 포세이큰의 요새이다. 영문으로는 'bulwark'라는 제법 생소한 단어를 쓴다.[4]대격변 이전까지 이 지역 동쪽의 안돌할부터는 스컬지의 세력권이기에 말 그대로 스컬지로부터 티리스팔 숲을 보호해주는 최후의 보루였다. 다만 대격변 이후 서부 역병지대에서 스컬지를 완전히 몰아내고 안돌할까지 (얼라이언스를 내치고) 차지하면서 그런 절박함은 좀 줄어든 감이 있다.
이름답게 NPC들이 지키고 서있기 때문에 얼라이언스 플레이어는 이 길목을 지나가기가 좀 어렵다.
밑의 오크 건물과는 같은 호드 소속이라는 점만 빼면 상관없다. 그나마도 오크 지역이었다면 아래 보루 양식의 건물이 이 지역에도 나타났을 가능성이 있지만 포세이큰은 완전히 별도의 문화권이어서 오크식 건물은 전혀 없다.
3.2. 보루(stronghold), 워크래프트 시리즈 오크 호드의 건물
3.3. 보루(redoubt), 라이즈 오브 네이션즈의 요새 부류 건물
| 보루 Redoubt |
사실 높게 지어봤자 득이 되지 않을 시대이지만, 이전의 요새 건물과 높이를 맞춰야 하기 때문에 높은 탑이 세워져있다.
[clearfix]
[1] 정확히는 200개비 묶음을[2] 현재는 같은 영어 단어를 'ボード'(보도)라고 하며, ボールド는 '칠판'을 가리키는 용도로 간간히 쓴다.[3] 비슷하게 영어 단어의 일본식 발음에서 유래한 단위 명사로는 12개 묶음을 뜻하는 다스(ダース, dozen)가 있다.[4] 'a bulwark of democracy', 'a bulwark against communism' 등 외부 위협의 확산을 막아주는 방벽의 의미로 자주 쓰인다.[5] 좀 헷갈리지만 성채(keep) - 방책(stockade) - 벙커(bunker)는 탑 부류 건물의 이름으로 쓰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