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10px -10px -15px; word-break: keep-all" | <table width=100%><table bordercolor=#000000,#000000> | 봇치 더 록! 애니메이션 | }}} TVA 1기 (음악 · 평가 · 극장총집편) · TVA 2기 (음악 · 평가) 원작과의 차이점 |
1. 개요
봇치 더 록! 애니메이션 시리즈의 원작과의 차이점을 설명하는 문서.2. 1기
- 애니메이션과 원작의 시간대가 서로 다르다. 원작에서는 24화에서 히토리가 가져온 포스터에 '미확인 라이엇 2018'이라는 문구가 나오고 또 25화에 유튜브 영상을 투고할 때 2017년 10월 18일이라는 구체적인 연도가 나와 작중 시대상이 구체적으로 2017년이라는 것이 명시되는데, 애니메이션에서는 10화에서 FOLT 대합실 벽에 각각 2021년과 2022년에 붙은 띠지가 묘사된다. 이로 볼 때 애니메이션은 원작보다 시대상이 5년 뒤인 2022년이라는 것을 짐작할 수 있다.
2.1. 1화
- 원작에서는 첫 만남 때, 니지카가 히토리와 STARRY에 가는 도중 이런저런 이야기를 하면서 기타 히어로에 대해서도 언급하는데, 애니메이션에서는 STARRY에 가서 라이브 연습을 한 후 료와 히토리까지 있을 때 언급한다.
- 히토리의 에코백에 붙은 캔 뱃지 디자인이 원작에 비해 구체적으로 묘사되었는데, 실제 일본에서 활동중인 유명 록밴드 THE BACK HORN, SUPER BEAVER, 더 크로마뇽즈(ザ・クロマニヨンズ)[1], 크리프하이프, 넘버 걸, 삼보마스터, My Hair is Bad, UNISON SQUARE GARDEN의 것이다. 저작권 문제 때문인지 밴드 이름 및 로고 디자인은 일부 변형했다.
2.2. 2화
- 히토리가 얼음 목욕을 하는 장면과 선풍기 앞에서 기타 연습하는 장면은 원작에선 각각 알몸과 속옷 차림이었으나, 애니메이션에선 검열 문제 때문인지 전부 학교 수영복으로 바뀌었다.
2.3. 3화
- 기타의 기본을 모르는 키타를 보고 히토리가 당혹스러워 하는 데스노트 패러디(이 자식 안 되겠어 빨리 어떻게든 하지 않으면)가 애니메이션에서는 삭제되었다.
2.4. 4화
- 히토리가 보컬이 무리라고 말하는 장면에서, 원작에서는 속으로는 속으로는 사실 보컬을 하고 싶었다고 생각하는 진지한 장면이 있었으나, 애니메이션에서는 고개를 도리도리 흔드는 장면으로 바뀌었다.[2]
- 단체 점프 사진 찍다가 히토리의 팬티가 노출되는 에피소드는 원작에선 제대로 판치라 사진을 보여주나, 애니메이션에선 노출 관련 언급만 나오고 어떻게 찍혔는지는 보여주지 않는다. 역시나 검열 문제 때문에 수정한 것으로 추정.
- 료가 야생초를 먹고 체한 것으로 배경의 중요성을 설명하는 개그씬이 있었으나 생략되었다.[3]
- 원래는 사진촬영 에피소드 이후 시점에 진행되는 별개의 이야기였던 히토리의 작사 에피소드가 통합되었다.
2.5. 5화
- 오디션을 마치고 긴장한 히토리가 구토를 하는 장면이 원작에선 평범하게 묘사되었는데, 애니메이션에선 댐 방류 영상을 몇 개 곁들여 간접 표현하는 특이한 연출을 사용했다.
2.6. 6화
- 히토리가 망상을 하는 도중 나오는 천사 날개 기타는 실존하는 제품으로, 일본의 유명 록밴드 THE ALFEE의[5] 보컬 겸 기타리스트 타카미자와 토시히코(高見沢 俊彦)가 ESP에 특별주문을 넣어 소장중인 시그니처 기타다. 관련 이미지
- 히로이의 '행복 스파이럴'에 배경 삽화가 추가되었는데, 이는 일본에서 '약물의존의 악순환'이라는 인포그래픽이 한 때 밈으로 흥했던 것을 활용한 것이다.
2.7. 7화
- 히토리가 니지카에 의해 앞머리가 노출된 시퀀스는 원작에서는 별도의 연출이나 대사 없이 봇치 먼지에 감염된 니지카와 키타가 쓰러지는 장면으로 간단히 끝나지만, 애니메이션에서는 바람계곡의 나우시카의 부해 패러디가 다수 첨가되었고, 니지카와 키타의 멘붕한 대사가 추가되어 개그 포인트를 살렸으며, 이 참상을 본 고토 家의 리액션이 추가되었다.
- 니지카가 디자인한 티셔츠가 최종적으로 채택되었을 때 애니메이션에서는 히토리가 "그럼 니지카가 처음부터 혼자서 디자인했으면 됐던 거 아닌가?"하는 독백을 하고 니지카가 이 속마음을 정확히 읽어내면서 히토리가 "에스퍼(초능력자)냐!"라고 놀라는 장면이 추가되었다.
2.8. 8화
- 첫 라이브를 마친 히토리가 이자카야에서 하얗게 불태운 장면은 원작에도 있는 내일의 죠의 패러디이지만, 애니메이션에는 원작에 없는 추가 요소가 있다. 히토리가 "난 이제 지쳤어"라는 대사를 읊고 하늘에서 기타와 마이크 천사가 내려오는데, 이 부분은 플랜더스의 개(1975년 애니메이션) 최종화의 패러디. 때문에 세이카가 '그건 다른 작품'이라고 태클을 건다.
- 참고로 이번 화까지 원작 단행본 1권까지의 내용을 다뤘다.
2.9. 9화
- 애니메이션판에서는 원작의 2학기 중간고사 에피소드가 통편집되었고, 일부 내용만이 본편에 포함되었다. 9화 본편에 삽입된 부분은 료의 공부 머리와 관련된 만담. 이외에도 고토의 성적과 관련된 이야기는 약간의 각색을 거친 후 9화 웹예고편에 삽입.또한 작중 히토리와 료,니지카가 사진을 찍는 곳이 원작에선 전망대, 애니에선 전망대 아래에서 사진을 찍었다.
2.10. 10화
- 일라이자가 덕밍아웃을 하며 꺼내는 것이 망가타임 키라라 MAX에서 슬로우 루프 키링으로 바뀌었다.
- FOLT에서의 라이브 이후 히로이가 벽을 부수는 장면이 원작에서는 킥, 애니메이션에서는 펀치.
- 키타가 문화제 공연 신청서를 내버린 사실에 놀란 히토리의 얼굴 묘사가 보강되었다. 원작에도 있던 에드바르트 뭉크의 '절규'에 더해, 파블로 피카소의 입체파스러운 묘사까지 추가되었다.[6]
- 문화제 공연을 위한 세트리스트를 짜는 과정에 일부 변경이 있다. 히토리의 기타 솔로를 넣기로 한 타이밍이 원작에서는 세 곡 중 마지막이었지만 애니메이션에서는 두 번째 곡으로 바뀌었다.
- 키타가 료에게 기타 연습을 요청하는 부분의 연출이 바뀌었다. 장소가 노상에서 고토를 제외한 셋이서 연습하는 연습실로 바뀌고, 만화에서는 기타끼리 파트 싸움이냐는 식의 개그 연출이었지만, 애니메이션에서는 료가 자신의 교습료는 비싸다며 진지하게 받아들이는 식으로 바뀌었다.
2.11. 11화
- 히토리에게 섹시 컨셉으로 동영상을 찍게 해 조회수를 빨아먹으려는 료의 계획 가운데 '테이프를 둘둘 감고...'를 운운하는 대목이 있는데, 이는 니시카와 타카노리의 싱글 HOT LIMIT의 자켓에 사용된 기괴한 의상의 패러디이다. 입는 사람의 성별을 막론하고 원본이 워낙 노출도가 높은 의상이라 원작에 비해 애니메이션에서는 디자인이 약간 변경되었고, 원작에는 있었던 HOT LIMIT 패러디를 의식하는 반응 역시도 삭제되었다.
- 메이드 카페 관련 장면에 케이온!의 문화제 에피소드를 의식한 묘사가 일부 추가되었다.
- 료가 정장을 입는 것, 여기에 키타가 반응하는 것은 만화에는 없는 애니메이션의 독자연출이다. 만화에서는 료도 메이드복이었다.
- 마지막 연습 전 빈 체육관에 들러 각오를 다지는 시퀀스가 추가되었다.
- 히토리가 사용하는 기타가 아버지의 것을 빌린, 꽤 오래된 물건임을 강조하는 대화가 추가되었다. 공연 개시 직전에 히토리의 기타 헤드 머신이 화면에 잡히며 날카로운 잡음이 들리는 것 역시 비슷한 맥락의 연출.
- 원작과 달리 문화제 공연에서 히로이 이외에도 히토리를 보러 온 관객의 묘사가 추가되었다(히토리의 가족, 팬 1&2호, 반 친구들 등). 이에 맞춰 '(자기 이외의 멤버에게만 시선이 쏠릴 줄 알았던) 예상과 달랐다'라며 뒤늦게 기뻐하는 대사가 들어갔다. 원작에서는 문화제 이전 시점에 히토리의 가족이 STARRY에 처음으로 공연을 보러 온 이야기가 특별편으로 연재된 바 있는데, 애니메이션에서는 문화제 공연이 첫 참석인 것으로 변경되었다.
2.12. 12화
- 10화에서의 변경 사항대로 히토리의 기타 고장과 다이빙 사태가 두 번째 곡에 발생한 것으로 변경되었다. 분량 문제나 연출 템포[7] 등을 고려한 각색으로 보이며, 이로 인해 일단 세 곡의 공연을 전부 끝내기는 끝냈던 원작과는 다르게 애니메이션판에서는 공연 자체를 계획대로 끝내지 못해 다이빙 사태의 임팩트가 더욱 강조되었다.
- 분량 문제 상 오차노미즈 악기점 방문 에피소드의 많은 부분이 생략되었다. 짤린 부분은 하이엔드 코너에서의 만담, 세이카가 악기점에서 아르바이트를 했을 시절의 이야기 등.
- 참고로 이번 화까지 원작 단행본 2권 중반까지의 스토리를 다뤘다. 2권 후반부 내용인 히토리 & 니지카의 기타 히어로 영상 제작, 포이즌 야미 관련 에피소드는 영상화되지 못했다.
3. 2기
[1] 블루 하츠의 코모토 히로토와 마시마 마사토시가 결성한 밴드.[2] 원래는 작가가 나중에 히토리가 보컬에 도전하는 전개를 생각해뒀으나 폐기하였고, 이 때문에 애니에서는 의미 없는 복선이 된 해당 대사를 빼 버리고 개그신으로 대체한 것 아니냐는 설도 있다.[3] 대신 3화 막판에 료가 야생초를 뜯어먹으면서 등장하는 것으로 대체했다.[4] 월드 오브 워크래프트에서 인간 및 드워프 남성 춤으로도 유명한 바로 그 춤이다.[5] 한국에선 몬타나 존스의 오프닝 곡인 모험자들(冒険者たち)을 부른 것으로 유명하다. 영상 참고로 한국에선 배우 이정열이 한국어 번안 버전 보컬을 맡았다.[6] 여담으로 이 피카소 얼굴개그 장면은 굿즈로도 출시되었다.[7] 원작에서는 히토리가 불안정한 튜닝을 두 곡 내내 마음에 걸려하고 이 부분을 두 컷만 써서 간략하게 묘사할 수 있었지만, 라이브 장면을 전부 그려내는 애니메이션판에서는 그런 생략이 불가능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