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2-31 15:05:23

부호 함수

부호함수에서 넘어옴
특수함수
Special Functions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bgcolor=#383B3D><colcolor=#fff> 적분 오차함수(error function)(가우스 함수 · 가우스 적분 함수) · 베타 함수(불완전 베타 함수) · 감마 함수(불완전 감마 함수 · 로그 감마 함수) · 타원 적분 · 야코비 타원 함수 · 지수 적분 함수 · 로그 적분 함수 · 삼각 적분 함수 · 쌍곡선 적분 함수 · 프레넬 적분 함수 · 구데르만 함수
미분방정식 르장드르 함수[math(^\ast)] (구면 조화 함수) · 베셀 함수 · 에르미트 함수 · 라게르 함수 · 에어리 함수
역함수 브링 근호 · 람베르트 W 함수 · 역삼각함수
급수 제타 함수 · 후르비츠 제타 함수 · 세타 함수 · 초기하함수 · 폴리로그함수 · 폴리감마 함수 · 바이어슈트라스 타원 함수
정수론 소수 계량 함수 · 소인수 계량 함수 · 뫼비우스 함수 · 최대공약수 · 최소공배수 · 약수 함수 · 오일러 피 함수 · 폰 망골트 함수 · 체비쇼프 함수 · 바쁜 비버 함수
기타 헤비사이드 계단함수 · 부호 함수 · 테트레이션(무한 지수 탑 함수) · 지시함수 · 바닥함수 / 천장함수 · 허수지수함수 · 혹 함수
[math(^\ast)] 특수함수가 아니라 특정 조건을 만족시키는 다항함수이지만, 편의상 이곳에 기술했다.
}}}}}}}}} ||


1. 개요2. 성질3. 복소 부호 함수4. 기타

1. 개요

파일:나무_부호함수_그래프_수정.png
부호 함수의 그래프 개형

/ sign(um)[1] function

부호 함수특수함수 중 하나로, 어떤 실수부호를 출력하는 함수이다. 쉽게 말해 [math(|x|)]를 미분한 함수. 기호로는 [math(\operatorname{sgn}x)] 또는 [math(\operatorname{sign}x)][2]로 쓰며, 정의는 아래와 같다.
[math(\operatorname{sgn}x \colonequals \begin{cases}
\cfrac x{|x|} & \text{if } x\ne 0 \\
0 & \text{if } x=0
\end{cases})]
[math(x\ne0)]일 때에는 [math(\cfrac1{\operatorname{sgn}x} = \operatorname{sgn}x)]이므로 [math(\operatorname{sgn}x = \cfrac{|x|}x ~ (x\ne0))]라고 정의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math(|x| = x\operatorname{sgn}x)]이다.

구체적인 값은 아래와 같다.
[math(\operatorname{sgn}x = \begin{cases}
1 & \text{if } x>0 \\
0 & \text{if } x=0 \\
-1 & \text{if } x<0
\end{cases})]

보통 점화식에서 특정항의 부호만을 취할 때 사용되는 함수이다.

둥근 계단꼴 함수극한을 적용해서 근사하는 방식[3]으로 정의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를테면
[math(\begin{aligned}\operatorname{sgn}x &= \lim_{n\to\infty} \frac{1-2^{-nx}}{1+2^{-nx}} \\ &= \lim_{n\to\infty}\frac2\pi\arctan(nx) \\ &= \lim_{n\to\infty}\tanh(nx)\end{aligned})]
로 나타낼 수 있다.

2. 성질

  1. 부호 함수는 멱등 함수이다. 즉,
    [math((\operatorname{sgn} \circ \operatorname{sgn})(a) = \operatorname{sgn}a)]

    가 성립한다.
  2. 부호 함수는 홀함수(Odd function, 기함수)이다. 따라서
    [math(\operatorname{sgn}(-x)=-\operatorname{sgn}x)]

    가 성립한다.
  3. 계단 함수(Step function)의 일종이다. 해석적 근사가 적용된 단위 계단 함수 [math(H(x))][4] 사이에는 다음과 같은 관계가 성립한다.
    [math(\operatorname{sgn}x = 2H(x)-1)]

  4. [math(x=0)]은 비약 불연속점(point of jump discontinuity)이다. 즉,
    [math(\begin{aligned} \lim_{x \to 0^+} \operatorname{sgn}x &= 1 \\ \lim_{x \to 0^-} \operatorname{sgn}x & = -1 \end{aligned})]

    이므로 [math(\lim\limits_{x \to 0} \operatorname{sgn}x)]는 정의되지 않는다.
  5. 일반적으론 상수함수의 일종으로 보기 때문에 도함수는 [math(0)]이고, [math(x=0)]에서는 도함수가 정의되지 않는다.
    [math(\dfrac{\rm d}{{\rm d}x}\operatorname{sgn}x = 0 \quad (x\ne0))]

    한편, 상기 [math(H(x))]와의 관계 때문에 도함수를 디랙 델타 함수 [math(\delta(x))]로 나타내는 경우도 있는데, [math(H(x))] 역시 [math(x=0)]이 비약 불연속점이기 때문에 도함수가 정의되지 않고 [math(\delta(x) = 0 ~ (x\ne0))]이기 때문에 결과 자체가 [math(0)]이라는 점에는 변함이 없다.
    [math(\begin{aligned} \frac{\rm d}{{\rm d}x}(\operatorname{sgn}x) &= \dfrac{\rm d}{{\rm d}x}\{2H(x)-1\} \\ &= 2\delta(x) \quad (x\ne0) \end{aligned})]

  6. 역도함수절댓값 함수이다. 즉,
    [math(\displaystyle \int \operatorname{sgn}x{\rm\,d}x = |x|+{\sf const.})]

  7. 복소수는 성분이 실수부와 허수부 2개로 구성되어있기 때문에, 부호 함수에 복소수를 집어넣으면 더 이상 '변수의 부호를 판별하는' 함수가 아니게 된다. 즉 복소수 [math(z)]의 편각을 출력하는 함수를 [math(\arg z)]라고 하면 복소수 [math(z)]에 대한 부호 함수 [math(\operatorname{sgn}z)]는 다음과 같다.
    [math(\begin{aligned} \operatorname{sgn}z &= \begin{cases} \dfrac z{|z|} & (z\ne0) \\ 0 & (z = 0)\end{cases} \\ &= e^{i\arg z} (1 - {\bold 1}_{\{0\}}(z))\end{aligned})][5]

    위 특성에 따라 [math(z\ne0)]이면 [math(|\operatorname{sgn}z| = 1)]이다.[6]
    이처럼 '변수의 부호를 판별'한다는 정의가 유지되지 않기 때문에, 정의역을 복소수로 확장하는 경우 다음 항목에서 설명하는 [math(\operatorname{csgn})]이 쓰인다.
  8. 복소수와 동일한 이유로, 벡터 함수, 행렬 등을 정의역에 넣어봤자 '부호를 출력하는 결과'가 얻어지지 않는데다 상수함수가 되지 않기 때문단위벡터 [math(\bf{\hat v} = \cfrac{\bf v}{\|{\bf v}\|})] 같은 것 역시 부호 함수로 표기하지 않는다.

3. 복소 부호 함수

[math(\operatorname{csgn}(z) = \begin{cases} \operatorname{sgn}(\Re(z)) = \cfrac{\Re(z)}{|\Re(z)|} & \text{if }\Re(z) \ne 0 \\ \operatorname{sgn}(\Im(z)) = \cfrac{\Im(z)}{|\Im(z)|} & \text{if }\Re(z) = 0,\,\Im(z) \ne 0 \\ 0 & \text{if } \Re(z) = 0,\,\Im(z) = 0 \end{cases})]
복소수에서 부호 함수가 '부호 판별'의 기능을 잃어버리기 때문에 복소수에 맞게 재정의한 함수이다.

정의를 보듯, 순허수인 경우에만 허수부의 부호를 판별하고 나머지는 실수부의 부호를 판별한다.

4. 기타


[1] signum이라는 이름이 따로 있는 이유는 sign과 발음이 같은 sine과 혼동할 수 있기 때문. 여담으로 signum은 sign의 어원이 되는 라틴어이다.[2] Excel, MATLAB 등에서 쓰는 표현이다.[3] 이를 매끄러운 근사(smooth approximation)라고 한다.[4] 즉 [math(H(0) = \cfrac12)]로 정의하는 경우.[5] [math({\bold 1}_{\{0\}})]는 지시함수이다.[6] 파일:나무_부호함수_복소평면.png
위 그림과 같이 복소평면 상 복소수 [math(z)]에 대한 부호함숫값 [math(\operatorname{sgn}z)]는 복소평면 상 [math(|z|=1)]의 원 위에 존재한다.
[7] 정작 수학Ⅱ의 함수의 극한, 함수의 연속 파트에서 부호 함수를 알아야 풀 수 있는 문제가 출제되곤 한다.[8] 정의하는 위치는 MSB(Most Significant Bit), 즉 맨 왼쪽 자리다. 2진법에서는 음수를 보수로 바꿔서 처리하기 때문에 음수는 가장 앞 자리(왼쪽 자리)가 1이 되기 때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