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소설
첫 발매판 표지. |
휴버트 셀비 2세[1](1928~2004)가 1964년에 발표한 소설.
원제목은 '브루클린으로 가는 마지막 (고속도로) 출구(Last Exit to Brooklyn)'라는 뜻이다. 자동차를 몰고 고속도로를 타고 가다 보면 보이는 표지판에서 이쪽 갈림길이 브루클린으로 갈 수 있는 마지막 출구라는 뜻이다.
따라서 한국어 제목은 브루클린이 지명이라는 걸 아는 사람이면 누구라도 인정하는명백한 오역이다. 하지만 죽은 시인의 사회처럼 내용과 상관 없이 단순히 어감이 좋고, 막다른 골목에 몰린 주인공들의 스토리를 잘 설명한다는 이유로 고쳐지지 않고 있다. 문학작품 번역은 과학이나 기술, 교과서 번역과는 다르기 때문에 사람들이 어떻게 여기냐에 따라서 좋은 번역이 될 수도 있다.
일본에서는 '브루클린 최종 출구(ブルックリン最終出口)', 중국에서는 '브루클린 검은 거리(布鲁克林黑街)'로 번역했다.
50년대 브루클린 부두에서 6.25 참가차 한국으로 가는 병사들(병사들 자체는 묘사되지 않는다)을 상대하는 창녀 트랄랄라와, 남장여자 조제트, 기타 여러 하류인생들의 이야기이며 이를 배경으로 60년대 미국이 앓고 있던 모든 사회적 논쟁거리를(노동문제, 실업, 전쟁, 매춘, 동성애, 마약, 알코올, 부패, 전통적인 가족상 붕괴 등등) 책 한 권에 때려 박은 희대의 문제작이다.
당연히 출간되자마자 엄청난 필화에 휘말렸고, 이 소설의 평가를 놓고 타임지와 뉴스위크지라는 거대 언론사가 "최고로 추잡한 쓰레기 소설" vs. "현대 미국의 모습에 대한 진지한 성찰"이라는 주제로 갈려 키배를 뜬 적이 있다.
이 키배는 버트런드 러셀과 사뮈엘 베케트라는 현대의 거장들이 '근래 출간된 가장 중요한 책'으로 저자의 손을 들어주면서 정리되었다. 하지만 영국에서 첫 출간될 당시도 법원에서 외설소설로 지정되어 출판 금지 조치가 내려졌다. 물론 영국 문단의 항의로 금지조치가 철회되긴 했지만, 현대 민주주의가 시작된 영국에서 이 정도의 구설수가 일어났을 정도로 이 책의 내용은 충격적이다.
2. 영화화
A Love Idea에서 받은 선입견을 버리고 원작 소설을 읽어보면, 왜 '고도를 기다리며'의 사뮈엘 베케트가 그렇게 절찬했는지 알 수 있다. 작가는 이 작품에 대해 "이 작품은 있는 그대로의 세상을 그대로 쓴 것이다. 허구라기보다는 다큐멘터리에 가깝다. 이 작품에 나오는 인물들은 실제의 인물들이다. 소설 속의 추잡함이나 잔혹함은 독자들 자신에게도 숨겨져 있다는 사실을 알아주기 바란다."라고 한 적이 있다.
작가의 의도를 이해하고 읽어본다면 '외설과 예술의 차이점이 무엇인가?'라는 오래된 논쟁에 대해 나름대로의 결론을 느낄 수 있을 것이다. 실은 여주인공이 윤간을 당하는 장면이 있다. 하지만 원작소설에 비하면 어마어마하게 순화된 작품이다.[2]
곁다리로 이 영화감독인 독일인 울리 에델은 1981년 실화 기반 영화 크리티아네 F. 이후로(중간에 TV 영화 1편을 찍기는 했다.) 8년 만에 이 영화로 돌아와 화제를 모았고 비평에서 큰 성공을 거두었다. 그런데, 그가 할리우드로 가서 만든 영화가 마돈나 주연의 《육체의 증거》. 원초적 본능의 아류작이라는 악평을 받으며 흥행도 완벽하게 망했다. 그 이후에 티비 시리즈, TV 영화 등을 감독하다가 2000년에도 가족영화 리틀 뱀파이어를 만들었으나 또 흥행과 비평에 실패했고, 대서사시, 스릴러, 웨스턴 장르의 TV 영화 5편을 만들고 난 뒤 독일로 돌아와서 2008년 바더 마인호프를 만들어서 비평에 성공하고 그 해 아카데미 시상식, 골든글로브에서 최우수외국어영화상 후보에 오르기도 했다. 그러나 2015년 신작이 니콜라스 케이지 주연 호러영화인 Pay the Ghost인데 개봉도 제대로 안하고 DVD로 나왔다. 이후로도 2019년까지 TV 영화 연출을 주로 하고 있다.
영화 음악도 수작으로 평가 받는다. 영화 음악을 맡은 인물이 다이어 스트레이츠의 리더인 마크 노플러. 바이올린 선율이 무척 아름다워서 다이어 스트레이츠 음악을 전혀 떠올릴 수가 없을 정도인 A love Idea가 여기서 나왔다. 90년 초반 성우 이선영이 진행하던 영화음악 라디오 방송에서도 영화와 전혀 딴판인 음악으로 자주 소개할 정도.
[1] 휴버트 셀비 2세는 레퀴엠 포 어 드림의 원작자이기도 하다.[2] 원작에서는 착한 사람은 단 한 명도 없고 모두 서로 잡아먹으려 한다. 영화에서는 그나마 약간이나마 인간적인 모습이 있다. 영화에서는 윤간으로 그치지만 소설에서는 윤간 후 남자들은 여주인공 창녀 트랄랄라의 성기에 나무 봉을 박아넣어 자궁을 터뜨리면서 장면이 끝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