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2-02 01:01:51

Beasts of Bermuda

비스트 오브 버뮤다에서 넘어옴
비스트 오브 버뮤다
Beasts of Bermuda
파일:BoBSplash.png
개발/유통 Sastrei Studios, LLC
플랫폼 Microsoft Windows
ESD Steam
장르 시뮬레이션, 생존, 공룡, 대규모 멀티플레이어, 어드벤처, 앞서 해보기
출시 앞서 해보기
파일:세계 지도.svg 2018년 12월 22일
엔진 언리얼 엔진 4
한국어 지원 지원[1]
관련 사이트 사이트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파일:스팀 아이콘.svg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커뮤니티
파일:디스코드 아이콘.svg / 레딧 / 페이스북 / 공식 위키
상품 판매처
TeePublic / Redbubble / Makeship(한정 판매)


1. 개요2. 개발 과정3. 개발자 명단4. 시스템 요구 사항5. 게임플레이
5.1. 서버의 유형5.2. 스킨과 커스터마이징5.3. 기본 능력치5.4. 냄새를 통한 시각적 정보5.5. 먹이와 식단5.6. 재능(Talent)/목록5.7. 동물의 평가 점수5.8. 플레이어간의 상호작용
5.8.1. 번식
6. 맵과 환경적인 요소
6.1. 기상현상
7. 조작법8. 동물 목록9. 참고 문헌

[clearfix]

1. 개요

2024년 공식 트레일러
Play as a dinosaur and become part of a player-created ecosystem! Beasts of Bermuda is a multiplayer game where players endure catastrophic storms and fearsome foes while growing to monstrous sizes. Do you have what it takes to survive in the Bermuda Triangle?
공룡이 되어 플레이어들이 만들어내는 생태계의 일부가 되세요! Beasts of Bermuda는 플레이어들이 파멸적인 폭풍우와 무시무시한 적들을 견뎌내면서 괴물 같은 크기로 성장해나가는 멀티플레이어 게임입니다. 버뮤다 삼각지대에서 살아나갈 자신이 있습니까?
Sastrei Studios에서 개발되고 있는 생존게임. 버뮤다에 위치한 다양한 고생물들이 서식하는 수수께끼의 군도에서 고생물이 되어 생존하는 것이 주된 목표이다. 땅 위를 걸어다니는 공룡이나 물속을 헤엄치는 해양 파충류, 또는 하늘을 날아다니는 익룡을 플레이하고 육성시킬 수 있으며, 다채로운 날씨와 자연현상을 만나볼 수 있다.

2. 개발 과정

핵심 개발자인 Predatoria가 2017년 1월부터 언리얼 엔진 4를 여러 가지 재미로 실험해보며 만들게 된 간단한 공룡 싸움 게임이 Vipe가 심심풀이겸 참여하면서 점점 더 살이 붙게 되고, 이내 대규모 멀티플레이어 구현에 성공하면서 생각보다 더 큰 가능성을 보이자, 둘은 진지하게 게임 개발에 몸담게 된다. 게임의 첫 제목은 Raptor Demo(랩터 데모)였으며, Paleo Playground(고대 놀이터)를 거쳐 현재의 Beasts of Bermuda가 되었다.
프리 알파 게임플레이 영상
2017년 9월 17일부터 킥스타터에서 후원을 받기 시작했다. 당시 공개되었던 데모에서는 소규모의 맵에서 혼자 익티오베나토르, 아파토사우루스, 모사사우루스를 플레이 할 수 있었다. 후원자 전용 프리 알파 버전은 멀티플레이를 지원했으며, 더 큰 맵에서 익티오베나토르, 벨로키랍토르, 유타랍토르, 메갈로사우루스(현 위에헨베나토르), 아크로칸토사우루스, 아파토사우루스, 파키케팔로사우루스, 엘라스모사우루스, 모사사우루스 그리고 프테라노돈을 플레이할 수 있었다. 킥스타터는 후원금이 목표치만큼 모이지 못해 실패로 끝났지만 이후에도 계속 개발을 진행하여 2018년 12월 22일 스팀앞서 해보기로 출시되었고, 현재도 꾸준히 그래픽과 게임플레이 등에서 발전이 이루어지고 있다.

3. 개발자 명단

Sastrei Studios에 속하는, 실질적인 개발 인원이다.

4. 시스템 요구 사항

<rowcolor=#000000,#dddddd> 구분 최소 사양 권장 사양
파일:Windows 로고 블랙.svg파일:Windows 로고 화이트.svg
운영 체제 Windows 8 64비트 Windows 10 64비트
CPU Intel Core i5-3470 @ 3.2GHz
AMD X8 FX-8350 @ 4GHz
AMD Ryzen 3 1200 @ 3.1GHz
Intel Core i7-4770 @ 3.4GHz
AMD Ryzen 5 1400 @ 3.2GHz
RAM 8GB 16GB
그래픽카드 AMD Radeon RX 5300
Nvidia GeForce GTX 680
Nvidia GeForce GTX 770
Nvidia GeForce GTX 960
AMD Radeon RX 6600
Nvidia GeForce GTX 980
Nvidia GeForce GTX 1070
Nvidia GeForce RTX 2060
API DirectX 12 DirectX 12
저장 공간 20GB 이상 20 GB 이상

5. 게임플레이

5.1. 서버의 유형

게임 내 서버의 유형은 총 세 가지가 존재한다.
그 외에도 서버를 한 번 클릭했을 때 왼쪽에 서버의 세부 정보가 뜬다. 운영되는 서버에 따라 세부사항이 다르므로 참고하도록 하자.

5.2. 스킨과 커스터마이징

커스터마이징이 꽤나 자유로운 편인데, 여러 가지 무늬의 스킨들 중에 하나를 골라 각 부분의 색을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다. 일부 동물의 경우 커스터마이징 중 자세를 변경하여 보서나, 또한 목소리의 높낮이도 낮음, 중간, 높음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스킨 편집은 플레이 도중에도 가능하지만 성장이 0.8을 넘기면 더 이상 스킨을 편집하지 못하고 그 스킨으로 고정되게 된다.

자유로운 스킨 커스터마이징 덕분에 어딜 가나 알록달록하게 스킨을 칠한 플레이어들을 볼 수 있는데, 이것이 보기 싫다면 설정에서 알록달록한 색을 자연스러운 칙칙한 색으로 바꿔주는 필터를 적용할 수 있다.

하나의 동물을 여러 번 환생시키거나 알에서 태어났을 때 낮은 확률로 백색증, 백변증, 흑색증, 생물발광 등의 돌연변이가 일어날 수 있다.

게임 내외에서 특정 조건을 달성한 유저들에게만 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배포된 특수 스킨들이 존재한다. 이 스킨들은 빛나는 무늬를 가지고 있어 상당히 이쁘기 때문에 유저들에게 인기가 많으나, 다른 플레이어들의 눈에 더 잘 띈다는 점을 감안해야 할 것이다.

5.3. 기본 능력치

플레이어에게는 다양한 능력치가 존재한다. 이들은 서로 영향을 미치면서 복합적인 효과를 부여한다.

아래는 생존에 직결된, 평소에 관리해야 하는 수치들이다.
아래는 공격을 받거나 어딘가에 부딪혔을 때 등의 상황에서 생기는 특수적인 피해 수치들이다.
아래는 보조적인 수치들이다.

5.4. 냄새를 통한 시각적 정보

냄새 맡기를 통해 능력 수치를 지속적으로 소모하면서 주변 환경의 많은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시야 내에서 볼 수 있는 정보와 상단의 나침반 UI를 통해 볼 수 있는 정보가 있다.

시야 내에서는 먹이의 냄새와 담수의 냄새, 다른 플레이어가 지나가며 남긴 냄새가 구름 모양으로 표시된다. 담수와 신당, 행사 장소는 막대 모양으로도 표시된다. 화면 중앙에서 조금 위쪽에 커서가 나타나며, 이를 냄새에 가져다가 대면 부연 설명이 나타난다. 또한 이를 다른 플레이어에 맞추면 나오는 색깔로 해당 플레이어가 어느 재능의 방향에 포인트를 많이 넣었는지 알 수 있다.

화면 위쪽에는 나침반 모양의 UI가 뜬다. 나침반을 통해 방위, 근처의 신당, 담수지, 먹은 적 있는 고기, 빛나는 식물, 둥지, 그리고 냄새 집적지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플레이어 동물이 한 자리나 장소에서 오래 머물면 플레이어 동물의 냄새가 해당 장소에 집적된다. 형성된 냄새 집적지는 해당되는 동물의 아이콘으로 나침반에 표시되며, 광범위의 모든 플레이어들이 볼 수 있다. 즉, 어느 방향의 장소에 어떤 동물이 머무르고 있는지를 알 수 있는 셈이다.

5.5. 먹이와 식단

육상/비행동물에게 필수적인 물은 호수, 연못, 강 따위의 담수를 마셔서 채울 수 있다. 바닷물은 마실 수 없다. 호수와 연못의 물은 마시는 만큼 양이 조금씩 줄어들며, 큰 동물일수록 한 번 마실 때마다 줄어드는 물의 양이 많다. 규모가 작은 연못의 경우 거듭해서 마시면 아예 말라버리기도 한다. 강물은 아무리 마셔도 줄어들지 않는 대신 물 포만감을 제공하지 않는다.
모든 동물들은 저마다의 식이 요구사항을 가지며, 그에 따라 챙겨야 하는 식단이 다르다. 식단은 음식 UI의 형태로 짐작할 수 있고, 캐릭터 메뉴에서 자세히 확인할 수 있다. 최상의 식단을 유지하면 더 무거운 물체를 들 수 있으며 알이 숙성되는 속도가 빨라지는 버프를 얻는다. 반대로 건강하지 못한 식단을 갖는다면 결핍증 디버프가 걸리고, 기동성이 약화되는 불이익을 얻는다.

음식의 종류는 크게 고기, 식물, 물고기로 나눌 수 있지만, 세부적으로 다양한 먹을거리가 존재한다. 자신이 플레이하는 동물의 식이 요구사항을 확인하여 다음의 음식 중에서 찾아 식단을 충족하도록 하자.
고기는 다른 플레이어 또는 AI 동물을 사냥하거나, 맵 곳곳에 수시로 스폰되는 갈비 형태의 사체를 통해 획득할 수 있다. 모든 고기는 시간이 지나면 썩기 시작하며, 썩은 고기를 먹을 경우 편향이 떨어지면서 '식중독' 디버프와 질병 디버프에 걸리게 된다. 신선한 고기의 냄새는 빨간색으로 표시되는 반면 썩어가는 고기의 냄새는 주황색을 거쳐 노란색으로 변한다. 또한 고기의 신선도에 따라 냄새의 부연설명이 달라지기에 쉽게 구별할 수 있다. 상호작용 키를 눌러 고기를 들 수 있지만 들기에 너무 큰 경우 대신 닭다리 형태의 고깃조각을 떼어낸다.

포만감을 올려주는 고기는 일반 고기와는 다른 경로로 획득할 수 있으며, 일반 고기보다 냄새의 반경이 더 넓고 더 천천히 썩는다.
식물은 다양한 종류가 육지와 물속에 널려있지만, 냄새 맡기를 사용하여 입안에 넣을 수 있는 것들을 구분할 수 있다. 먹을 수 있는 것은 종류에 따라서 음식과 포만감을 제공하는 것도 있고, 독성이 있어 오히려 먹으면 음의 편향을 얻고 병에 걸리는 식물도 존재하므로, 냄새의 부연설명을 참고하는 것이 좋다. 식물을 뜯어먹은 자리는 이파리가 사라져 휑해지며, 이파리가 다시 생기려면 시간이 걸린다. 종종 발견할 수 있는 빛이 맴도는 식물이 있는데, 매우 많은 음식과 포만감을 제공한다.

염분은 해안의 소금 결정이나 육지의 소금이 맺힌 돌을 먹어서 얻을 수 있다. 소금은 상호작용 키로 들어올릴 수 없다.

생선은 호수나 강, 바다에서 발견할 수 있는 폐어 종류의 물고기를 통해 획득할 수 있다. 작은 물고기인 킨레아(Chinlea)는 떼지어서 고정적인 방향으로 움직이며, 어식성만이 냄새 맡기로 감지할 수 있다. 근처에서 공격 키를 누르면 바로 먹어지고, 상호작용 키로 들어서 옮길 수도 있다. 큰 물고기인 아르가노두스(Arganodus)는 바다에서 종종 찾을 수 있으며, 도망을 잘 치지만 죽이면 생선살로 된 갈비를 내놓는다.

아래의 목록은 모든 식성의 동물에게 소량의 음식을 제공하는 간식거리들이다.
한편, 모든 동물들이 먹을 수 있지만 편향을 떨어뜨려 식중독을 유발하는 위험한 음식이 있다.
또한, 식성에 상관없이 어떤 종이든 먹을 수 있고, 음식을 제공하지는 않지만 다양한 능력치에 이득을 주는 것들이 있다.

5.6. 재능(Talent)/목록

재능(Talent)이라는 육성 시스템이 존재한다. 일정한 크기만큼 성장할 때마다 포인트가 하나씩 주어지는데, 각각의 재능에 포인트를 주어 특권을 얻음으로서 캐릭터를 자신이 원하는 방향으로 육성시킬 수 있다. 이 재능 트리는 세 갈래로 나누어져 있으며, 각 트리 사이에 있는 재능은 그 둘의 중간으로 본다.

왼쪽 아래로 뻗어있는 가지에는 공격력 등의 힘 관련 능력치를 향상시켜주는 재능들이 있다. 관련된 색은 빨간색.

위쪽으로 뻗어있는 가지에는 기동성과 이동 능력을 향상시켜주는 재능들이 있다. 관련된 색은 초록색.

오른쪽 아래로 뻗어있는 가지에는 생존을 더욱 용이하게 해주는 재능들이 있다. 관련된 색은 파란색.

성장도가 0.45, 0.6, 0.8, 1.0, 1.2 언저리에 다다르면 무작위로 재능을 유전(inherit)받았다는 메시지가 뜨면서 무작위의 재능들에 보너스를 받게 된다. 얼만큼의 재능에 얼만큼의 보너스를 받을지도 무작위로 정해지는데, 한 재능에 두 개의 보너스를 받을 수도 있고 반대로 마이너스를 받을 수도 있다.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Talent 목록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Beasts of Bermuda/Talent 목록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7. 동물의 평가 점수

캐릭터 메뉴를 보면 평가(Trial)라는 것이 존재한다. 플레이하는 동물이 얼마나 충족하게 살고 있는지를 평가하며, 먼 거리를 걸어가거나, 다른 플레이어를 많이 사냥하거나, 많은 새끼를 갖는 등의 평가들이 존재한다. 재능 시스템과 같이 붉은색, 녹색, 푸른색으로 분류되며, 각 평가의 달성도에 따라 해당 색의 평가 점수가 올라간다.[2] 캐릭터 메뉴창에서 평가의 목록과 달성도를 확인할 수 있다. 평가 점수는 자손 플레이어의 유전 및 아래의 부활, 환생과 연관된다.

플레이어 동물이 사망하면 캐릭터 선택창에서 해당 동물을 완전히 삭제하거나 다시 부활(Ressurect)시킬 수 있고 0.8 이상인 성체일 경우 환생(Reincarnate)시킬 수도 있다. 완전히 삭제하지 않는 이상 나중에 언제든지 부활 또는 환생시킬 수 있다.
맵에는 여러가지 신당(Deity Shrine)들이 있다. 신당에 방문하면 신과 서약을 맺거나 희생하여 자신의 평가 점수에 이득을 얻을 수 있다. 각 맵에는 총 6개의 주 신당이 있고, 여러 개의 작은 신당들이 곳곳에 존재한다. 평가 및 재능과 마찬가지로 붉은색의 힘의 신당, 녹색의 기동성의 신당, 푸른색의 생존의 신당이 있으며, 각 종류의 신당들이 육지와 바닷속에 골고루 배치되어 있다. 신당 근처에서는 성장하지 않는다.

5.8. 플레이어간의 상호작용

섬들을 돌아다니다 보면 다른 동물들, 즉 같은 서버에서 플레이하고 있는 다른 플레이어들을 마주칠 수 있다. 이들은 종간의 상관관계 및 플레이어간의 재량, 또는 서버의 규칙에 따라 위협적이 될 수도 있고, 동료가 될 수도 있다. 1~5번 키에 할당되어있는 다양한 의미의 울음소리나 채팅을 통해 서로 뜻을 전하거나 대화를 나눌 수 있다.

채팅창에 /대결 (플레이어 이름)(/duel (플레이어 이름))을 입력하거나 감정 표현 창을 통해서 상대와 1 대 1 친선대결을 할 수 있다. 이 결투에서 상대로부터 받은 피해는 실제 체력에 영향을 주지 않으며, 대결이 끝나면 바로 원래 값으로 복구된다. 다만, 낙상, 불, 물속에서의 산소 고갈, 편안함 수치 저하 등의, 상대가 아닌 외부적인 요소로부터 받는 피해는 실제 체력에 영향을 끼치므로 주의. 둘 중 하나의 체력이 0이 되거나, 도중에 채팅에 /포기(/forfeit)를 쳐서 항복하거나, 150m의 대결 범위로부터 10초 동안 벗어나있으면 대결이 종료된다. 또한 외부적인 요인으로 받은 대미지가 전체 체력의 33%를 넘거나 제 3자로부터 공격을 받아도 즉시 대결이 종료된다.

플레이어 목록 창의 맨 오른쪽에 있는 무리 찾기(Group Finder)를 통해 다른 플레이어가 만든 무리에 들어가거나, 자신의 무리에 다른 플레이어가 참여할 수 있도록 직접 무리를 등록할 수 있다. 자신이 들어갈 수 있는 무리는 이름이 흰색으로, 들어갈 수 없는 무리는 붉은색으로 표시된다. 참여하고 싶은 무리를 클릭하면 해당 무리의 플레이어들에게 참여 신청이 뜨며, 과반수가 찬성하면 해당 무리의 일원이 된다.

플레이어 목록 창의 가운데에서 무리 목록을 볼 수 있다. 무리 목록을 통해 성장도 0.7 미만의 플레이어는 다른 플레이어의 위치로 소환될 수 있다. 빼기 모양의 버튼을 누르면 해당 플레이어를 무리에서 내쫓을 수 있으며, 무리 구성원이 3명 이상일 경우 참여할 때와 같이 찬반 투표를 통해 퇴출 여부가 결정된다.

근처의 무리원이 체력에 변화가 생기거나 출혈, 부상, 중독 피해가 생기면 체력바와 함께 해당 사항들이 보여진다. 체력바의 색깔은 편안함 현황를 보여준다.

같은 무리에 속하지 않은 플레이어 근처에 있으면 편안함이 내려가지만, 같은 무리의 플레이어 근처에 있으면 편안함이 올라간다. 다만 그 효과가 미미하거나 그렇지 않을 때도 있는데, 이의 자세한 작동 원리는 다음과 같다.

모든 동물은 저마다의 "압도력"을 가지고 있으며, 이는 근처에 있는 다른 플레이어의 편안함에 영향력을 행사한다. 무리의 일원이 아닌 다른 동물에게는 편안함을 떨어뜨리는 위압감, '압도당함(Intimated)' 디버프로 나타나고, 무리의 일원에게는 편안함을 높여주는 안정감, '친구 근처(Near Friends)' 버프로 나타난다. 압도력의 영향력은 자신의 체급을 따르기 때문에 각각마다 다르며, 보통 자신에 비해 큰 동물에게는 크기 차이에 비례해서 영향을 받고, 작은 동물에게는 영향을 받지 않는다. 예를 들어, 아파토사우루스에게 작은 벨로키랍토르는 위협적이지 않지만, 벨로키랍토르에게 거대한 아파토사우루스는 위협적이다. 무리에게도 마찬가지로 오릭토드로메우스는 압도력이 적기 때문에 무리원들에게도 자신보다 작은 무리원들에게만 편안함을 주고, 티라노사우루스는 크기에 상관없이 서로에게 편안함을 준다. 그리고 웅크리기를 하는 동안에는 자신의 존재감을 숨기므로 근처의 플레이어들에게 관련 버프/디버프를 부여하지 않는다. 몇몇 동물은 '압도력(Intimidation)' 재능으로 자신의 압도력을 늘릴 수 있다.

다른 플레이어의 근처에 얼마나 오래 있었는지에 따라서 등급이 매겨지는 것을 볼 수 있다. 같은 무리의 일원과 계속 함께 같이 다니면 해당 무리원과의 우정 등급이 올라간다. 우정 등급은 E부터 시작해서 → D → C → B → A → S까지 올라갈 수 있으며, 무리원을 실수로 공격했을 때 그 피해량이 우정 등급에 따라 감소한다. 반대로 무리의 일원이 아닌 플레이어의 근처에 계속 있는다면 적대 등급이 생긴다. 적대 등급은 X로 표시되고, 등급이 올라갈수록 X의 수가 더 많아지며, 해당 플레이어의 근처에 있을 때 편안함이 더욱 크게 깎이게 된다. 근처에서 벗어난 뒤 시간이 지나면 적대 등급은 차츰 낮아지다가 사라진다.

5.8.1. 번식

종이 같은 암컷 동물과 수컷 동물은 짝을 맺을 수 있다. 감정 표현 바퀴나 무리 목록을 통해 짝짓기를 신청할 수 있다. 양쪽 모두 일정 거리에 있어야 하며, 체력과 능력 수치가 최대여야한다. 한번 짝짓기를 하면 암컷 플레이어는 알을 가지게 되는데, 그동안은 편안함을 높게 유지하고 체력이 깎이거나 어딘가에 부딪히지 말아야한다.

알이 준비되면 둥지에 알을 낳을 수 있는데, 오직 수컷만 능력 수치를 소모하여 둥지를 만들 수 있다. 둥지는 보통 땅에 흙더미를 둘러쌓고 식물을 깔은 형태지만, 동물에 따라 특수한 형태의 둥지를 가지기도 한다. 시간이 지날수록 둥지가 조금씩 허물어지기 시작하므로 수시로 둥지를 수선해야 하며, 둥지를 공격해서 부술 수도 있다. 부모 플레이어나 같은 무리에 속한 플레이어들이 알 위에 앉아있으면 알이 성숙되는 속도가 빨라진다.

알을 낳아놓으면 다른 플레이어들이 캐릭터 커스터마이징 화면에서 그 알을 선택해 해당 부모의 자식이 될 수 있다. 이렇게 해서 나온 새끼는 부모의 재능을 유전받는데, 이는 부모가 주로 찍은 재능들의 방향과 평가 점수에 기반한다. 다만 암컷이 알을 가지고 있는 동안에 편안함을 높게 유지하지 못했거나 하는 등의 이유로 알이 손상되거나, 근친상간을 한다면 상당한 양의 마이너스 유전을 갖게 될 것이다.

또한 새끼는 부모의 스킨을 물려받게 되며, 이를 이용해 부모로부터 평소에는 얻을 수 없는 특수 스킨을 가질 수도 있다. 낮은 확률로 돌연변이 스킨이 일어날 때가 있다. 알을 통해서 얻은 스킨은 스킨 슬롯에 저장할 수 없다.

부모 플레이어는 새끼 플레이어의 근처에 있으면 성장 속도가 빨라지는 버프를 부여받고, 새끼 또한 편안함이 증대되는 버프를 얻는다.

선택창에서 고를 수 있는 알 중에서는 양 부모의 이름이 '버려짐(Abandoned)'으로 되어 있는, 일명 '버려진 알(Abandoned egg)'이 존재한다. 부모 없이 맵에 랜덤하게 스폰된 알들로, 여기서 태어난 새끼는 완전한 무작위의 스킨과 무작위의 유전을 기대할 수 있다.

6. 맵과 환경적인 요소

각 맵은 다수의 섬들로 이루어져 있다. 몇몇 맵에 공통적으로 익룡들이 생활하기 좋은 하늘로 우뚝 솟아 있는 섬이 존재하는데, 이 섬은 유저들에게 주로 '프테라노돈 산/섬(Pteranodon Mountain/Island)'이라고 불린다. 각 서버에서는 자작 맵을 만들거나 기존 맵의 구조를 편집해서 설정할 수도 있다.

조석 현상이 구현되어있어 실시간으로 해수면의 높이가 왔다갔다한다. 육상동물과 수생동물은 바다의 수위에 따라 이동할 수 있는 범위가 달라지며, 육상동물은 이를 이용해 해수면이 낮아졌을 때 이전에는 갈 수 없었던 섬으로 이동할 수 있다. 폭우가 내리면 해수면이 급격하게 상승하여 육지의 상당수가 물에 잠기기도 한다. 해안가로 밀려오는 파도는 구현되어있지 않지만 수면이 넘실거리기 때문에 수면에 있으면 플레이어도 함께 넘실거린다.

육지와 바닷속 곳곳에는 길고 꼬불꼬불한 동굴들이 있다. 규모가 어느 정도 되는 호수들은 동굴을 통해 바다와 연결되어있어 이곳으로 수생 플레이어들이 헤엄쳐서 다닐 수 있다. 이렇게 호수 밑바닥에 잠복하다가 물을 마시러 오는 플레이어들을 습격해 잡아먹는 플레이가 가능하다.

자신보다 작거나 비슷한 크기의 나무를 들이받아서 넘어뜨리거나 날려버릴 수 있다. 이렇게 땅에서 뽑힌 나무는 몇 초 후 사라지며 다시 생성되기까지 시간이 걸린다.

이하는 맵의 목록이다.

6.1. 기상현상

게임을 하다보면 맞닥뜨리게 될 기상현상 또는 자연재해들은 동물들의 편안함 수치를 떨어트린다. 동굴 등 비바람이 충분히 막아지는 곳에 있으면 이러한 날씨들로부터 안전해질 수 있음과 동시에 편안함 수치를 유지할 수 있다.

7. 조작법

기본적으로 적용된 조작법으로, 조작 설정을 통해서 언제든지 바꿀 수 있다. 만약 거듭된 업데이트 이후 특정 키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는다면 조작법 초기화를 눌러 보자.

8. 동물 목록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Beasts of Bermuda/동물 목록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9. 참고 문헌


[1] 번역되지 않은 항목들이 일부 존재하고, 표기가 잘못된 부분이 다수 있다.[2] 생애주기 유형의 경우 평가 시스템이 추가되기 전에는 생존 점수라는 것이 존재했는데, 오래 살거나 다른 동물들을 사냥하는 등의 일을 하여 해당 서버에서 자신의 순위를 올리는 방식이었다.[3] 일부 동물은 이 중에서 3번까지만 가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