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1-29 01:22:26

사메트 아카이딘

파일:S.Akaydin_2024-25.webp
<colbgcolor=#1d54ac> 차이쿠르 리제스포르 No. 3
사메트 아카이딘
Samet Akaydin
출신 1994년 3월 13일 ([age(1994-03-13)]세)
튀르키예 트라브존
국적
[[튀르키예|]][[틀:국기|]][[틀:국기|]]
신체 190cm / 체중 83kg
포지션 센터백
주발 오른발
유소년 클럽 트라브존 이드만오자으[Trabzon] (2004~2009)
트라브존스포르 (2009~2010)
트라브존 이드만오자으 (2010~2011)
볼루스포르 (2011~2013)
소속 클럽 아르신스포르 (2013~2014)
산작테페 FK (2014~2018)
샨르우르파스포르 (2018~2019)
앙카라 케치외렌귀쥐 SK (2019~2021)
아다나 데미르스포르 (2021~2023)
페네르바흐체 SK (2023~2025)
파나티나이코스 FC (2024 / 임대)
차이쿠르 리제스포르 (2025~ )
국가대표 12경기 1골[2] (튀르키예 / 2022~ )

1. 개요2. 클럽 경력3. 국가대표 경력4. 같이 보기

[clearfix]

1. 개요

튀르키예축구 선수.

2. 클럽 경력

2.1. 경력 초기

튀르키예 흑해 연안에 위치한 도시인 트라브존에서 태어나 지역팀 트라브존 이드만오자으, 트라브존스포르 유소년 팀을 거쳐 2011년부터 2013년까지 볼루스포르 유소년 팀에서 성장해왔다.

2.2. 하부 리그 시절

2013-14 시즌을 앞두고 아르신스포르로 이적한 뒤 이 곳에서 프로 데뷔를 했으며, 이후 여러 구단을 옮겨다니며 20대 중반까지 하부 리그에서 커리어를 이어왔다.

2.3. 아다나 데미르스포르

2021년 초, 시즌 도중 아다나 데미르스포르로 옮긴 그는 후반기 동안 6경기를 출전하며 팀의 쉬페르리그 승격을 도왔고, 다음 시즌에는 주전 센터백으로 발돋움하며 첫 1부 리그 무대임에도 인상적인 퍼포먼스를 선보여 튀르키예 대표팀 데뷔까지 이루어냈다.

2.4. 페네르바흐체 SK

아다나에서 꾸준히 좋은 경기력을 보여주면서 2022년 12월 4일, 튀르키예 명문 페네르바흐체와 4년 반 계약을 체결했다.

2024년 11월 10일, 시바스스포르를 상대로 페네르바흐체 데뷔골을 기록했다.

2.4.1. 파나티나이코스 FC (임대)

2024년 1월 14일, 그리스 수페르리가 엘라다의 파나티나이코스로 잔여 시즌까지 임대되었다.

임대 기간 중 2024년 5월 19일, 아타튀르크 기념일 및 청소년 및 체육의 날을 기념하여 SNS에 무스타파 케말 아타튀르크 관련 게시물을 올렸는데, 당연히 그리스 구단인 파나티나이코스 측에서 피드를 내릴 것을 요청[3]했으나 아카이딘은 거절했고, 이로 인해 징계성으로 메인 스쿼드에서 제외되고 원소속팀인 페네르바흐체로 복귀했다.

2.5. 차이쿠르 리제스포르

2025년 1월 24일, 차이쿠르 리제스포르로 이적했다.

3. 국가대표 경력

2022년 11월 19일, 체코과의 친선 경기를 통해 대표팀에 데뷔했다.

3.1. UEFA 유로 2024

1차전 조지아전에서 후반 조지아의 맹렬한 공격을 머리로 막아내는 호수비를 보여주며 3:1 승리를 굳히는데 도움이 되었다.

그런데 2차전 포르투갈전에서는 골키퍼와 소통 미숙으로 인해 백패스를 한다는 것이 슈팅이 되어 유로 역사에 길이 남을 자책골을 넣어버렸다. 여기서 튀르키예가 추격의지를 잃는 바람에 결국 0:3으로 패배하고 말았다.

3차전 체코전에서 경고를 받아 16강에 출전하지 못하게 되었다. 그래도 2:1로 승리하여 팀은 16강에 가게 되었고, 16강 오스트리아 전에서 튀르키예가 이기면서 8강에서 다시 출전할 수 있게 되었다.

8강 네덜란드전에서는 아르다 귈러의 어시스트를 받아 선제골을 넣었다. 그러나 팀은 후반에 2골을 얻어맞아 2:1로 역전패했다. 본인에겐 전체적으로 영웅과 역적을 오가는 대회였다.

4. 같이 보기

파일:나이키 로고 화이트.svg파일:튀르키예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Türkiye Milli Futbol Takımı
튀르키예 축구 국가대표팀
(UEFA 유로 2024 - 최종 명단)
1 귀노크 · 2 첼리크 · 3 데미랄 · 4 사메트 아카이딘 · 5 요쿠슐루 · 6 쾨크취 · 7 아크튀르크올루 · 8 귈러 · 9 젠크 토순 · 10 찰하놀루
11 유수프 야즈즈 · 12 바이은드르 · 13 카플란 · 14 바르닥치 · 15 외즈잔 · 16 윅세키 · 17 카흐베지 · 18 메르트 뮐뒤르
19 일디즈 · 20 F. 카디올루 · 21 일마즈 · 22 아이한 · 23 차크르 · 24 클르츠소이 · 25 아크귄 · 26 이을드름
파일:UEFA EURO ITA.png 빈첸조 몬텔라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1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 font-size: 0.8em;" 파일:UEFA EURO ITA.png 다니엘레 루소 · 파일:UEFA EURO TUR.png 셀주크 샤힌


[Trabzon] İdmanocağı[2] 2024년 11월 19일 기준[3] 자세한 이유는 항목 참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