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2-21 19:15:20

사샤 즈델라르

파일:FC 제니트 상트페테르부르크 로고.svg
FC 제니트 상트페테르부르크 2024-25 시즌 스쿼드
1 라티쇼노크 · 2 치스탸코프 · 3 D. 산토스 (C) · 4 고르시코프 · 5 바리오스 · 7 소볼레프 · 8 웬데우
9 아르투르 · 11 클라우지뉴 · 15 카라바예프 · 16 아다모프 · 17 모스토보이 · 21 예로힌
24 페드루 · 25 에라코비치 · 27 니누 · 28 알리프 · 30 카시에라 · 31 만투앙 · 32 곤도우
41 케르자코프 · 55 호드리강 · 67 글루셴코프 · 77 아흐메토프 · 79 바실리예프 · 82 볼코프 · # L. 엔히키
* 이 표는 간략화된 버전입니다. 스쿼드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여기를 참고해주세요. * 본래 스쿼드에서 타 팀으로 임대간 선수는 제외되었습니다.
파일:SasaZdjelar.jpg
FC 제니트 상트페테르부르크 No. -
사샤 즈델라르
Saša Zdjelar
<colbgcolor=#0097db> 출생 1995년 3월 20일 ([age(1995-03-20)]세)
유고슬라비아 연방 베오그라드
국적
[[세르비아|]][[틀:국기|]][[틀:국기|]]
신체 184cm / 체중 76kg
포지션 수비형 미드필더
주발 오른발
유소년 클럽 OFK 베오그라드 (미상)
소속 클럽 OFK 베오그라드 (2011~2015)
올림피아코스 FC (2015~2018)
RCD 마요르카 (2017 / 임대)
FK 파르티잔 (2018 / 임대)
FK 파르티잔 (2018~2022)
PFC CSKA 모스크바 (2022~2025)
FC 제니트 상트페테르부르크 (2025~ )
국가대표 8경기 (세르비아 / 2016~)

1. 개요2. 클럽 경력3. 국가대표 경력4. 기록
4.1. 대회 기록
5. 여담6. 같이보기

[clearfix]

1. 개요

세르비아FC 제니트 상트페테르부르크 소속 축구 선수.

2. 클럽 경력

2.1. OFK 베오그라드

2011년 12월에 노비 파자르를 상대로 성인 대표팀 데뷔전을 치렀다. 당시 그의 나이 16살이었다. 이후 2013년에 올림피아코스와 계약을 체결했지만, 나이 문제로 2년 동안은 베오그라드에서 계속 뛰었고, 총 67경기를 여기서 뛰었다.

2.2. 올림피아코스 FC

2015년 여름에 올림피아코스에 입단했다. 10월 28일 플라타니아스와의 그리스 컵 경기에서 데뷔전을 치렀고, 2016년 1월에는 차니아를 상대로 한 그리스 컵 경기에서 프로 데뷔 이후 첫 골을 넣기도 하였다.

하지만, 이후 자리를 잡지 못하고 2017년 1월에 스페인 2부리그 마요르카로 임대되어 15경기를 뛰었다.

2.3. FK 파르티잔

2017-18 시즌에는 전력 외 판정을 받으면서 파르티잔으로 임대 이적하였다. 시즌 종료 이후 50만 유로의 이적료에 완전 이적하였고, 2018년 5월에는 믈라도스트 루차니와의 세르비아 컵 결승전에서 득점을 하기도 하였다.

2018-19 시즌에는 총 3개의 대회에 출장하며 총 45경기에 출장하였다. 츠르베나 즈베즈다와의 더비 경기에서는 우마르 사디크의 어시스트로 득점을 기록하기도 하였다. 2019-20 시즌에는 코로나-19로 시즌이 중단되었지만, 42경기에 출장하면서 팀 내 최다 출장을 기록하였다.

2020년 7월부터는 팀의 주장으로 임명되었다.

2017-18 시즌부터 2022-23 시즌까지 파르티잔에서 모든 대회 총 197경기에 나서 6골 21도움을 기록하였다.

2.4. PFC CSKA 모스크바

2022년 7월 28일, CSKA 모스크바와 3+1년 계약을 체결하였다. 이적료는 50만 유로. 첫 시즌 주전과 후보를 번갈아 가며 38경기를 뛰었지만 공격포인트는 없었다.

2.5. FC 제니트 상트페테르부르크

2025년 2월 21일, FC 제니트 상트페테르부르크로 이적하였다. 계약 기간은 2025-26 시즌까지.

3. 국가대표 경력

2014년 U-19 유로에서 세르비아 대표팀으로 발탁되었고, 팀은 준결승에서 포르투갈에 승부차기 끝에 패하였다. 2015년 FIFA U-20 월드컵의 우승 멤버이기도 하다.

2016년 5월 31일에는 이스라엘과의 친선 경기에서 교체출장하며 세르비아 국가대표 데뷔전을 치렀다. 5일 후에 러시아와의 친선경기에서도 교체출장하였다.

2020년 11월 18일, 러시아와의 UEFA 네이션스 리그에서도 교체출장하며 세르비아 소속으로 첫 공식경기 데뷔전을 치른다.

4. 기록

4.1. 대회 기록

5. 여담

6. 같이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번호 포지션 국적 한글 성명 로마자 성명 키릴문자 성명 비고
1 GK 파일:러시아 국기.svg 예브게니 라티쇼노크 Yevgeniy Latyshonok Евгений Латышонок
2 DF 파일:러시아 국기.svg 드미트리 치스탸코프 Dmitri Chistyakov Дмитрий Чистяков
3 DF 파일:러시아 국기.svg 더글라스 산토스 Douglas Santos Дуглас сантос
4 DF 파일:러시아 국기.svg 유리 고르시코프 Yuri Gorshkov Юрий Горшков
5 MF 파일:콜롬비아 국기.svg 윌마르 바리오스 Wilmar Barrios Вильмар Барриос
7 FW 파일:러시아 국기.svg 알렉산드르 소볼레프 Aleksandr Sobolev Александр Соболев
8 MF 파일:브라질 국기.svg 웬데우 Wendel Вендел
9 FW 파일:브라질 국기.svg 아르투르 Artur Артур
11 MF 파일:브라질 국기.svg 클라우지뉴 Claudinho Клаудиньо
15 DF 파일:러시아 국기.svg 뱌체슬라프 카라바예프 Vyacheslav Karabaev Вячеслав Караваев
16 GK 파일:러시아 국기.svg 데니스 아다모프 Denis Adamov Денис Адамов
17 MF 파일:러시아 국기.svg 안드레이 모스토보이 Andrey Mostovoy Андрей Мостовой
21 MF 파일:러시아 국기.svg 알렉산드르 예로힌 Aleksandr Yerokhin Александр Ерохин
24 FW 파일:브라질 국기.svg 페드루 Pedro Педро
25 DF 파일:세르비아 국기.svg 스트라히냐 에라코비치 Strahinja Erakovic Страхиня Эракович
27 DF 파일:브라질 국기.svg 니누 Nino Нино
28 DF 파일:카자흐스탄 국기.svg 누랄리 알리프 Nuraly Alip Нуралы Алип
30 FW 파일:콜롬비아 국기.svg 마테오 카시에라 Mateo Cassierra Матео Кассьерра
31 MF 파일:브라질 국기.svg 구스타부 만투앙 Gustavo Mantuan Густаво Мантуан
32 FW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루시아노 곤도우 Luciano Gondou Лусиано Гонду
41 GK 파일:러시아 국기.svg 미하일 케르자코프 Mikhail Kerzhakov Михаил Кержаков
55 DF 파일:브라질 국기.svg 호드리강 Rodrigão Родригао
67 FW 파일:러시아 국기.svg 막심 글루셴코프 Maksim Glushenkov Максим Глушенков
77 MF 파일:러시아 국기.svg 일자트 아흐메토프 Ilzat Akhmetov Ильзат Ахметов
79 MF 파일:러시아 국기.svg 드미트리 바실리예프 Dmitriy Vasilyev Дмитрий Васильев
82 DF 파일:러시아 국기.svg 세르게이 볼코프 Sergey Volkov Сергей Волков
<colbgcolor=#0097db> 구단 정보
감독: 세르게이 세마크 / 홈 구장: 가즈프롬 아레나
출처: 트랜스퍼마르크트 , 마지막 수정 일자 2024년 6월 30일

[주의] 이 틀은 기기 환경에 따라 볼 때 상당히 길 수 있습니다. 스쿼드에 대한 간략한 틀은 여기를 참고해주세요. 또한 이 틀을 수정할 때는 여기도 같이 수정해주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