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color: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colcolor=#fff> 계열사 | |
전자 | <colbgcolor=#fff,#1c1d1f>삼성전자 (세메스 · 하만) | 삼성디스플레이 | 삼성SDI (에스티엠 · 에스디플렉스) | 삼성전기 | 삼성SDS (미라콤아이앤씨 · 시큐아이 · 오픈핸즈 · 에스코어) | |
바이오 | 삼성바이오로직스 | 삼성바이오에피스 | 삼성메디슨 | |
금융 | 삼성금융네트웍스 (삼성생명 | 삼성화재 | 삼성카드 | 삼성증권 | 삼성선물 | 삼성자산운용 | 삼성벤처투자) | |
중공업·건설 | 삼성중공업 (거제삼성호텔) | 삼성이앤에이 | 삼성물산 건설부문 (씨브이네트 · 삼우종합건축사사무소) | |
서비스 | 삼성물산 (상사부문 · 패션부문 · 리조트부문) | 호텔신라 (신라스테이) | 제일기획 (삼성스포츠) | 에스원 (휴먼티에스에스 · 에스원CRM) | 삼성글로벌리서치 (삼성EHS전략연구소) | 삼성의료원 | 삼성웰스토리 | 멀티캠퍼스 | 엠로 | 에스비티엠 | |
사회공헌 | 문화예술 | ||
사회복지 | 삼성복지재단 | 삼성생명공익재단 | 삼성화재안내견학교 | |
환경보전 | 삼성안전환경연구소 | |
언론재단 | 삼성언론재단 | |
과학기술 | 삼성미래기술육성재단 | |
자원봉사 | 삼성법률봉사단 | |
문화재단 | 삼성문화재단 | 호암재단 | |
미술관 | 리움미술관 | 호암미술관 | |
박물관 | 삼성화재 모빌리티뮤지엄 | |
문화 | 삼성아동교육문화센터 | |
장학 | 삼성꿈장학재단 | |
학교 | 학교법인 성균관대학 | 학교법인 충남삼성학원 | |
기타 | 삼성의료재단 | 대구삼성창조캠퍼스 | 삼성인력개발원 | |
역대 총수 · 현임 경영진 | }}}}}}}}} |
삼성디지털시티 Samsung Digital City | |
<colcolor=#ffffff> 위치 | <colbgcolor=white,#191919>경기도 수원시 영통구 삼성로 129 (매탄동) |
층수 | 지상 37층[A] |
높이 | 185m[A] |
크기 | 172만㎡(약 52만평) |
1. 개요2. 상세3. 구성
3.1. R2 - DMC연구소3.2. R3 - 정보통신연구소3.3. R4 - 디지털연구소3.4. R5 - 모바일연구소3.5. 블루웨이브파크3.6. 엑스페리언스홈 수원3.7. 삼성이노베이션뮤지엄3.8. 삼성전기3.9. 삼성전자공업단지3.10. 삼성SDS ICT수원센터3.11. 삼성SDI 연구소3.12. 생산기술연구소3.13. Global CS 센터3.14. 삼성전자 Global EHS 실3.15. 삼성첨단기술연수소3.16. 센트럴파크3.17. 스포츠파크3.18. 스마트파크3.19. 생동감파크3.20. 생활가전동3.21. 정문 주차타워3.22. 컨벤션동3.23. 한가족프라자3.24. 한울림프라자3.25. 21C동3.26. 스마트제조동
4. 기타[clearfix]
1. 개요
삼성디지털시티의 야경 |
삼성디지털시티의 드론 촬영 영상 |
삼성디지털시티(Samsung Digital City)는 삼성의 본사이다.
2. 상세
경기도 수원시 영통구 매탄동에 위치한 삼성의 본사 및 삼성전자, 대규모 연구개발단지, 오피스단지, 공업단지, 법적 주소이다.[3]
131여개의 크고 작은 건물들로 이루어졌으며 중심부에 위치한 오피스 단지는 4개의 고층 빌딩[1]으로 이루어져 디지털시티의 랜드마크로서 그 웅장한 규모를 자랑한다.
삼성디지털시티는 매우 넓은 부지로 총 면적은 157만8274㎡로 웬만한 행정동 3~5개를 모은 크기이며, 사옥과 공장 뿐만 아니라 삼성의 직원들이 이용할 수 있는 복합시설, 숙박시설, 보육시설, 스포츠 센터, 문화시설, 방재시설, 종교시설, 편의시설 등이 들어서 있다. 이동할 때는 버스를 이용할 수 있다. 삼성디지털시티라는 이름에 걸맞게 도시의 모양과 인프라를 갖췄다.
본사는 R1부터 R5까지의 5채의 빌딩과 그 주위의 건물로 이뤄졌다. 사실상 본사 규모는 세계 최고 수준.
이병철이 전자 사업을 시작할때 현재의 수원시 영통구 매탄3동에다 엄청나게 큰 땅을 사서 공장을 지어 시작했다. 옛날에는 반도체 공장도 있었으나, 지금은 광주, 온양, 기흥, 구미 등으로 다 이전하고 연구 시설만 남았다. 현재는 연구소나 전국의 캠퍼스들을 연결해주는 허브 역할을 한다.
이곳은 아침마다 영통지구쪽으로 금빛 향연을 내뿜는다고 한다. 주변에 고층 건물이 삼성디지털시티를 빼면 없기 때문이다. 삼성디지털시티의 주변에는 원천동과 매탄동을 중심으로 한 삼성의 계열사와 협력업체까지 모여있어 일종의 산업벨트가 형성되었다. 이들의 규모는 근무 인력만 약 30만 명이다.
삼성전자는 지속적으로 The Heart of Samsung(삼성의 심장)이라는 별칭으로 삼성디지털시티를 소개한다.
2.1. 삼성 갤럭시 언팩 촬영지
삼성 갤럭시 언팩이 삼성디지털시티에서 열리기도 했다.Galaxy Unpacked August 2020 : Official Trailer #1 |
Galaxy Unpacked August 2020 : Official Trailer #2 |
삼성 갤럭시 언팩 2020의 촬영지였으며, 티저에서는 삼성디지털시티의 다양한 모습이 보여진다. 본사 소재지인민큼 그 상징성도 높다는 반증. 참고로 삼성 갤럭시 언팩 2020은 삼성 갤럭시 언팩 최초로 한국에서 열린 언팩이다.
2.2. 보안
보안이 매우 엄격하다. 다른 곳도 아니고 한국 최대 기업집단인 삼성의 본사인데다 삼성 내에서 핵심 중의 핵심사업인 삼성전자의 본사인 만큼 보안이 엄격하지 않으면 그게 더 이상하다.일반인은 삼성이노베이션뮤지엄을 제외한 모든 지역의 출입이 제한된다. 유일하게 일반인이 방문 가능한 삼성이노베이션뮤지엄도 정문 바로 앞에 있는 주차타워에서 주차 후 지정된 경로로만 들어갈 수 있다. 예외로 삼성 직원의 가족과 삼성 멤버스에서 갤럭시 메이커스로 선발되는 삼성의 팬과 갤럭시 대학생 서포터즈에 한해, 패밀리 데이와 삼성 Within 프로그램을 통해 모바일연구소, 센트럴파크, 삼성전자 C-Lab, 삼성이노베이션뮤지엄 등에 방문할 기회가 주어지기도 한다.
외부인은 영통문과 동문으로 진입이 가능하고, 내부엔 직원만이 중앙문으로 진입이 가능하다.
삼성의 사내 보안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삼성전자 문서의 보안 문단 참조.
2.3. 역사
삼성산요파츠 공장 (현 삼성전기) |
1969년 1월에 삼성-산요TV공장이 공사 기간 1년안에 완공되고, 삼성전자공업주식회사가 세워졌다.
1980년대들어 생산단지에서 R&D 연구단지로 탈바꿈하기 위해 1980년에 수용인원 390명 규모의 종합연구소(R1)가 완공되었다.
1988년에 수용인원 1500명 규모의 DMC연구소(R2)가 완공되었다.
2001년에 정보통신연구소(R3)가 완공되었다.
2005년에 디지털연구소(R4)가 완공되었다.
2013년 5월에 모바일연구소(R5)가 완공되었다.
2013년 11월 R1, R2가 철거되고 그 자리엔 센트럴파크가 들어섰다. 기존 인력들은 R5로 이동하게 되었다.
2016년 3월에 삼성타운에 남아있던 삼성전자의 인력이 삼성디지털시티로 옮겨왔다
2020년 8월 6일 삼성 갤럭시 언팩 2020 8월이 열렸다.
2023년 7월 26일 삼성 갤럭시 언팩 2023 7월의 촬영지로 나왔다.
동문 근처에 R6를 새로 짓는다고 한다.
3. 구성
R1 - 종합연구소(본관) 종합연구소3.1. R2 - DMC연구소
3.2. R3 - 정보통신연구소
삼성디지털시티의 정보통신연구소 |
지하 4층, 지상 25층 규모로 각층 면적이 927평이며 총 연면적은 4만 200평이다. 높이는 166m[6]로 수원시에서 4번째로 높은 건물이다.
정보통신연구소를 설계, 건축한 삼우에 따르면 대지 전면의 20m 도로 축과 기존 공장 건물 축에 따라 건물들이 배치되었으며, 대지 내 중앙 40m 도로와의 버퍼 존을 둘 수 있도록 건물을 최대한 북서측으로 셋백하였다. 그리고 기능에 따라 3개의 영역으로 구분하고 저층부에는 접객 및 후생영역, 그리고 실험 영역을 두었다. 특히 연구 영역은 고층부로 배치하여 완벽한 보안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였다.#
IM사업부가 있다가 모바일연구소가 지어지면서 빠져나가고 삼성리서치와, DX부문 네트워크 사업부가 입주했다
3.3. R4 - 디지털연구소
자세한 내용은 삼성 R4 타워 문서 참고하십시오.3.4. R5 - 모바일연구소
삼성디지털시티의 모바일연구소 |
삼성 R5 타워는 MX사업부가 쓰고 있다.
삼성전자 뉴스룸에서 삼성전자를 대표하는 공시가 나올 때 보여지는 건물로 여기가 자주 나온다.
3.5. 블루웨이브파크
삼성디지털시티의 블루웨이브파크 |
삼성디지털시티의 전용 폐수처리장을 철거한 장소가 공원이 되었다가 리노베이션되어 조성된 생태공원이다. 비단잉어가 많이 산다. 카카오맵의 스카이뷰에서 삼성디지털시티를 내려다보면 2015년까지는 해당 구역이 블러 처리해서 검열되어 있었으나, 2016년 촬영 사진에서는 블루웨이브 파크의 모습이 검열 없이 확인된다.
3.6. 엑스페리언스홈 수원
3.7. 삼성이노베이션뮤지엄
자세한 내용은 삼성이노베이션뮤지엄 문서 참고하십시오.3.8. 삼성전기
삼성디지털시티의 삼성전기 |
자세한 내용은 삼성전기 문서 참고하십시오.
3.9. 삼성전자공업단지
3.10. 삼성SDS ICT수원센터
3.11. 삼성SDI 연구소
3.12. 생산기술연구소
자세한 내용은 생산기술연구소 문서 참고하십시오.3.13. Global CS 센터
3.13.1. CS아카데미
자세한 내용은 삼성전자 CS아카데미 문서 참고하십시오.3.14. 삼성전자 Global EHS 실
3.15. 삼성첨단기술연수소
3.16. 센트럴파크
삼성디지털시티의 센트럴파크 |
센트럴파크의 지하에는 삼성전자 C-Lab이 있다.
3.16.1. 삼성전자 C-Lab
자세한 내용은 삼성전자 C-Lab 문서 참고하십시오.3.17. 스포츠파크
3.18. 스마트파크
3.19. 생동감파크
3.20. 생활가전동
3.21. 정문 주차타워
3.22. 컨벤션동
3.23. 한가족프라자
3.24. 한울림프라자
한울림프라자는 실내 체육관이다. 이곳은 삼성생명 배드민턴단(전 삼성전기 배드민턴단)이 훈련장으로 사용한다.3.25. 21C동
3.26. 스마트제조동
4. 기타
세계적인 글로벌 기업의 본사치고 차를 이용한 접근성이 상당히 떨어지는 편이다. 1990년대 이후로 삼성디지털시티의 인근 지역에 협력업체의 공장과 주택이 마구 건설되다 시간이 지나면서 고작 20여년 사이에 난개발과 슬럼화가 굉장히 심해진 상태이다. 삼성디지털시티 근처의 길이 격자형으로 만들어져 있지 않은 데다가, 구불구불한 도로에 사람과 차가 몰리니 교통체증이 심해 병목현상이 벌어진다.자동차로 삼성디지털시티를 방문하려면, 삼성로와 효원로 쪽으로 접근하는 것이 가장 좋다. 차와는 별개로 보행자에게는 삼성전자 출퇴근 버스와 삼성디지털시티를 지나는 수원시의 시내 버스가 굉장히 많아 최상의 접근성이 만들어졌다.
수원시가 발전하는 데에 엄청난 영향을 끼쳤다. 지금의 영통구가 만들어진 것은 삼성디지털시티로 출퇴근하는 삼성전자의 직원들의 수요가 있었기 때문이다.[7] 삼성디지털시티가 지어질 때의 매탄벌은 논밭이 펼쳐진 시골이었고 삼성디지털시티가 지어진 다음에 계속해서 크기가 커지고→산업단지의 조성으로→도시를 이루게 되었다. 그런데 수원시의 도시개발이 기형적으로 이뤄지면서 수원시 영통구의 개발에 있어서는 동쪽 영흥숲공원과 독침산과 함께 광교신도시와 청명역-영통역-망포역 지구의 동선에 영향을 주게 되었다. 삼성로를 관통하는 시내버스 노선은 15-1번 하나인데 배차간격이 상당히 길며, 삼성디지털시티 동쪽 방면으로 수원요양병원, 영덕고등학교가 있는 매양로를 지나 경희대학교 국제캠퍼스까지 가는 노선인 9번 버스 역시 대체노선은 없는데 배차간격은 길다. 영통구 북부의 광교와 남부 망포-영통지구, 화성시 병점~동탄 일대까지 달리는 버스 노선들은 대개 삼성디지털시티 서쪽의 팔달구, 권선구 쪽을 지나거나 광교신도시 동쪽의 행정구역상 용인시 기흥구 구간을 거치는 식으로 직선거리를 달리지 못하고 상당히 우회하는 노선을 달리며, 그나마도 수가 적다. 이 때문에 광교와 영통을 잇는 버스 노선의 신설 요구가 지속적으로 나오고 있으며, 심지어는 장래 행정구역 개편시 영통구-광교구 분할설이 나오기도 한다. 또한 광교와 영통구 남부와 진안신도시 등의 여러 신규 택지지구를 잇는 도시철도 신설 논의 역시 우회경로를 상정한 채로 검토되고 있다.
과거 수원에 기반을 둔 이병희가 삼성전자 공장 유치에 공을 들였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