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2-02 22:41:21

호암미술관

파일:삼성재단 로고.png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삼성문화재단|
파일:삼성문화재단 로고.gif
]]
<colbgcolor=#fff>호암미술관 | 리움미술관
[[삼성생명공익재단|
파일:삼성생명공익재단 로고.gif
]]
삼성서울병원 | 삼성노블카운티 | 삼성행복대상 | 삼성아동교육문화센터
[[삼성복지재단|
파일:삼성복지재단 로고.gif
]]
삼성드림클래스 | 삼성어린이집
[[호암재단|
파일:호암재단 로고.gif
]]
삼성호암상
}}}}}} ||

{{{#!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tablebordercolor=#0061AF><tablealign=center><table width=310>
파일:용인시 CI_White.svg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a0522d> 수지구 고기리계곡 ‧ 광교산수지레스피아용인포은아트홀
기흥구 경기도국악당 ‧ 경기도박물관기흥호수공원 ‧ 보정동 카페거리 ‧ 백남준 아트센터 ‧ 한국민속촌
처인구 에버랜드캐리비안베이용인대장금파크와우정사양지파인리조트 ‧ 용인농촌테마파크 ‧ 용인중앙시장처인성호암미술관 ‧ 한택식물원
※ 관광객들이 명소로 많이 찾는 곳은 굵게 표시함. }}}}}}}}}
호암미술관
湖巖美術館 | Ho-Am Art Museum
파일:호암미술관 로고.png
<colbgcolor=#CCCCCC>종류미술관
주소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포곡읍 에버랜드로 562번길 38
개장1982년 4월 22일
규모부지면적 39,600㎡, 연건축면적 3,960㎡
소유주삼성문화재단
연락처031-320-1801
웹사이트홈페이지
파일:호암미술관 전경.jpg
호암미술관[1] 전경

1. 개요2. 시설3. 나무위키에 항목이 생성된 소장 유물4. 기타5.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에버랜드 리조트 인근에 위치한 미술관. 미술관 이름은 삼성그룹의 창업주인 이병철의 호에서 따왔다. 호암 이병철이 30여 년에 걸쳐 수집한 한국미술품 1천 2백여 점을 바탕으로 1982년 4월에 개관하였다.

지역뉴스나 신문 등을 타게 되면서 용인시 관광지로 유명해졌다.

2. 시설

파일:호암미술관 지도.png

미술관은 크게 미술관 건물과 전통정원인 희원으로 나뉜다. 특히 희원은 매우 근사하게 조성되어 있다. 부대시설로는 기념품샵과 찻집이 있다.

꽃과 단풍이 필 무렵의 경관이 상당히 예술로 특히 호수 너머 산이 분홍색으로 물든 모습은 그야말로 절경이다. 가끔 뉴스에서 계절의 절경을 보여준다고 헬기 띄워서 보여주는 곳이 이 일대다. 미술관 측에서는 미술관 관람보다는 오히려 외부에서 꽃구경 하는 사람들을 끌어모으는데 세심한 신경을 쓰고 있다. 실제로도 그 쪽에 사람이 더 몰린다. 실제로 이 풍경은 대부분 에버랜드에서 인공적으로 조성한 것으로 호수에서부터 산에 심어진 벚꽃까지 조경한 것이라고 한다.

관내에 공작들을 방목사육하고 있다. 종종 에버랜드에도 출몰하며, 용인시 내에서 드물게 출몰하는 공작 역시 이곳 출신이다.

희원의 동문인 읍청문 너머의 녹지는 일반에 공개되지 않는 공간으로 이곳에 호암 이병철의 묘소가 있다. 묘소 옆에 있는 한옥은 이병철 회장이 생전 말년에 종종 찾던 일종의 별장 역할을 했던 곳으로 그가 별세한 이후에는 기일마다 삼성가 가족들이 묘소 참배 후 식사를 하는 장소로 사용돼 왔다. 2020년 이건희 회장이 별세한 후 이 곳에 이건희 회장의 묘소가 마련되는 것이 아니냐는 추측도 있었지만 경기도 수원시 이목동의 가족 선영에 안장됐다.

3. 나무위키에 항목이 생성된 소장 유물

4. 기타

5. 관련 문서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25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25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1] 한국 고유의 전통양식으로 완성된 미술관 외관으로 불국사의 백운교와 같은 아치형 돌계단을 기단 구조로 한 1층 건물 위에 청기와의 단층 건물을 얹어 2층으로 만들어졌으며 총 4개의 전시실로 구성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