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1-10 22:17:02

색전하


입자물리학
Particle Physics
{{{#!wiki style="margin:0 -10px -5px;min-height:2em"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bgcolor=#83100c> 기반 양자역학 · 상대성 이론 · 통계역학 · 전자기학 · 고전역학
이론 <colbgcolor=#83100c> 체계 양자장론(비상대론적 양자장론) · 양자 전기역학 · 루프 양자 중력 이론 · 게이지 이론 · 양자색역학 · 초끈이론(M이론 · F이론) · 위상양자장론 · 통일장 이론 · 모든것의 이론
형식 클라인-고든 방정식 · 디랙 방정식 · 1차 양자화 · 이차양자화 · 전파인자 · 산란행렬 · 경로적분(응용 · 고리 적분) · 고스트 · 파인만 다이어그램 · 재규격화(조절 · 재규격화군) · 위상 공간(SU(3)) · 대칭성(초대칭 · CP 대칭 깨짐) · 섭동(다이슨 급수) · 등각변환(등각장론)
실험 기구 입자가속기(사이클로트론 · 싱크로트론 · 테바트론 · SLAC · ILC · LHC · PETRA · HERA · RAON) · 카미오칸데 · LIGO · 입자검출기(ATLAS · CMS · ALICE · LHCb)
모형 기본 입자{페르미온(쿼크) · 보손 · (둘러보기)} · 강입자(둘러보기) · 프리온 · 색전하 · 맛깔 · 아이소스핀 · 표준 모형 · 반물질 · 기묘체 · 타키온 · 뉴트로늄 · 기묘한 물질 · 암흑물질 · 인플라톤
연관 학문 천체물리학(천문학 틀 · 우주론 · 양자블랙홀 · 중력 특이점) · 핵물리학(원자력 공학 틀) · 응집물질물리학 틀 · 컴퓨터 과학 틀(양자컴퓨터 · 양자정보과학) · 통계역학 틀
현상 · 응용 기본 상호작용(둘러보기) · 양자진공(진공기댓값) · 플랑크 단위계(플랑크 질량 · 플랑크 길이 · 플랑크 시간 · 플랑크 온도) · 양자요동 · 쌍생성 · 쌍소멸 · 방사선 · 자발 대칭 깨짐 · 보스-아인슈타인 응집 · 블랙홀 정보 역설
기타 양-밀스 질량 간극 가설 · 군론 · 리만 가설 · 매듭이론 · 물질 · (반감기) · 대수위상학 · 대수기하학 · 교재 }}}}}}}}}


기본 입자
Elementary Particle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주요 성질
}}}}}}}}}


1. 개요2. 단어3. 원리

1. 개요

색전하(, color charge)는 강한 상호작용에서의 물리량이다.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전자기력에서의 전하에 대응된다. 색전하라는 개념의 고안자는 물리학자 오스카 W. 그린버그이며 그는 1964년 강입자의 내부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색전하라는 개념을 고안하였다.

2. 단어

색전하는 세 가지 종류가 있으며 빛의 삼원색에서 개념을 빌려와 빨간색, 초록색, 파란색의 이름을 붙여놓고 있다. 색전하는 과 비슷한 유추를 할 수 있어 지은 이름일 뿐이지, 눈으로 보는 "색깔"과는 물리적으로 아무 관련이 없다. 쉽게 말해서 세 가지 종류의 전하를 철수, 영희, 바둑이 또는 , , 이라는 이름을 붙여놨어도 강력의 게이지 대칭성을 잘 설명한다면 아무런 문제가 없는 것이다.

3. 원리

색전하는 '빨간색', '초록색', '파란색' 세 가지 종류가 있다. 광자가 전하 사이의 힘을 매개하듯 글루온은 색전하 사이의 힘을 매개한다. 강한 상호작용을 하는 쿼크는 색전하를 가지고 있으나, 강한 상호작용을 하지 않는 렙톤은 색전하를 가지지 않는다.
파일:external/chemwiki.ucdavis.edu/500px-Quark_structure_pion.svg.png파일:external/chemwiki.ucdavis.edu/500px-Quark_structure_neutron.svg.png
파이온의 구조 중성자의 구조
양전하의 반대인 음전하가 있듯이 빨강, 초록, 파랑에 대해서 각각 반빨강(antired), 반초록(antigreen), 반파랑(antiblue)의 색전하가 존재한다. 쿼크가 RGB 색을 가지고 있으면 반쿼크가 CMY(시안, 마젠타, 노랑) 색을 가지고 있는 것이다. 이들을 조합하여 무채색이 되는 조합만이 하드론을 형성한다. 따라서 위의 그림에서 파랑 색전하의 쿼크와 반파랑 색전하의 쿼크가 파이온을 이루며 RGB 색전하의 쿼크가 하나의 중성자를 이루는 것이다.

수학적으로 말하자면 색전하에 대한 강한 상호작용특수 유니터리군(special unitary group) su(3)의 대칭성을 가진다고 할 수 있다. 이는 일반적인 전하에 대한 전자기 상호작용이 유니터리군 u(1)의 게이지 대칭성을 가지는 것과 비교할 수 있다. 전자기 상호작용은 게이지 대칭성을 가지고 있어서 u(1)에 해당하는 임의의 위상 변화를 주어도 원래의 상태를 유지하며 이것이 전하량 보존법칙의 원인이 된다. 마찬가지로 강한 상호작용은 3×3의 특수 유니터리군에 대해 게이지 대칭성을 가지고 있어서 임의의 상태에 su(3) 변환을 가해도 물리적인 의미는 변하지 않는다. 이는 세 가지 종류의 색전하가 보존되는 원인이 된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