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0-28 13:19:45

서울대학교/학사 제도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서울대학교
파일:서울대학교 흰색 로고.svg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대학 정보
{{{#!wiki style="margin: -16px -10.5px" 역사 임원 학부 대학원 캠퍼스 입시 }}}
재학생 정보
{{{#!wiki style="margin: -16px -10.5px" 대학 생활 학사 제도 동아리 축제 총학생회 학내 언론 }}}
졸업생 / 기타
{{{#!wiki style="margin: -16px -10.5px" 출신 인물 사회 진출 현황 사건사고 의견 및 비판 }}}
관련 기관 및 사이트
{{{#!wiki style="margin: -16px -10.5px" 중앙도서관 서울대학교박물관 규장각한국학연구원
언어교육원(TEPS) 스누라이프 }}}
부속병원·위탁운영병원
{{{#!wiki style="margin: -16px -10.5px" 서울대학교병원 분당서울대학교병원 보라매병원
서울대학교치과병원 관악서울대학교치과병원 }}}
사범대학 부설학교
{{{#!wiki style="margin: -16px -10.5px" 사범대학부설고등학교 사범대학부설중학교 사범대학부설여자중학교 사범대학부설초등학교 }}}
}}}}}}}}} ||





1. 개요2. 학점이수제도
2.1. 단일전공2.2. 제2전공2.3. 학생설계전공
2.3.1. 자유전공학부의 학생설계전공2.3.2. 타학부(과)의 학생설계전공
2.4. 교과인증과정
3. 의무적으로 치러야 하는 시험
3.1. 수학성취도 측정 시험3.2. TEPS
4. 학사경고5. 전과

1. 개요

서울대학교의 독특한 학사 제도에 관해 설명하는 항목.

학점관련해서 다른 대학교들과 가장 큰 차이점은 학점점수의 만점이 4.5가 아니라 4.3이라는 것이다.[1] 대부분 대학교들이 4.5만점에 A+ 4.5, A0 4.0, B+ 3.5, B0 3.0 식으로 매겨지는 반면, 서울대는 A+ 4.3, A0 4.0. A- 3.7, B+ 3.3. B0 3.0. B- 2.7, 이런 식으로 매겨 진다. A=4 B=3 C=2 D=1에 +=0.3 0=0 -=-0.3으로 생각하면 편하다.

2017년 2학기부터 다른 학과 전공 수업을 들을 때 A+부터 F까지 나뉘는 학점이 아닌 '성공' 여부만을 평가받게 된다며 이 같은 내용의 '타 학과 전공 교과목 급락제(S/U) 평가 도입 시범운영안'이 최근 학사운영위원회를 통과했다고 한다. 기사1 기사2 그러나 2018년 현재까지는 시범제도 수준에서 그치고 있다.

2. 학점이수제도

학사 졸업을 위해 필요한 학점은 최소 130학점이며, 각 과별로 정해진 교양 및 전공 학점을 이수해야 한다. 기본적으로 4년제이며, 재학 연한은 8년이다. 독특하게도, 아래 설명할 복수, 부, 연합, 연계전공을 할 때와 하지 않을 때 이수해야 하는 전공 학점 수가 달라진다.

2.1. 단일전공

학생이 다른 전공을 병행하지 않을 경우, 보통 최소 주전공 이수 학점은 최소 39~45학점 정도이며, 과에 따라 그 이상일 수 있다. 2008학번부터 아래 기술할 제2전공을 순차적으로 의무화하면서 단일 전공을 이수할 때의 최소 전공 이수 학점을 60학점으로 높여 이를 '심화전공'이라 부르기도 한다.[2] 아시아언어문명학부와 같이 전체 개설되는 전공 과목[3]의 학점이 60학점에 못 미치는 경우, 단일전공을 할 수 없으며 반드시 제2전공을 이수해야 한다.[4]

2.2. 제2전공

다른 전공을 병행할 경우, 다른 전공의 최소 이수 학점이 21학점 이상이므로, 심화전공/제2전공 무관하게 총 전공 이수 학점은 60학점 이상이 된다. 각 제2전공은 3개 학기 이수 이후, 36학점 이상 이수 이후부터 졸업할 때까지 아무 때나 신청할 수 있으며, 신청 이전에 이수한 학점도 각 제2전공의 학점으로 인정받을 수 있다. 제2전공은 최대 6개(...)까지 할 수 있으며[5], 복수전공이나 연합전공을 이수할 경우 재학연한이 1년 늘어나며[6] 각각 별도의 학사학위가 수여된다[7].

2.2.1. 복수전공

학생이 소속한 학과(부)의 기본전공학점을 포함하여 2개 이상의 기본전공학점을 이수하는 과정을 말한다. 보통 39학점 이상 이수하여야 한다. 매년 3학년 정원의 100%까지 선발할 수 있으며, 평점평균이 2.0 이상이어야 한다. 대부분의 경우 자유롭게 신청할 수 있지만 정치외교학부, 심리학과 등의 인기 학과의 경우 학점 커트라인이 3.9~4.0 근처까지 치솟기도 한다. 특히 경영학과경제학과는 2018년 기준으로 4.1점대도 복수 전공 신청이 탈락될 정도로 학점 인플레가 심하다. #

2.2.2. 연합전공

2개 이상의 전공과정이 공동으로 참여하며 제공하는 전공과정으로서 주관 대학에서 관리 운영한다. 연합전공은 하나의 독립된 전공으로 간주한다. 단 소속 학과(부) 전공을 이수하지 않고 연합전공을 단일전공으로 이수할 수는 없다. 보통 39학점 이상 이수하여야 하며, 평점평균 2.0 이상이어야 하고, 하나의 독립된 전공으로 간주되므로 연합전공의 학사학위가 수여된다. 연합전공 목록은 https://advising.snu.ac.kr/content/sub02_401 참고.

2.2.3. 부전공

학생이 소속한 학과(부) 이외의 전공과정을 21학점 이상 이수하는 것을 말한다. 평점평균 2.0 이상이어야 하며, 선발 인원은 복수전공과 같으며, 졸업증서에 이수한 것이 기재되지만 학위가 나오지는 않는다.

2.2.4. 연계전공

학과(부)가 다른 학과(부)의 전공과 연계하여 만든 전공과정으로, 관련 학과(부)에서구성한 '연계전공운영위원회'에서 관리.운영한다. 관련 학과 학생만 신청하여 이수할 수 있지만, 예외도 있다.[8] 단일 학과에서 설계하거나 둘 이상의 학과에서 연계하여 설계한다.

연계전공 목록은https://advising.snu.ac.kr/content/sub02_501 참고

2.3. 학생설계전공

2.3.1. 자유전공학부의 학생설계전공

자유전공학부의 경우, 전공을 하나의 학위과정에 준하는 수준까지 설계하여 실제로 학사 학위를 인정받을 수 있으며, 이를 주전공으로 이수할 수도 있다.[9] 그리고 자유전공학부만의 자유로운 전공진입 규정이 여기서도 적용되어, 전공설계에 있어서 학점 제한은 존재하지 않는다. 하지만 자유전공학부에서 규정한 전공진입요건을 충족시켰을 경우에만 학생설계전공을 이수할 수 있고, 전공 진입 이전에 전공설계 교과목을 반드시 이수해야한다.

2.3.2. 타학부(과)의 학생설계전공

학생이 스스로 교육과정을 구성하여 대학의 인정을 받은 전공과정으로 소속 학과장이 관련 전공의 교수로 구성한 학생설계전공심사위원회에서 심의 승인한다.
2022년부터 학생설계전공의 이수학점은 39학점으로 복수전공과 동일하게 여겨지며 학사학위가 나온다. 즉 주전공이 있는 상태에서 복수전공으로서 학생설계전공을 이수한다고 볼수 있다

2.4. 교과인증과정

대학가에 생겨나는 마이크로전공, 마이크로 디그리와 비슷한 개념으로 12학점 내외의 학점을 듣고 관심분야의 전문성을 조금이나마 인증받을 수 있게끔 하기 위한 제도. 복수,부전공처럼 학위가 나오지는 않지만 졸업장에 표기가 된다.
2022년에 신설된 제도이며 2023년 현재 26개의 교과인증과정이 있다. 전체 목록은https://advising.snu.ac.kr/content/sub02_701 참고

3. 의무적으로 치러야 하는 시험

01학번 이후 입학생은 수학성취도평가와 TEPS를 의무적으로 치러야 한다.

3.1. 수학성취도 측정 시험

서울대학교에 입학하는 자연계열 신입생이 매년 1600명 정도인데 이중 10% 정도는 수학 학력 미달로 기초수학 또는 미적분학의 첫걸음을 수강해야 한다. 2011 국정감사 결과 수학 낙제자 185명(11.3%)가 나왔다.
외부에서는 "서울대생 10%가 수학 실력 미달... 고교 미적분도 몰라" 같은 자극적인 기사를 보고 "공부도 못 하는 OO들이 돈 주고 서울대에 입학하는군? 나도 서울대 가겠다" 하고 이야기할 수도 있는데, 수학성취도평가에서는 수학B형 어중간한 2등급 정도 실력만 되더라도 기초수학 수강자가 될 가능성이 매우 높다.[10] 저 수학 학력 미달 학생들도 대부분은 다른대학 원하는 과 충분히 합격 가능한 성적권이다.[11]
많은 경우 저 '기초수학'과목은 튜터와 적당히 시간만 보내면 PASS인 일종의 꿀강의라 선배들이 반 장난식으로 기초수학을 권장하기도 한다. 그러나 2012년부터 기초수학 대상자(하위 10~20%)보다 더 성적이 부진한 학생들(하위 5%)을 위한 '미적분학의 첫걸음'이라는 강좌가 생겨 수학성취도 능력 시험에서 매우 낮은 성적을 받거나 응시하지 않으면 첫학기에 필수 수학과목의 이수가 금지되고 이 과목을 이수한 이후에만 필수 수학과목을 이수할 수 있게 된다.
반대로, 성적이 뛰어난 상위 10%의 학생들은 고급수학 및 연습을 수강할 수 있다.

23학번부터는 더이상 필수가 아닌 시험이 되었다. 시험이 필수가 아니게 됨에 따라 자신이 원하는 교양수학 강좌를 수강할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24학번부터 다시 필수가 되었다. 안 돼

3.2. TEPS

Test of English Proficiency developed by Seoul National University.

NEW TEPS 268점 미만은 학력 미달자로 간주하는데, 신입생 3100여명 중 매년 13% 정도(약 400명)는 이 수치에 미달한다. 예체능계열의 경우 수능성적이 크게 중요하지 않고, 또 입학사정관제 이전 시절의 지역균형선발전형의 영향도 있다고 보인다.

23학번 이후 단과대학별로 기초영어, 대학영어1, 대학영어2, 고급영어, 면제의 기준이 다른 상태이다. 각 단과대학의 기준을 알고싶다면 공식사이트에서 학부 신입생 특별시험에 대한 공지를 찾아보는 것이 확실하다.

4. 학사경고

한 학기 학점이 1.70 미만이거나 3과목 이상 혹은 6학점 이상 F이면 학사경고를 받는다.[12] 학사경고가 총 4회 누적되면 학사제적되며, 1년 후 재입학할 수 있다. 재입학 후에 2번 더 학사경고를 받을 경우 학사제명이 된다.

5. 전과

사범대학사범대학 내에서만 전과할 수 있으며, 그 외의 경우 사범대학, 의학계, 수의학계, 간호학계로는 전과할 수 없다. 4학년 수료, 65학점 이수를 해야 신청 가능하다. 전입.전출 인원은 학과별 학년 정원의 20%이다. 단, 전공을 예약[13]하고 입학한 학생은 전과할 수 없다.

전과 심사는 매년 1월 초중순에 한다. 보통 전입 심사 기준은 새로 들어갈 전공을 얼마나 들었는가, 새로 들어갈 전공에 대해 얼마나 잘 알고 있는가(면접, 시험 등으로 평가), 학점 등이며, 전출의 경우 학과마다 매우 다르다. 자연대나 공대 같은 경우에는 보통 전출을 희망하는 인원이 그리 많지 않기에 원하는대로 전과할 수 있는 경우가 많지만 전출하고자 하는 인원이 많은 과의 경우 전출 심사의 문턱이 매우 높다. 어떤 과의 경우 그만두려는 기존 전공을 20학점 이상 들을 것을 요구하기도 하고, 학과 차원에서 전출 승인을 원칙적으로 허용하지 않는 경우도 있으며, 학점이 높지 않으면 전출정원 내에 들지도 못한다!

경영대학이나 경제학부 지망생 중 입시점수가 애매하면 서울대 낮은 과에 합격해서 전과를 하면 되지 않느냐는 고교 선생님들의 이야기가 있는데, 잘 생각해 보는 것이 좋다고 한다. 전과가 쉽게 마음대로 되는게 아니다.


[1] 실제로는 카이스트, 포항공과대학교, 연세대학교, 서강대학교, 이화여자대학교, 경북대학교, 경희대학교, 제주대학교 등도 4.3만점 체계를 사용한다. 4.3만점 체계를 쓰는 대학도 의외로 많다.[2] 공식적으로 학위기에 기록되는 명칭은 아니다.[3] 타과 전공과목 중 자과 전공과목으로 인정되는 과목도 포함한다.[4] 다만 통계학과나 물리천문학부의 천문학 전공과 같이 자과 전공과목의 학점은 60학점이 되지 않더라도 전공선택으로 인정되는 타과 과목까지 합치면 60학점이 넘는 경우는 해당되지 않는다.[5] 사실상 제한이 없는 것과 마찬가지이다. 복수전공을 여러 개, 연합전공을 여러 개 하건, 한 사람이 복수/연합/부전공 모두를 하건 관계 없다. 재학 연한 안에만 졸업하면...[6] 즉 학교를 9년까지 다닐 수 있다! 하지만, 8학기를 초과하면 규정학기 초과자 취급되는 것은 똑같다.[7] 졸업증서가 여러 개가 되는 것은 아니고, 하나의 졸업증서에 여러 학위가 병기되어 나온다[8] 관련 학과 학생이 아닌 경우 연합전공을 이수해야 한다[9] 자유전공학부 이외의 학생들은 부전공으로서만 이수할 수 있다.[10] 이 수학성취도 측정 시험의 난이도를 알고 싶다면 여기서 기출문제를 다운받아서 풀어 보자.[11] 주로 이런 학생들은 시험을 열심히 안 푼다. 특히 농생대 대부분의 과는 1학년을 끝으로 미적분과는 거리를 두기에..[12] 유급이 있는 과 제외[13] 입학할 때 일부 단위에 전공예약 조건이 붙어 있다.